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0
학위논문 1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0)
일반도서 (0)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1)
학위논문 (1)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논문명/저자명
조선왕릉 擇地와 山論 = (A)study on the selection land and Sanron(Fungsugiri) of Joseon royal tombs / 이덕형 인기도
발행사항
서울 : 한성대학교 대학원, 2013.8
청구기호
TD 951 -13-122
형태사항
ix, 211 p. ; 26 cm
자료실
전자자료
제어번호
KDMT1201348440
주기사항
학위논문(박사) -- 한성대학교 대학원, 사학과 한국사전공, 2013.8. 지도교수: 정호섭
원문
미리보기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국문초록

목차

제1장 서론 14

제1절 연구의 목적과 경향 14

제2절 연구의 범위와 방법 21

제2장 조선왕릉의 조영 23

제1절 조선왕릉의 형식과 입지 23

1. 왕릉의 조영형식 23

2. 왕릉의 입지 37

제2절 조선왕릉의 遷葬과 舊陵地 45

1. 遷葬왕릉 45

2. 舊壙地에 조영된 왕릉 50

제3장 조선왕릉의 택지과정 52

제1절 왕릉택지의 요건과 선정기관의 구성 52

1. 왕릉의 택지와 선정 요건 52

2. 왕릉택지 선정기관의 구성과 활동 57

제2절 조선왕릉의 택지선정 검토 66

1. 15세기에 조영된 왕릉택지 66

2. 16세기에 조영된 왕릉택지 73

3. 17세기에 조영된 왕릉택지 75

4. 18세기에 조영된 왕릉택지 119

제4장 조선왕릉의 산론 검토 128

제1절 조선후기 왕릉택지의 산론 131

1. 17세기에 조영된 왕릉택지의 산론 131

2. 18세기에 조영된 경종의 懿陵의 산론 171

제2절 왕릉 택지의 산론 검토 197

1. 간심단의 산론 작성 추세 197

2. 산론의 풍수적 경향성 검토 203

제5장 결론 209

참고문헌 213

ABSTRACT 221

〈표 2-1〉 고려 공민왕릉과 조선 태조비 정릉의 입지비교 24

〈표 2-2〉 고려왕릉의 석물 치장 현황 27

〈표 2-3〉 조선초기 왕릉의 조영제도 36

〈표 2-4〉 조선왕릉 천장 사례 46

〈표 2-5〉 조선 국왕 사친 무덤의 천장 49

〈표 3-1〉 조선전기 총호사 및 산릉도감 제조 현황 58

〈표 3-2〉 조선후기 인조 ~ 경종대 총호사 및 산릉도감 제조 현황 59

〈표 3-3〉 조선후기 영조 ~ 헌종대 총호사 및 산릉도감 제조 현황 60

〈표 3-4〉 조선후기 왕릉 간심 상지관 현황 62

〈표 3-5〉 조선후기 왕릉 간심에 참여한 방외지사 63

〈표 3-6〉 세종의 舊 英陵 택지 선정과정 68

〈표 3-7〉 세조 光陵 택지 선정과정 70

〈표 3-8〉 성종의 宣陵 택지 선정과정 72

〈표 3-9〉 중종의 靖陵 택지 선정과정 73

〈표 3-10〉 인종의 孝陵 택지 선정과정 74

〈표 3-11〉 1600년 7월 선조비 의인왕후 박씨 왕릉택지 76

〈표 3-12〉 1600년 8월 ~ 9월 선조비 의인왕후 박씨 왕릉택지 79

〈표 3-13〉 1600년 10월 선조비 의인왕후 박씨 왕릉택지 80

〈표 3-14〉 1600년 10월 ~11월 선조비 의인왕후 박씨 왕릉택지 81

〈표 3-15〉 인열왕후 한씨의 간심 대상지 82

〈표 3-16〉 인열왕후 한씨 산릉 1차 간심 대상지 83

〈표 3-17〉 인열왕후 한씨 산릉 2차 간심 대상지 84

〈표 3-18〉 인열왕후 한씨 산릉 3차 간심 대상지 84

〈표 3-19〉 인조왕릉 간심지 1차 간심단 86

〈표 3-20〉 숙종대 천장을 주장한 자와 사유 90

〈표 3-21〉 영조대 좌의정 이집의 상소 내용 90

〈표 3-22〉 영조 7년 장릉 봉심의 내용 91

〈표 3-23〉 인조 長陵 천장시 총호사와 상지관 92

〈표 3-24〉 영조대 인조 장릉 천장시 지관과 간심 대상지의 산론 93

〈표 3-25〉 효종 영릉 국장시 총호사 및 삼도감 94

〈표 3-26〉 효종영릉 1차 간심 95

〈표 3-27〉 효종영릉 2차 간심 97

〈표 3-28〉 효종 왕릉 택지 간산 대상지 99

〈표 3-29〉 효종 영릉 3차 간심 100

〈표 3-30〉 효종 영릉 4차 간심 102

〈표 3-31〉 효종 영릉 5차 간심(수원 호장의 집 뒷산) 103

〈표 3-32〉 효종 영릉 5차 간심(영릉 홍제동) 103

〈표 3-33〉 효종 영릉 택지 수원 호장의 집 뒷산 불가론 104

〈표 3-34〉 효종 영릉 6차 간심 106

〈표 3-35〉 효종 영릉 7차 간심(건원릉 서쪽 산줄기) 107

〈표 3-36〉 효종 영릉 8차 간심(건원릉 안과 화접동) 108

〈표 3-37〉 효종 영릉 수원 호장 집 뒷산 철회 요청 109

〈표 3-38〉 효종 영릉 천장 1차 간심 114

〈표 3-39〉 현종과의 일문 일답 114

〈표 3-40〉 숙종비 인현왕후 민씨 국상시 총호사 및 삼도감 당상 119

〈표 3-41〉 인현왕후 민씨 택지 간심단 120

〈표 3-42〉 인현왕후 민씨의 택지 간심단의 준비물 120

〈표 3-43〉 숙종 국장시 택지 간심단 125

〈표 4-1〉 현종 국상시 총호사 및 삼도감 당상 131

〈표 4-2〉 현종 숭릉 1차 간심지 132

〈표 4-3〉 현종 숭릉 1차 간심단 132

〈표 4-4〉 회양부사 정창도 산론(교하 월롱산) 133

〈표 4-5〉 부사정 홍석구 산론(교하 월롱산) 135

〈표 4-6〉 교하 월롱산에 대한 간심단의 풍수적 평가 135

〈표 4-7〉 장단 읍견에 대한 간심단의 풍수적 평가 136

〈표 4-8〉 갈현에 대한 간심단의 풍수적 평가 136

〈표 4-9〉 장단 서곡에 대한 간심단의 풍수적 평가 137

〈표 4-10〉 회양부사 정창도 산론(장단 서곡) 137

〈표 4-11〉 부사과 신경윤 산론(장단 서곡) 138

〈표 4-12〉 부사정 홍석구 산론(장단 서곡) 138

〈표 4-13〉 양주 화접동에 대한 간심단의 풍수적 평가 140

〈표 4-14〉 회양부사 정창도 산론(양주 화접동) 141

〈표 4-15〉 건원릉 내에 대한 간심단의 풍수적 평가 145

〈표 4-16〉 英陵 내에 대한 간심단의 풍수적 평가 151

〈표 4-17〉 광주 번천에 대한 간심단의 풍수적 평가 151

〈표 4-18〉 금천 남자하동에 대한 간심단의 풍수적 평가 156

〈표 4-19〉 숭릉 택지를 위한 재간심지 평가 158

〈표 4-20〉 숭릉 택지 양주 화접동 재 평가 159

〈표 4-21〉 숭릉택지 광주 번천 재평가 163

〈표 4-22〉 교하의 산론에 대한 간심단의 평가(숭릉) 165

〈표 4-23〉 건원릉에 대한 간심단의 재평가(숭릉) 168

〈표 4-24〉 경종의 국상시 총호사 및 삼도감 당상 171

〈표 4-25〉 경종의 산릉택지 1차 간심단 171

〈표 4-26〉 경종의 초기(9월5일 경) 간심지역과 결과 173

〈표 4-27〉 경종의 왕릉택지 2차 간심단(재 간심단) 173

〈표 4-28〉 경종의 왕릉택지 재간심 소견(겸교수 곽진곤 등) 174

〈표 4-29〉 경종의 왕릉택지 재간심 소견(사용 나만우 등) 175

〈표 4-30〉 경종의 왕릉택지 재간심 소견(사용 경엽 등) 175

〈표 4-31〉 경종의 재 간심지역 4곳에 대한 총호사의 서계 176

〈표 4-32〉 경종의 산릉 택지에 대한 재 간심 이후 산릉 결정과정 177

〈표 4-33〉 장자가 승계한 경우에 조영된 왕릉의 택지 200

〈표 4-34〉 자신의 아들에게 보위를 이어준 국왕의 왕릉택지 200

〈표 4-35〉 자신의 아들에게 보위를 이어주지 못한 국왕의 왕릉택지 201

〈표 4-36〉 왕릉의 좌향 현황 206

〈그림 2-1〉 고려 공민왕대 장명등과 조선 태조대 장명등 29

〈그림 2-2〉 조선 태종대 장명등 31

〈그림 2-3〉 최영장군 묘 38

〈그림 2-4〉 고려 공민왕과 노국공주의 현·정릉 39

〈그림 2-5〉 오형산의 기본 도형 41

〈그림 2-6〉 숙종 명릉 산도 42

〈그림 2-7〉 숙종 명릉 위성도 43

〈그림 2-8〉 숙종명릉 현황사진 43

〈그림 3-1〉 교하로 천장된 인조 長陵 111

〈그림 3-2〉 여주 홍제동으로 천장된 효종의 寧陵 117

〈그림 3-3〉 숙종 명릉 入首處 127

〈그림 4-1〉 현종의 숭릉 170

초록보기 더보기

 본 연구에서는 조선 국왕의 권위와 통치력의 변화과정을 왕릉의 擇地와 山論을 통해서 살펴보았다. 조선왕릉의 조영은 새로 즉위한 국왕이 가장 먼저 수행하는 과제였다. 특히 왕릉의 조영과정과 절차는 예제에 따라 진행되는 매우 중요한 의식이었다. 왕릉의 조영을 예제에 따라 행한 것은 왕릉조영을 통해서 백성들에게 통치자로서의 정통성과 권위를 드러내기 위한 것으로 보인다.

조선왕릉을 조영하는 모든 과정은 어느 것 하나 중요하지 않은 것이 없었다. 그 가운데서도 특히 왕릉을 조영하기 위한 택지의 선정은 다른 무엇보다도 진중한 과정을 거쳐서 결정 하였다. 왕릉택지를 선정하는 과정 중에는 풍수적 측면에서 吉凶여부를 검증 받아야 했다. 이때 국왕의 장지 후보지에 대한 논의는 지관들이 올려 보낸 '山論'을 가지고 하였다. 산론이란 지관들이 산을 둘러본 후 풍수적인 측면에서 길흉을 검토한 보고서이다. 국왕과 총호사 등은 산릉도감에서 보고 받은 여러 곳의 산론을 놓고 우열을 가리면서 葬地를 결정 하였다. 조선시대 왕과 왕비의 왕릉을 조영할 때 이와 같은 과정은 지속적으로 반복되었다.

조선시대에는 국왕이 승하한 후 5일이 지나서 성복을 하였다. 성복을 하기 전 까지는 선왕의 죽음을 죽음으로 받아들이지 않았는데. 사실은 성복하기까지 5일 동안 새로운 국왕의 즉위와 국왕의 장례를 준비 하였다. 성복을 마친 후 보위에 오른 국왕은 선왕의 국상을 치르기 위해 국장도감·빈전도감·산릉도감 등을 구성하고 조직을 이끌어 갈 책임자를 임명하였다. 이때 삼도감을 지휘하는 총 책임자는 총호사라 하였고, 각 도감의 우두머리는 제조라고 하였다. 총호사는 주로 우의정이 임명되었고, 각각의 제조는 국장 임무를 책임지고 이끌어갈 수 있는 역량이 있는 자들로 구성 되었다. 이렇게 구성된 조직은 국상 기간 동안만 유지되었으며, 총호사를 비롯한 각 제조들은 국상기간 중 몇 차례 任免되었다.

총호사와 산릉도감에서는 국상에 쓰일 葬地를 찾기 위한 조직(看審團)을 구성하였다. 왕릉의 장지로 사용하기 위한 山을 풍수적으로 평가하는 행위를 看審(또는 看山)이라고 하였다. 이때 간심업무에 종사하는 구성원을 地官또는 地師라 하였고, 그들 중 우두머리를 相地官이라고 하였다. 상지관은 관상감에 소속된 관원이었으며, 상지관을 비롯하여 간심에 참여하는 집단을 看審團이라고 하였다. 간심단은 산릉도감에 소속된 관원 신분의 지사와 方外地師로 구성되었다. 간심단에 소속된 방외지사는 풍수지리에 관한 지식을 인정받아 추천에 의해 합류된 사람들이다. 이들은 현직에 있지 않아 職名이 없기 때문에 임으로 軍職을 부쳐주어 국가의 일을 볼 수 있도록 하였다.

간심단은 총호사의 지휘를 받아가면서 왕릉의 장지로 쓰일 후보지를 간심하였다. 간심 대상지는 당초 봉표를 해 둔 곳과 여러 관계자들이 추천으로 선택된 곳들이었다. 이때 간심 대상지로 선택된 곳은 사대부들의 무덤이 있는 곳과 기존에 조영된 왕릉의 주변 산줄기, 그리고 민가가 있는 곳과 무덤이 조영되지 않은 새로운 곳 이었다. 그런데 간심 대상지는 왕대별로 또는 시대별로 달라지는 경향을 보였다. 본고에서는 간심대상지가 달라지는 원인과 이유 등을 국왕의 권위와 연계하여 검토해 보았다.

이러한 내용을 토대로 본고에서는 첫째, 조선왕릉의 택지를 결정하는 과정을 이해하기 위하여 당대인들이 갖고 있었던 地理에 대한 인식과 개념을 살펴보았다. 둘째, 조선후기 왕릉택지는 누구에 의해서 어떤 이유로 결정 되었는지, 그리고 기간은 얼마나 걸렸는지 등에 대한 흐름을 살펴보았다. 연구 자료는 연대기 자료와 『산릉도감의궤』등 문헌 자료와 현존하는 왕릉을 활용하였다. 이와 같이 문헌자료와 실존하는 현장의 상황을 비교 검토해 가면서 지리에 대한 인식을 검토했다. 이때 천장된 왕릉과 舊壙이 있었던 곳을 어떻게 사용했는지에 대해서도 穿鑿하였다. 셋째, 조선후기에 왕릉을 택지하는 과정에서 등장한 山論을 분석하였다. 왕릉택지과정에서 작성된 산론은 국왕을 비롯하여 총호사 등이 기본적으로 참조했던 1차 자료였다. 이때 간심단의 지관들이 작성한 산론은 어떤 풍수론을 적용하고 있었는지, 그리고 산론의 작성 형식과 구성은 시대적으로 또는 왕대별로 어떻게 변화해 나가고 있었는지에 대해서 상호 비교를 해 보겠다.

이상과 같은 검토는 두 가지 측면에서 의의가 있다. 첫째 왕릉 택지를 결정할 때 당대인들은 무엇을 기준으로 어떻게 평가하고 있었는지, 둘째 산론의 내용을 통하여 조선후기에 펼쳐진 풍수의 내용과 인식은 무엇을 추구하고 있었는지 이다. 본 연구는 조선왕릉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혀 줄 것으로 기대되지만 문제점도 적지 않다. 우선 왕릉의 택지는 국왕이 승하한 후 대략 1개월 동안 발생한 일들이다. 그런데 본고에서는 왕릉 택지 이후에 일어난 일들에 대해서는 거의 언급하지 못했다. 그리고 산론에 등장하는 풍수론을 해석하는데 있어서 당시 지관들의 생각을 모두 이해하였다고는 볼 수도 없다. 이러한 문제점으로 인해서 왕릉 택지의 시사점을 구체화시키지 못했다. 또 모든 왕릉의 의궤에 있는 산론을 살펴보지 못한 것은 산론에 대한 논쟁의 경향성을 파악하는데 한계를 나타냈다. 이상과 같은 문제점은 앞으로 계속된 연구에서 보완하겠다.

참고문헌 (146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더보기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經國大典 미소장
2 高麗史 미소장
3 國朝喪禮補編 미소장
4 國朝五禮儀 미소장
5 度支定例 미소장
6 續大典 미소장
7 承政院日記 미소장
8 新增東國輿地勝覽 미소장
9 輿地圖書 미소장
10 疑龍經 미소장
11 葬日通要 미소장
12 朝鮮王朝實錄 미소장
13 朱子家禮 미소장
14 地理正宗 미소장
15 (경종)산릉도감의궤(藏書閣圖書 K2-2329) 미소장
16 (숙종)산릉도감의궤(藏書閣圖書 K2-2328) 미소장
17 (인현왕후)산릉도감의궤(奎 14824) 미소장
18 (인현왕후)산릉도감의궤(藏書閣圖書 K2-2327) 미소장
19 (정성왕후)산릉도감의궤(奎 13591-1-2) 미소장
20 (현종)산릉도감의궤(藏書閣圖書 K2-2323) 미소장
21 (효종)산릉도감의궤(藏書閣圖書 K2-2320) 미소장
22 健陵山陵都監儀軌(藏書閣圖書 K2-2277), 미소장
23 元陵山陵都監儀軌(奎 13586-1-2) 미소장
24 인렬왕후국휼등록(藏書閣圖書 K2-2999) 미소장
25 인조대왕국휼등록(藏書閣圖書 K2-3001) 미소장
26 仁顯王后國恤謄錄(藏書閣圖書 K2-3003) 미소장
27 長陵遷奉時山陵都監儀軌(藏書閣圖書 K2-4803) 미소장
28 현종대왕국휼등록(藏書閣圖書 K2-3035) 미소장
29 경기도박물관 편, 顯隆園園所都監儀軌, 2006 미소장
30 손감묘결, 다산초당, 2008 미소장
31 능묘와 풍수 文化, 국학자료원, 2008 미소장
32 국립문화재연구소, 조선왕릉 2, 2011 미소장
33 국립문화재연구소,조선왕릉 1, 2009 미소장
34 국립문화재연구소,역사의 숲 조선왕릉, 2007 미소장
35 국사편찬위원회, 상장례, 삶과 죽음의 방정식, 두산동아, 2005 미소장
36 지리신법 미소장
37 풍수학사전, 비봉출판사, 2005 미소장
38 조선 풍수학인의 생애와 논쟁, 궁리출판, 2000 미소장
39 朝鮮初期 祭祀典禮 硏究, 집문당, 2003 미소장
40 문화재청, 舊禧陵 장경왕후 초장지 보존・정비 보고서, 2008 미소장
41 감룡경・의룡경, 비봉출판사, 2009 미소장
42 여주박물관, 세계문화유산 조선왕릉, 2010 미소장
43 朝鮮王陵石物志, 민속원, 1992 미소장
44 韓國風水思想史硏究, 일일사, 1991 미소장
45 韓國中世 禮思想硏究, 일조각, 1991 미소장
46 『高麗時代의 硏究』, 아세아문화사, 1979, 개정판 미소장
47 산릉도의 제작과 양식, 대원사, 2012 미소장
48 왕릉의 조성과 택지, 대원사, 2012 미소장
49 『조선왕릉 종합학술보고서』 1권, 2009 미소장
50 조선의 왕릉, 가람기획, 2003 미소장
51 조선의 禮治와 왕권, 민속원, 2012 미소장
52 조선왕릉풍수, 대흥기획, 1997 미소장
53 『고려왕릉』, 예맥, 2008 미소장
54 仁祖長陵山陵都監儀軌, 한국학중앙연구원, 2007 미소장
55 왕릉풍수와 조선의 역사, 대원사, 2002 미소장
56 고구려 고분의 조영과 제의, 서경문화사, 2011 미소장
57 주자가례, 예문서원, 1999 미소장
58 비보 (裨報)의 개념과 원리 네이버 미소장
59 도선국사 따라 걷는 우리 땅 풍수기행, 시공사, 2,000 미소장
60 한국의 풍수사상, 민음사, 1998 미소장
61 『한국의 자생풍수』, 민음사, 1997 미소장
62 청오경・금낭경, 민음사, 1993 미소장
63 朝鮮初期 國家祭禮 硏究, 일조각, 2002 미소장
64 地理新法, 비봉출판사, 2004 미소장
65 지학, 육일문화사, 2001 미소장
66 風水地理學叢書 硺玉斧/地理新法/明山論/巽坎妙訣, 경인문화사, 1969 미소장
67 「조선시대 조참의식의 구성과 왕권」, 조선왕실의 가례 1, 한국학중앙연구원, 2008 미소장
68 조선 초기 朝儀의 의례구조와 상징 소장
69 조선 世宗朝의 조회 소장
70 A Review on the Rites of Chohoe(朝會) in Early Chosun 소장
71 (A) study of Fungsu through in the earily era the Joseon dynasty 네이버 미소장
72 孝宗 寧陵의 조성과 陵制의 변화 소장
73 조선의 매장문화와 풍수사상 소장
74 「한국중세사회에 있어 풍수・도참사상의 전개과정」, 한국중세사연구21, 2006 미소장
75 조선왕릉과 명대 묘장제도의 비교연구 소장
76 조선시대 국가전례서의 편찬 양상 소장
77 A Study of 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Pit of Royal Lime Tombs in the Choseon Dynasty 소장
78 조선 왕릉 석실 및 능상구조의 변천에 관한 연구 소장
79 「풍수사상에서 본 조선왕릉원묘 조성 기법에 관한 연구 (중)」, 한국전통문화연구 5, 1989 미소장
80 「풍수사상에서 본 조선왕릉원묘 조성 기법에 관한 연구 (상)」, 한국전통문화연구 4, 1988 미소장
81 李朝王陵의 石人彫刻 : 李朝彫刻樣式의 變遷 소장
82 朝鮮時代王陵에 관한 風水信仰 연구 소장
83 『조선후기 국왕 행차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2005 미소장
84 「朝鮮의 王陵과 胎峯의 比較 硏究 : 同氣感應論과 風水理論을 中心으로」, 동방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미소장
85 Acculturation of FengShuiDocham idea followedby the spread of Sung Confucianism 네이버 미소장
86 (A)study on the measuring unit used in stoneworks of the royal tombs in the late period of Chosun dynasty 소장
87 조선후기 산릉도감의궤에 나타난 장인의 조영활동에 관한 연구 소장
88 「6~7세기 高句麗 왕릉과 百濟·新羅 왕릉의 구조 비교」, 고구려발해연구36輯, 2008 미소장
89 「朝鮮時代 國王胎峰의 風水的 特性 硏究」, 동방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1 미소장
90 風水地理說의 山形態의 解析 整理에 관한 硏究 소장
91 awareness about identical-chi sympathy theory of confucianist in the Joseon dynasty 소장
92 조선후기 실학적 풍수지리사상의 흐름 소장
93 朝鮮 王室 喪禮에 나타난 陰陽五行 연구 소장
94 「현릉원 천원과 화성건설을 통해 본 정조의 풍수지리관」,『한국사상사학회』한국사상사학 제17집, 2001 미소장
95 「조선전기 천릉의 과정과 정치적 성격」, 조선시대사학보 58, 2011 미소장
96 조선 숙종대 왕실 상장례 설행공간의 건축특성 : 빈전·산릉·혼전을 대상으로 소장
97 풍수와 환경문화.1,형기론을 중심으로 소장
98 조선 능제(陵制)의 회격(灰隔) 조성방법 : 장경왕후 초장지(舊禧陵)를 중심으로 소장
99 朝鮮王朝後期 王陵의 石人石獸 硏究 네이버 미소장
100 태조대 정릉 건설의 정치사적 의미 소장
101 「문화관광자원의 풍수지리적 입지요인에 관한 연구 -조선초기 왕릉을 중심으로」, 여행학연구 9, 1999 미소장
102 17세기 후반 산릉역의 승군 징발 소장
103 「신라의 喪葬禮와 陵園制度」, 신라문화재학술발표논문집, 28권,2007 미소장
104 한국사 시민강좌 제14집 목차 네이버 미소장
105 「조선왕릉 조영형식의 변천과 왕릉 입지 고찰」, 소통과 인문학 제15집 미소장
106 한성대학교 인문과학연구원, 2012 미소장
107 선조대 유릉 택지에서 드러나는 왕릉 조영의 변화와 원인 소장
108 조선후기 사대부의 성리학적 풍수관 : 분수원산송을 사례로 소장
109 「조선시대 陵墓碑에 관한 연구」, 한성대학교 일반대학원 사학과 석사학위논문, 1996 미소장
110 Construction of Royal Mausoleums during the Joseon dynasty period and related text materials 소장
111 朝鮮前期의 五禮와 家禮 네이버 미소장
112 「조선초기의 풍수지리사상」, 사학연구 39, 1987 미소장
113 경복궁 근정전 월대 난간석주상 연구 소장
114 (A)study on the Yin-yang examination of civil service in Joseon dynasty 소장
115 朝鮮時代 王陵陵域의 建築과 配置形式 연구 소장
116 조선후기 국왕의 陵幸 연구 네이버 미소장
117 조선 왕릉 광중 탄격(壙中 炭隔) 조성의 배경과 시대적 변천 소장
118 「朝鮮王陵의 風水地理的 解釋과 計量的 分析 硏究」, 동방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0 미소장
119 「조선 전기 왕릉제도의 성립과 石人 ․ 石獸양식 연구」, 美術史論壇제29호, 2009 미소장
120 현륭원(顯隆園) 석물(石物) 조성 연구 소장
121 세종대~단종대의 정치 변동과 풍수지리 : 풍수가 목효지의 사례를 중심으로 소장
122 조선왕조 회격식 능침 연구 소장
123 조선시대 산도를 통해서 본 지리인식 소장
124 Construction, Management, and Transfer of the Royal Tombs of Chosun Dynasty in Seoul and its suburbs in the 17, 18th Century 소장
125 Publishment of Gugjo-oryeui and Sovereign Power in the early Joseon Dynasty 소장
126 A Study on the Ritual Artifacts within a T-shaped Building in front of the Royal Mausoleums for the Founder of the Joseon Dynasty 소장
127 「《朝鮮王朝實錄》의 風水地理文獻 硏究 : 《靑烏經》ㆍ《錦囊經》 미소장
128 《狐首經》을 中心으로」, 공주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0 미소장
129 「풍수 바로 알기」, 대한지리학회보 90, 2006 미소장
130 韓國 石燈樣式史 연구 소장
131 조선초기 상장의례 연구 소장
132 정조시대 현륭원 조성과 수원 이읍 연구 소장
133 조선왕릉의 능역 복원에 관한 연구 소장
134 조선후기에 제작된 輪圖에 관한 연구 : 규장각 소장 윤도의 구성방식과 논리체계를 중심으로 소장
135 道詵의 生涯와 羅末麗初의 風水地理說 : 禪宗과 風水地理說의 관계를 중심으로 하여 소장
136 「조선 왕릉에 대한 역사지리적 고찰」『능묘를 통해 본 동아시아 제국의 위상 – 조선왕릉과 그 주변 - 』, 2011 미소장
137 道詵風水의 본질에 관한 몇 가지 論究 소장
138 Research about the form of helmet and armour refered to the stone statues of warriors in imperial mausoleum of choseun Dynasty 네이버 미소장
139 風水思想에서의 水 소장
140 韓國 風水思想의 歷史와 地理學 소장
141 「風水說 坐向論上의 吉凶判斷에 관한 緯學的 解釋」, 地理學 26, 미소장
142 1982「조선후기 실학자들의 풍수사상」, 한국문화 11, 1990 미소장
143 A Study of sacrificial rites related Royal Mausoleums in early Joseon Dynasty. 네이버 미소장
144 15세기 祀典體制의 성립과 그 추이 : 『國朝五禮儀』편찬과정을 중심으로 소장
145 조선초기 국가제례 연구 소장
146 「조선시대 陵碑의 건립과 御筆碑의 등장」, 문화재 42-4, 2009 미소장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