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0
학위논문 1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0)
일반도서 (0)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1)
학위논문 (1)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논문명/저자명
韓國 乾漆佛像의 硏究 / 최은령 인기도
발행사항
부산 : 동아대학교 대학원, 2013.2
청구기호
TD 930.1 -13-57
형태사항
xvi, 248 p. ; 26 cm
자료실
전자자료
제어번호
KDMT1201348544
주기사항
학위논문(박사) -- 동아대학교 대학원, 고고미술사학과, 2013.2. 지도교수: 박은경
원문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국문초록

목차

I. 머리말 19

1. 연구현황 19

2. 연구목적 21

3. 연구방법 22

II. 건칠과 건칠불상의 시원 24

1. 건칠의 유래 24

2. 중국·일본 건칠불상의 시원 32

가. 중국 32

나. 일본 40

III. 한국 건칠불상의 현황 44

1. 문헌기록 44

2. 작품사례 50

IV. 한국 건칠불상의 조형성과 시기별 특징 58

1. 여래상 59

1) 청원사 건칠아미타여래좌상 (도12~도15) 59

2) 선국사 건칠아미타여래좌상 (도16~도21) 61

3) 심향사 건칠아미타여래좌상 (도22~도25) 62

4) 청량사 건칠약사여래좌상 (도26~도29) 63

5) 대둔사 건칠아미타여래좌상 (도30) 66

6) 보덕사 건칠아미타여래좌상 (도31) 67

7) 불회사 건칠비로자나여래좌상 (도32~도35) 67

8) 실상사(도36~도43), 죽림사(도44~도47), 쌍계사(도48~도51) 건칠아미타여래좌상 69

2. 보살상 73

1) 청량사 건칠보살좌상 (도52~도53) 73

2) 대창집고관 건칠보살좌상 (도54~도57) 73

3) 국립중앙박물관 건칠보살좌상 (도58~도63) 75

4) 원명사 건칠지장보살좌상 (도64~도67) 78

5) 장륙사 건칠관음보살좌상 (도68~도73) 81

6) 파계사 건칠관음보살좌상 (도74~도79) 83

7) 낙산사 건칠관음보살좌상 (도80~도83) 85

8) 실상사 건칠관음보살입상 (도84~도88), 동아대학교박물관 건칠세지보살입상(도89~도95) 87

9) 기림사 건칠관음보살좌상 (도96~도103) 89

3. 시기별 조형적 특징 93

가. 고려후기 건칠불상 93

나. 여말선초 건칠불상 109

다. 조선전기 건칠불상 123

V. 한국 건칠불상의 제작기법과 그 특징 131

1. 건칠불상의 종류 131

가. 탈건칠불상 131

나. 목심건칠불상 132

2. 한국 건칠불상의 제작기법 135

가. 내부구조 135

나. 건칠층 138

다. 세부성형 141

라. 감입장식 143

3. 중국과 일본 건칠불상의 제작기법 151

가. 중국 151

나. 일본 156

VI. 한국 건칠불상의 조성배경 165

1. 불교조각사적 의의 165

가. 불상재료의 변화 165

나. 중국불상의 영향 181

2. 발원계층의 성격 190

가. 왕실발원 191

나. 민중발원 203

3. 불교신앙과 의례 207

가. 아미타, 관음신앙 207

나. 불교의례 214

VII. 맺음말 218

참고문헌 258

Abstract 265

표1. 한국 건칠불상 목록 53

표2. 한국 건칠불상의 지역분포 54

표3. 조선시대 "칠" 산지 55

표4. 고려후기 여래상 목록(국내) 100

표5. 고려후기 보살상 목록(국내) 108

표6. 불상의 신체규격 110

표7. 여말선초 여래상 목록 113

표8. 여말선초 보살상 목록 114

표9. 조선전기 여래·보살상 목록 130

표10. 한국 건칠불상의 제작기법 135

표11. 한국 건칠불상의 건칠층 138

표12. 조선전기 지역별 석재(보석) 산지 147

표13. 일본 건칠불상 목록 163

표14. 일본의 시대별 불상재질 변화 164

표15. 한국과 일본의 건칠불상 제작과정 164

표16. 고려시대 문헌기록에 보이는 소조상 175

표17. 조선시대 문헌기록에 보이는 소조상 179

표18. 고려후기~조선전기 불상의 소재별 변화 180

표19. 파계사의 주요연혁 193

도1. 협저대감, 진시황제고분 출토, 지름 141㎝ 221

도2. 나전단화금수문경, 지름 18.6㎝, 국보 제140호, 통일신라시대 221

도3. 건칠반, 강창규 작, 등록문화재 제451호 221

도4. 지국천왕상, 당마사 금당, 7세기 후반, 탈건칠 222

도5. 팔부중입상, 흥복사, 나라시대, 탈건칠 222

도6. 팔부중입상, 흥복사, 나라시대, 탈건칠 222

도7. 아수라입상, 흥복사, 나라시대, 탈건칠 222

도8. 감진화상상, 당초제사, 탈건칠 223

도9. 감진화상상 얼굴 223

도10. 목조아미타여래좌상, 1274년 223

도11. 화광선사발원문, 1322년, 개운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 복장 출토 223

도12. 청원사 건칠아미타여래좌상(현재모습), 120.0㎝ 224

도13. 청원사 건칠아미타여래좌상 개금전 모습 224

도14. 청원사 건칠아미타여래좌상 개금후 수리모습 1970년대 224

도15. 청원사 건칠아미타여래좌상 복장유물 224

도16. 선국사 건칠아미타여래좌상, 132.0㎝ 225

도17. 선국사 건칠아미타여래좌상 좌측면 225

도18. 선국사 건칠아미타여래좌상 우측면 225

도19. X선 촬영 225

도20. X선 촬영 226

도21. 선국사 건칠아미타여래좌상 복장유물 226

도22. 심향사 건칠아미타여래좌상, 136.0㎝ 226

도23. 심향사 건칠아미타여래좌상 좌측면 226

도24. 심향사 건칠아미타여래좌상 X선 촬영 227

도25. 심향사 건칠아미타여래좌상 X선 촬영 227

도26. 청량사 유리보전 삼존불 227

도27. 청량사 건칠약사여래좌상 복장일괄 228

도28. 청량사 건칠약사여래좌상, 91.5㎝ 228

도29. 경주석굴암 본존불, 국보 제24호 228

도30. 대둔사 건칠아미타여래좌상, 105.5㎝ 229

도31. 보덕사 건칠아미타여래좌상, 94.3㎝ 229

도32. 불회사 건칠비로자나불좌상, 128.0㎝ 229

도33. 불회사 건칠비로자나불좌상 우측면 229

도34. 불회사 건칠비로자나불좌상 X선 촬영 230

도35. 불회사 건칠비로자나불좌상 X선 촬영 230

도36. 실상사 건칠아미타여래좌상, 121.0㎝ 230

도37. 실상사 건칠아미타여래좌상 뒷면 230

도38. 실상사 건칠아미타여래좌상 우측면 231

도39. 실상사 건칠아미타여래좌상 좌측면 231

도40. 실상사 건칠아미타여래좌상 X선 촬영 231

도41. 실상사 건칠아미타여래좌상 X선 촬영 231

도42. 실상사 건칠아미타여래좌상 복장유물 232

도43. 실상사 건칠아미타여래좌상 개금불사기 232

도44. 죽림사 건칠아미타여래좌상, 116.0㎝ 233

도45. 죽림사 건칠아미타여래좌상 좌측면 233

도46. 죽림사 건칠아미타여래좌상 우측면 233

도47. 죽림사 건칠아미타여래좌상 X선 사진 233

도48. 쌍계사 건칠아미타여래좌상, 155.0㎝ 234

도49. 쌍계사 목조삼세불좌상(약사여래좌상), 보물 제1378호, 조선 1639년 234

도50. 쌍계사 건칠아미타여래좌상 좌측면 234

도51. 쌍계사 건칠아미타여래좌상 우측면 234

도52. 청량사 건칠보살좌상, 76.5㎝ 235

도53. 청량사 목조지장보살반가상, 보물 제1666호, 조선 1576년 235

도54. 건칠보살좌상, 123.0㎝ 235

도55. 건칠보살좌상 뒷면 235

도56. 건칠보살좌상 X선 사진 236

도57. 건칠보살좌상 금속제보관과 목제손 236

도58. 건칠보살좌상, 124.0㎝ 236

도59. 건칠보살좌상 뒷면 236

도60. 건칠보살좌상 좌측면 237

도61. 건칠보살좌상 우측면 237

도62. 건칠보살좌상 X선 사진(얼굴) 237

도63. 건칠보살좌상 X선 사진(목걸이, 승각기금구장식) 237

도64. 원명사 건칠지장보살좌상, 75.5㎝ 238

도65. 원명사 건칠지장보살좌상 뒷면 238

도66. 원명사 건칠지장보살좌상 우측면 238

도67. 원명사 건칠지장보살좌상 좌측면 238

도68. 장륙사 건칠관음보살좌상, 76.8㎝ 239

도69. 장륙사 건칠관음보살좌상 우측면 239

도70. 장륙사 건칠관음보살좌상 정면(보관 제거) 239

도71. 장륙사 건칠관음보살좌상 뒷면 239

도72. 장륙사 건칠관음보살좌상 X선 사진 240

도73. 장륙사 건칠관음보살좌상 X선 사진 240

도74. 파계사 건칠관음보살좌상, 101.0㎝ 240

도75. 파계사 건칠보살좌상 X선 사진(정면) 240

도76. 파계사 건칠보살좌상 우측면 241

도77. 파계사 건칠보살좌상 X선 사진(우측면) 241

도78. 파계사 건칠관음보살좌상 뒷면 241

도79. 파계사 건칠상 복장출토 영조대왕도포세부 241

도80. 낙산사 건칠관음보살좌상, 112.0㎝ 242

도81. 낙산사 건칠관음보살좌상 좌측면 242

도82. 낙산사 건칠관음보살좌상 X선 사진(정면) 242

도83. 낙산사 건칠관음보살좌상 X선 사진(좌측) 242

도84. 실상사 건칠관음보살입상, 148.0㎝ 243

도85. 실상사 건칠관음보살입상 X선 사진(정면) 243

도86. 실상사 건칠관음보살입상 우측면 243

도87. 실상사 건칠관음보살입상 X선 사진(우측면) 243

도88. 실상사 건칠관음보살입상 뒷면 244

도89. 동아대학교박물관 건칠세지보살입상, 147.0㎝ 244

도90. 동아대학교박물관 건칠세지보살입상 뒷면 244

도91. 동아대학교박물관 건칠세지보살입상 우측면 244

도92. 동아대학교박물관 건칠세지보살입상 X선(얼굴) 245

도93. 동아대학교박물관 건칠세지보살입상 X선(천의) 245

도94. 동아대학교박물관 건칠세지보살입상 X선(발) 245

도95. 실상사 목조세지보살입상, 현대 245

도96. 기림사 건칠관음보살좌상, 93.4㎝ 246

도97. 기림사 건칠관음보살좌상 246

도98. 기림사 건칠관음보살좌상 좌측면 246

도99. 기림사 건칠관음보살좌상 뒷면 246

도100. 기림사 건칠보살좌상과 목조대좌, 1970년대 247

도101. 기림사 건칠보살좌상과 목조대좌 247

도102. 기림사 건칠보살좌상 목조대좌 247

도103. 목조대좌 상면 묵서 247

도104. 개심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 118.0㎝, 1280년 중수 248

도105. 장곡사 금동약사여래좌상, 85.5㎝, 1346년 248

도106. 문수사 금동아미타여래좌상, 69.0㎝, 1346년 248

도107. 봉림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 87.0㎝, 1362년 하한 248

도108. 신암사 금동아미타여래좌상, 100.0㎝, 14세기 중엽 249

도109. 보광사 목조관음보살좌상 249

도110. 보광사 목조관음보살좌상 X선 정면 249

도111. 보광사 목조관음보살좌상 X선 좌측면 249

도112. 금동관음, 세지보살입상, 1333년 250

도113. 대승사 금동관음보살좌상, 1516년 개금, 보물 제991호 250

도114. 목조보살입상, 1620년 250

도115. 목조보살입상, 조선후기 17세기 250

도116. 무위사 목조아미타삼존불좌상, 150.0㎝(본존), 조선1478년 251

도117. 무위사 소조아미타여래좌상 251

도118. 무위사 소조아미타여래좌상 X선 사진 251

도119. 무위사 목조관음보살좌상 252

도120. 무위사 목조관음보살좌상 X선 사진 252

도121. 무위사 목조지장보살좌상 252

도122. 무위사 목조지장보살좌상 X선 사진 252

도123. 건칠여래좌상, 중국 오대 99.5㎝ 253

도124. 건칠여래좌상, 중국 오대 96.5㎝ 253

도125. 건칠부두, 중국 10세기 253

도126. 건칠보살좌상, 중국 당대, 44.0㎝ 253

도127. 건칠여래좌상, 중국 청대 254

도128. 건칠여래좌상 X선 사진 254

도129. 건칠여래좌상 뒷면 254

도130. 건칠여래좌상 좌측면 254

도131. 건칠나한좌상, 중국 1099년, 40㎝ 255

도132. 건칠보살좌상, 중국 청대 강희연간, 24㎝ 255

도133. 성모궁신상, 155㎝ 255

도134. 성모궁신상 X선 사진 255

도135. 십대제자의 목심부 256

도136. 십대제자입사 256

도137. 아수라상뒷면 256

도138. 아수라상 얼굴부분 256

도139. 가루라상 257

도140. 천부상 257

도141. 감진화상상, 당초제사, 탈건칠 257

도142. 의연승정상 257

삽도1. 한국 건칠불상의 지역분포도 52

삽도2. 청원사 건칠아미타여래좌상, 120.0㎝ 59

삽도3. 청원사 건칠아미타여래좌상 개금전 59

삽도4. 선국사 건칠아미타여래좌상, 132.0㎝ 61

삽도5. 선국사 건칠아미타여래좌상 좌측면 61

삽도6. 심향사 건칠아미타여래좌상, 136.0㎝ 62

삽도7. 심향사 건칠아미타여래좌상 좌측면 62

삽도8. 청량사 유리보전 삼존불상 64

삽도9. 불회사 건칠비로자나불좌상, 128.0㎝ 68

삽도10. 불회사 건칠비로자나불좌상 우측면 68

삽도11. 실상사 건칠아미타여래좌상, 121.0㎝ 70

삽도12. 죽림사 건칠아미타여래좌상, 116.0㎝ 70

삽도13. 쌍계사 건칠아미타여래좌상, 155.0㎝ 70

삽도14. 건칠보살좌상 얼굴과 보관 74

삽도15. 건칠보살좌상 귀와 머리카락 74

삽도16. 건칠보살좌상 두부 정면(보관제거) 74

삽도17. 건칠보살좌상 두부 뒷면(보관제거) 74

삽도18. 건칠보살좌상 두부 76

삽도19. 건칠보살좌상 X선 사진(얼굴) 76

삽도20. 건칠보살좌상 두부 측면 76

삽도21. 건칠보살좌상 두부 뒷면 76

삽도22. 원명사 건칠지장보살좌상 복장유물 78

삽도23. 원명사 건칠지장보살좌상 중수발원문67.4×41.7㎝ 78

삽도24. 원명사 건칠지장보살좌상 두부 79

삽도25. 원명사 건칠지장보살좌상 두부 79

삽도26. 장륙사 건칠관음보살좌상 불복장동발원문, 1395년 82

삽도27. 파계사 건칠관음보살좌상 저부 명문 84

삽도28. 파계사 건칠관음보살좌상 복장내부 명문 84

삽도29. 파계사 건칠관음보살좌상 두부 85

삽도30. 보계와 보계장식 85

삽도31. 낙산사 건칠관음보살좌상 두부와 보관 86

삽도32. 동아대 건칠보살입상 얼굴 87

삽도33. 동아대 건칠보살입상 머리카락 표현 87

삽도34. 실상사 건칠보살입상 얼굴 87

삽도35. 실상사 건칠보살입상 머리카락 표현 87

삽도36. 실상사 건칠불 보계 87

삽도37. 동아대 건칠세지보살입상 보관 88

삽도38. 실상사 건칠관음보살입상 보관 88

삽도39. 기림사 건칠보살좌상 얼굴과 보계 91

삽도40. 기림사 건칠보살좌상 보계와 보발 91

삽도41. 고려후기 건칠여래상의 두부 94

삽도42. 고려후기 여래상의 두부 95

삽도43. 고려후기 건칠여래상의 착의법 96

삽도44. 고려후기 여래상의 착의법 97

삽도45. 군의 띠매듭과 승각기 금구장식 98

삽도46. 고려후기 건칠여래상의 군의 띠매듭 99

삽도47. 고려후기 건칠여래상의 대의자락 표현 99

삽도48. 고려후기 여래상의 대의자락 표현 99

삽도49. 고려후기 건칠보살상 101

삽도50. 고려후기 보살상 착의법 102

삽도51. 고려후기 건칠보살상 군의 띠매듭 103

삽도52. 고려후기 보살상 군의 띠매듭 103

삽도53. 승각기 금구장식 104

삽도54. 건칠보살상 보관 106

삽도55. 목걸이 장식 107

삽도56. 여말선초 건칠여래상 109

삽도57. 불상의 얼굴 비교 110

삽도58. 불상의 옷주름 비교 111

삽도59. 여말선초 건칠보살상 115

삽도60. 국립중앙박물관 금동세지보살입상의 보관 118

삽도61. 동국대학교박물관 목조보살입상의 보관 119

삽도62. 건칠보살상 보관 120

삽도63. 보살상 목걸이 화문장식 122

삽도64. 기림사 건칠보살좌상의 수리전 1970년대 사진모습 123

삽도65. 금동미륵반가상 124

삽도66. 금동미륵반가상 124

삽도67. 수종사 금동반가사유상 124

삽도68. 기림사 건칠관음보살좌상 대좌, 조선시대 1501년 127

삽도69. 수덕사 대웅전 육각수미좌, 고려시대 1308년 127

삽도70. 기림사 건칠관음보살좌상 보관, 보계 128

삽도71. 1970년대 사진 128

삽도72. 동아대학교박물관 건칠대세지보살입상 130

삽도73. 중국 진국사 협시보살상 130

삽도74. 건칠불상의 머리 절개흔적 136

삽도75. 건칠불상의 내부구조 및 마감 137

삽도76. 건칠불상의 귀 138

삽도77. 국립중앙박물관 건칠보살좌상 장식물 141

삽도78. 군의 띠매듭 표현 142

삽도79. 해인사 희랑대사상 얼굴세부 및 X-ray 사진 143

삽도80. 건칠불상의 감입기법 144

삽도81. 보살상의 보관 장엄 145

삽도82. 건칠기법으로 샘플 제작과정 148

삽도83. 시편1 일반투과광 현미경사진 153

삽도84. 시편1 편광 현미경사진 153

삽도85. 시편1 바탕 재료 153

삽도86. 시편1 주칠층 분석결과 153

삽도87. 시편2 일반투과광 현미경사진 154

삽도88. 시편2 편광 현미경사진 154

삽도89. 시편2 바탕 재료 154

삽도90. 시편2 주칠층 분석결과 154

삽도91. 건칠여래좌상 세부 및 내부 155

삽도92. 건칠보살상 불두편 155

삽도93. 건칠나한좌상, 송 1099년(원부2년), 40㎝ 156

삽도94. 보살두부, 내량, 잔존길이 16.9㎝, 면폭 9.2㎝ 160

초록보기 더보기

건칠불상이란 옻칠과 마포를 겹쳐 발라 만든 불상을 말하는데, 불상의 내부가 비어있어 가벼운 점을 특징이라 할 수 있다. 건칠불상은 불상을 만드는 다양한 재료와 기법 중 한가지로 한국·중국·일본에서 각각 제작되었는데, 그 명칭이 동일하지 않고 제작기법과 유행시기도 차이를 보였다.

한국에는 고려시대 1078년에 宋으로부터 전래된 夾紵佛像의 기록이 가장 빠른 사례이며, 1491년 해인사에서 왕실발원의 漆布佛像 조성기록을 확인할 수 있다. 중국에서 고려로 전래된 건칠불상 제작기법이 중국에서는 夾紵佛像이라는 명칭으로 고려와 조선시대에는 漆布佛像으로 불리었다. 중국 송대의 협저는 불상의 제작기법에 의거하였고, 고려와 조선시대의 칠포는 금·은·동과 같이 불상의 재료에 근거한 용어를 새롭게 사용했음을 알 수 있다.

지금까지 확인된 한국의 건칠불상은 20여구이며 장륙사 건칠관음보살좌상(1395년)과 파계사 건칠관음보살좌상(1447년 중수), 기림사 건칠관음보살좌상(1501년)을 비롯하여 대체로 고려후기에서 조선전기의 특징을 보이는 작품들이다. 건칠불상이 전래하는 사찰을 지역별로 살펴보면 경상도와 전라도일대를 중심으로 분포하고 있는데, 이것은 건칠불상의 주요재료인 옻나무의 조선시대 주요산지와도 일치하여 중요한 사실이다.

건칠불상은 고려후기에서 조선전기의 양식적 특징이 분명한 불상들과 비교하였을 때 여말선초기의 작품들이 많고 등신의 크기에 단정한 이목구비, 아미타수인을 결하고 결가부좌한 안정적인 자세를 보인다. 여래상은 머리와 구분되는 둥근 육계와 촘촘한 나발, 보살상은 화려한 보관과 몸 전체를 장식한 영락표현을 중심으로 여말선초기의 과도기적 특징을 잘 보여준다.

한국의 건칠불상은 육안조사와 함께 X-RAY필름 및 복장조사를 통해 건칠 불상의 제작기법상 특징을 파악하였다. 한국의 건칠불상은 불상의 내부에 어떠한 구조물도 없는 탈건칠불상이다. 내부는 1차적으로 건칠불상의 기본 형태가 되었던 塑像을 제거한 후 내부를 깨끗이 긁어내거나 漆, 胡粉, 朱沙를 발라 마감을 하였다. 건칠층은 대체로 7~12층 정도이며 단면의 총 두께는 가장 두꺼운 것이 2cm를 넘지 않는다. 불상의 외부 성형에 목니칠의 사용이 많지 않고, 양손과 귀는 따로 만들어 불신에 부착하는 방법으로 제작되었다. 특히 건칠불상은 눈동자와 백호를 수정재질로 감입하였는데, 다른 재질의 불상에서는 찾아보기 어려운 기법이다. 여래상은 계주, 보살상은 보관의 장신구와 영락장식에도 수정 및 보석류를 감입하여 사실감을 한층 더 하고 있다.

건칠불상은 가볍고 내구성이 강한 재질적 특성과 고가의 칠을 대량으로 사용하여 긴 제작시간과 정밀한 제작과정을 거쳐야하는 어려움이 수반되는 작업이다. 건칠불상을 제작하는 데에는 고가의 漆을 수급하는 문제가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였기 때문에, 다른 여러 소재의 불상에 비해서 남다른 공력과 시주가 필요하였던 상황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건칠불상이 고려후기에서 조선전기까지의 짧은 시기동안 소수의 작품만을 남기고 그 전통이 단절된 데에는 불상을 만드는 소재와 제작기법에서 당시 대중화될 수 없었던 것에 연유한다.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