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0
학위논문 1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0)
일반도서 (0)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1)
학위논문 (1)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논문명/저자명
일제 강점기 숭의여학교의 근대교육과 항일운동에 관한 연구 / 김민희 인기도
발행사항
서울 : 서울시립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8
청구기호
TM 907 -13-83
형태사항
vi, 74 p. ; 26 cm
자료실
전자자료
제어번호
KDMT1201350133
주기사항
학위논문(석사) -- 서울시립대학교 교육대학원, 역사교육전공, 2013.8. 지도교수: 염인호
원문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국문초록

목차

제1장 서론 10

제1절 문제제기 및 연구목적 10

제2절 연구범위와 연구방법 12

제2장 숭의여학교의 개교와 초창기 교육활동 15

제1절 개교와 학생들의 생활 15

제2절 초창기의 교육 17

제3장 일제의 무단 및 문화정치기 숭의여학교의 교육활동과 항일운동 20

제1절 일제의 교육통제정책과 그에 대한 저항 20

1. 1910년-1920년대 일제의 교육정책 20

2. 일제의 교육정책에 대한 숭의여학교의 저항 21

제2절 송죽결사대(松竹決死隊)의 활동과 만세운동 24

1. 송죽결사대(松竹決死隊)의 활동 및 영향 25

2. 숭의여학교의 만세운동 31

제4장 황민화 정책기 일제의 탄압과 숭의여학교의 항일운동 39

제1절 일제의 교육 탄압과 그에 대한 대응 39

1. 1930년대의 교육상황 39

2. 학력지정학교로의 변경 39

3. 학력 지정학교로서의 숭의여학교와 고등보통학교로서의 이화여학교의 교육 비교 42

4. 숭의여학교의 폐교 52

제2절 농민계몽운동과 신사참배거부운동 60

1. 농민계몽운동 60

2. 신사참배거부운동 63

제5장 결론 73

참고문헌 76

ABSTRACT 79

〈표 1〉 초창기 숭의여학교의 교육내용 17

〈표 2〉 평안남도 숭의여학교 학생운동 내용(1930. 1. ~ 2.) 37

〈표 3〉 숭의여학교 1930년대 교과과정 43

〈표 4〉 이화여학교 1930년대 교과과정 45

〈표 5〉 1930년대 숭의여학교의 교육행사 47

〈표 6〉 숭의의 구락부 활동 49

〈표 7〉 북장로회 선교부 소속 폐쇄 결의 학교 52

〈표 8〉 문자보급운동에 참여한 학교·인원(1934년 여학교만) 62

〈표 9〉 장로회 선교부 소속 사립학교 통계(1930~1940) 65

〈표 10〉 북 장로교 소속 중등학교의 지정학교화 70

초록보기 더보기

 숭의여학교는 이화여학교, 배화여학교, 정신여학교와 함께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근대 민족 여성 교육의 산실이었다. 이화여학교, 배화여학교, 정신여학교는 서울에서 설립되어 남북분단의 영향을 비교적 적게 받으며 성장하여 남북분단 이후에도 우리나라의 대표적 여성교육기관으로서 지위를 견고하게 유지해온 반면, 숭의여학교는 평양에서 설립되어 해방 후 서울로 이전하는 과정에서 대표적 여성교육기관으로서의 영향력이 축소되었다. 숭의여학교는 남북이 하나였던 해방 이전의 시기에 근대 민족 여성교육기관으로서 그 역할과 영향력이 이화여학교, 배화여학교, 정신여학교와 비견되었을 뿐 아니라 '신사참배 거부 운동'을 비롯한 항일운동의 측면에서는 그 어떤 학교보다 찬란하게 빛났음에도 불구하고, 평양에서 설립되어 현재의 영향력이 축소되었다는 이유로 우리의 역사학계에서 거의 주목받지 못해왔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근대 민족 여성교육기관의 산실로서 숭의여학교의 역할과 영향을 살펴보고 항일운동사에서 차지하고 있는 숭의여학교의 역할과 의의를 재조명하려 하였다.

일제강점기의 항일 학생 운동에 대한 학계의 연구는 상당히 진척되어 있다고 볼 수 있는데, 근대 민족 여성 교육기관의 역할과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일제강점기에서 일어났던 항일 학생 운동과 신사참배 거부 운동에 관해 알아 볼 필요가 있다. 숭의여학교는 이화여학교나 배화여학교와는 달리 항일 운동사 연구에서 거의 빠지지 않고 등장하고 있으며, 평양 등지에 설립되어 평양을 대표하던 광성학교, 평양사범학교, 평양고등보통학교 등과 비교하여 보아도 숭의여학교가 우리 항일 운동사에서 차지하고 있는 비중은 압도적이었다.

숭의여학교는 본래 기독교 학교로 설립되었으나 조선의 여성들에게 근대 교육을 제공함으로써 이북지역 최초의 계몽된 근대 여성을 배출하기 시작하였다. 그리고 숭의여학교의 근대 교육을 통해 계몽된 조선의 여성들은 자연스럽게 일제강점기 항일여성운동의 민족 지도자로 성장하였다.

조선의 대부분의 학교가 일제의 강압에 못 이겨 고등보통학교로 전환하던 시기, 숭의여학교는 조선에 존재하였던 대부분의 학교와는 달리 졸업생들의 전문학교 진학과 취직의 제한이라는 불이익을 감수하고 일제의 교육통제정책에 저항하며 고등보통학교로의 개편을 거부하고 잡종학교로 남아 있다가 학력지정학교로의 길을 선택하였다. 이 시기 숭의여학교의 기숙사는 송죽결사대의 탄생지가 되는 등 항일민족 교육의 성지였다.

1913년 숭의여학교의 교사였던 황애덕, 김경희, 박정숙을 중심으로 결성된 숭의여학교의 송죽결사대는 독립자금의 모금과 전달이라는 대담함을 보였으며, 독립만세운동, 상해 임시정부 지원, 대한애국부인회 조직 등에 큰 역할을 하였다. 이후, 송죽결사대의 중심인물들이 왜경에 의해 체포·감금되면서 활동이 어렵게 되자 결백회가 송죽결사대의 정신과 활동을 이어받아 독립자금의 모금은 물론 농촌계몽과 생활개선 등의 내적 개혁을 실천해 나갔다. 숭의여학교는 일제강점기 1919년에서 1930년에 걸쳐 일어난 전국적인 만세운동에서 평양의 만세운동을 주도하면서 평양의 조선 여성들의 항일운동 및 민족운동을 이끌었다.

한편, 숭의여학교의 교육행사와 특별활동은 오늘날의 활동과 별 차이가 없을 만큼 현대적이었으며, 체육활동을 중시한 특별활동은 일제하 조선의 여성들에게 진취적 여성상을 심어 주기에 충분하였다.

1930년대 이후 독립운동에 대한 일제의 감시와 탄압이 강화되자 많은 학생들은 동아일보사의 브나로드 운동과 조선일보사의 문자보급 운동 등에 참여하였는데, 숭의여학교의 대다수의 학생들은 조선일보사의 문자보급 운동에 동참하여 노동자와 농민의 민족의식을 고취시키기 위해 힘썼다.

숭의여학교는 일제의 집요하고도 강압적인 신사참배 요구에 대해 거부하다가 숭의여학교의 설립자이자 운영자인 미국 북장로회 선교부는 교육선교를 포기하고 철수하자 숭의여학교 재학생들은 일편단심회를 결성하여 일제에 대항하였지만 그들의 노력은 무위로 끝날 수밖에 없었다. 숭의여학교의 설립자, 운영자, 졸업생, 재학생, 우국지사들은 일체되어 일제의 '신사참배 강요'에 끝까지 거부하다가 결국 '신사참배 거부'와 '폐교'의 길을 선택하였던 것이다.

1938년 3월 숭의여학교는 문을 닫았지만, 숭의여학교가 배출한 여성지도자들은 조국의 독립을 위해 일제에 끝까지 맞서다 이른 나이에 절명하기도 하기도 하고 광복 후까지 생존하여 조국을 건설하고 기틀을 잡는 데 큰 공을 세우기도 하였다. 그 대표적인 인물들이 황애덕, 김경희, 박현숙, 권기옥 등이다.

요컨대, 숭의여학교는 '숭의'라는 이름에 걸맞게 사상적으로 '기독교 신앙', '항일 민족주의', '자유민주주의'라는 이념에 충실하였으며, 우리 근대 여성 민족 교육기관의 전범(典範)으로서 암울했던 일제강점기 동안 일제에 대항하여 싸우며 우리 민족의 자존감을 드높였을 뿐만 아니라 조국의 광복을 이끌었던 여성 지도자들을 지속적으로 공급하였다는 점에서 일제강점기 우리 역사에서 그 유례를 찾아볼 수 없을 만큼 독보적인 지위를 차지하는 여성 교육기관이라 하겠다.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