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0
학위논문 1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0)
일반도서 (0)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1)
학위논문 (1)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논문명/저자명
초등학교 학부모의 사교육 의존도 = Elementary school parents' dependence on private education / 최현진 인기도
발행사항
진주 : 경상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8
청구기호
TM 374 -13-100
형태사항
iv, 50 p. ; 30 cm
자료실
전자자료
제어번호
KDMT1201353689
주기사항
학위논문(석사) -- 경상대학교 교육대학원, 평생교육전공, 2013.8. 지도교수: 강재태
원문
미리보기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목차

ABSTRACT 6

I. 서론 8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8

2. 연구문제 9

3. 용어의 정의 10

가. 사교육 10

나. 사교육 의존도 10

4. 연구의 제한점 10

II. 이론적 배경 11

1. 사교육의 개념 및 이해 11

가. 사교육의 개념 11

나. 사교육의 기능 11

다. 사교육의 특성 12

라. 사교육의 문제점 13

마. 사교육 참여유형별 형태 13

바. 사교육 현황 14

2. 사교육 의존도 19

가. 성적 20

나. 자녀의 희망 21

다. 개별지도 21

라. 맞벌이 가정 21

마. 선행학습 22

바. 수학 22

사. 영어교육 23

아. 조기유학 23

자. 특목고 학원 로드맵 23

차. 진로선택 24

3. 선행연구 고찰 24

III. 연구 방법 27

1. 연구의 대상 27

2. 조사 도구 28

3. 자료 처리 30

IV. 연구 결과 및 분석 31

1. 초등학생의 사교육 실태 31

가. 사교육 참여 결정 주체 31

나. 사교육 참여 여부 33

다. 자녀의 사교육 유형 35

라. 하루 평균 사교육 참여 시간 35

마. 사교육 참여 과목 37

바. 월 평균 사교육비 38

사. 사교육을 시키는 목적 40

2. 학부모의 사교육 의존도 41

가. 문항별 사교육의존도 41

나. 학부모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사교육의존도 43

3. 사교육 실태에 따른 사교육 의존도 44

가. 사교육 참여 여부 결정 주체에 따른 사교육 의존도 44

나. 현재 사교육 참여 여부에 따른 사교육 의존도 44

다. 하루 평균 사교육 참여 시간에 따른 사교육 의존도 45

라. 월 평균 사교육비에 따른 사교육의존도 46

4. 논의 46

가. 초등학생의 사교육 실태 46

나. 학부모의 사교육 의존도 47

다. 사교육 실태에 따른 의존도 48

V. 결론 및 제언 49

1. 요약 및 결론 49

2. 제언 51

참고문헌 52

부록_설문지(학부모용) 54

〈표 1〉 학생 사교육비 총액 규모 15

〈표 2〉 학생 1인당 월평균 사교육비 및 사교육 참여율 15

〈표 3〉 과목별 학생 1인당 월평균 사교육비 및 참여율 16

〈표 4〉 일반교과 참여유형별 학생 1인당 월평균 사교육비 및 참여율 17

〈표 5〉 학생 1인당 월평균 사교육비 지출금액 17

〈표 6〉 일반교과 관련 사교육 수강목적별 분포(복수응답) 18

〈표 7〉 예체능 및 취미·교양 관련 사교육 수강목적별 분포(복수응답) 18

〈표 8〉 학생들의 자기 주도적 학습 능력에 대한 의견 19

〈표 9〉 연구 대상의 구성분포 27

〈표 10〉 설문지 구성내용 29

〈표 11〉 자녀의 사교육 참여 여부를 결정하는 주체 31

〈표 12〉 사교육 참여 여부 33

〈표 13〉 자녀의 사교육 유형 35

〈표 14〉 하루 평균 사교육 참여 시간 35

〈표 15〉 사교육의 참여 과목 37

〈표 16〉 월 평균 사교육비 38

〈표 17〉 사교육을 시키는 목적 40

〈표 18〉 문항별 사교육 의존도 41

〈표 19〉 일반적 특성에 따른 사교육의존도 43

〈표 20〉 사교육 참여 여부 결정 주체에 따른 사교육 의존도 44

〈표 21〉 현재 자녀의 사교육 참여 여부에 따른 사교육 의존도 45

〈표 22〉 하루 평균 사교육 참여 시간에 따른 사교육 의존도 45

〈표 23〉 월 평균 사교육비에 따른 사교육의존도 46

초록보기 더보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search the actual condition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private education, their parents' dependence on private education and dependence on private education by the actual condition of private education. Depending on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were set.

First, what is the actual condition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private education like?

Second, what is the dependence of elementary school parents on private education?

Third, what is the dependence on private education by the actual condition of private education?

These questions were examined in existing relative literatures and studies and explored in a survey of elementary school parents in Jinju.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for the actual condition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private education, most students participated in private education and enrollment in private institutes (Hagwon) was the most preferred. In the case of the average amount of time spent on private education, one hour or two hours per day was the highest. With regard to the amount of their monthly expenditures, less than 200,000 won was the highest. The subjects students most preferred to take in private education were arts and physical education, foreign languages and subjects taught in schools. For the purpose of private education, improving the school performance was the first, followed by developing dormant talents and emotional development or personality development.

Second, for the dependence on private education, the highest was that parents allow their children to go to private institutes if they want to. Private education naturally lead students to preview and review thoroughly and accordingly get better academic performance, which was the second highest. The dependence on private education by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parents was below average, and the level of awareness was statistically similar.

Third, for the dependence on private education by the actual condition of private education, parents decided their children's participation in private education, and the children were participating in private education, and dependence on private education got higher in proportion to time and money spent on private education.

These results indicate that private education became common amo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parents still put emphasis on educational background. It is advisable for parents to have a proper understanding about private education, to help their children develop desirable learning attitude, and to change their perception of their children's education.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