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0
학위논문 1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0)
일반도서 (0)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1)
학위논문 (1)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논문명/저자명
경주 출토 통일신라 후기 호에 관한 연구 / 김석기 인기도
발행사항
경주 : 경주대학교 대학원, 2013.8
청구기호
TM 702.88 -13-55
형태사항
iv, 100 p. ; 26 cm
자료실
전자자료
제어번호
KDMT1201355157
주기사항
학위논문(석사) -- 경주대학교 대학원, 문화재학과, 2013.8. 지도교수: 강봉원
원문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목차

I. 머리말 8

1. 연구 동기 및 목적 11

2. 연구사 12

II. 연구대상 18

III. 통일신라 후기 호의 분류 22

1. 분류기준 22

1) 저부 형태 22

2) 동체부 형태 23

3) 구연단 형태 24

4) 문양 25

2. 기형분류 28

1) 대부호 29

2) 평저호 30

3) 대부장동호 31

4) 장동호 32

IV. 경주 출토 통일신라 후기 호의 현황 33

1. 출토현황 33

1) 경주 동천동 고대도시유적 38

2) 동궁과 월지 I 41

3) 국립경주박물관부지 내 유적 42

2. 공반유물 44

1) 경주 동천동 고대도시유적 44

2) 동궁과 월지유적 54

3) 국립경주박물관 부지내 유적 55

4) 경주 석장동 동국대 구내출토 장골기 57

V. 단계설정 및 편년 63

1. 1단계 63

2. 2단계 66

3. 3단계 75

VI. 역사·고고학적 논의 87

VII. 맺음말 94

참고문헌 102

Abstract 106

〈표 1〉 신라토기양식 편년안 비교(통일신라시대 이후) 10

〈표 2〉 통일신라 후기 토기 편년안 비교 13

〈표 3〉 통일신라 후기 호의 명칭 20

〈표 4〉 통일신라 후기 호의 기형분류 28

〈표 5〉 경주지역 통일신라 후기 호의 유적별 출토 현황 36

〈표 6〉 경주 동천동 고대도시유적 출토 통일신라 후기 호 현황 40

〈표 7〉 동궁과 월지유적 내 우물 출토 통일신라 후기 호 현황 42

〈표 8〉 국립경주박물관 부지내 유적 출토 통일신라 후기 호 현황 43

〈표 9〉 우물 1호 출토 토기류 45

〈표 10〉 우물 3호 출토 토기류 46

〈표 11〉 우물 4호 출토 토기류 47

〈표 12〉 우물 5호 출토 토기류 48

〈표 13〉 우물 7호 출토 토기류 49

〈표 14〉 우물 14호 출토 토기류 51

〈표 15〉 우물 15호 출토 토기류 52

〈표 16〉 우물 19호 출토 토기류 53

〈표 17〉 동궁과 월지유적 1호 우물 내 출토 토기류 54

〈표 18〉 국립경주박물관부지 내 우물 출토 토기류 55

〈표 19〉 통일신라 후기 호 단계별 속성 및 공반유물 83

〈표 20〉 통일신라 후기 호 단계별 기고 83

〈표 21〉 통일신라 후기 호 단계별 구경 84

〈표 22〉 통일신라 후기 호 단계별 경부고 84

〈표 23〉 통일신라 후기 호 단계별 저경 84

〈표 24〉 통일신라 후기 호 단계별 편구도 84

〈표 25〉 경주지역 출토 통일신라 후기 호 속성표 97

〈그림 1〉 경주 동천동 고대도시유적 우물 내 출토 완형 토기 기종별 비율 18

〈그림 2〉 통일신라 후기 호 각종 19

〈그림 3〉 통일신라 후기 호의 저부 형태 분류 모식도 22

〈그림 4〉 편구도 기준 모식도 23

〈그림 5〉 통일신라 후기 호의 동체부 형태 분류 모식도 23

〈그림 6〉 통일신라 후기 호의 구연단 형태 분류 모식도 24

〈그림 7〉 통일신라 후기 호의 문양 분류 모식도 26

〈그림 8〉 宮川禎一(1988)의 문양단계 및 편년표 27

〈그림 9〉 통일신라 후기 대부호 29

〈그림 10〉 통일신라 후기 평저호 30

〈그림 11〉 통일신라 후기 대부장동호 31

〈그림 12〉 통일신라 후기 장동호 32

〈그림 13〉 경주지역 통일신라 후기 호 출토 유적의 위치 35

〈그림 14〉 경주 동천동 고대도시유적 유구배치도 39

〈그림 15〉 우물 1호 출토유물 45

〈그림 16〉 우물 3호 출토유물 46

〈그림 17〉 우물 4호 출토유물 47

〈그림 18〉 우물 5호 출토유물 48

〈그림 19〉 우물 7호 출토유물 50

〈그림 20〉 우물 14호 출토유물 51

〈그림 21〉 우물 15호 출토유물 52

〈그림 22〉 우물 19호 출토유물 53

〈그림 24〉 미술관부지 내 우물 및 출토유물 56

〈그림 25〉 연결통로부지 내 우물 및 출토유물 56

〈그림 26〉 경주 석장동 동국대 구내 출토 장골기 57

〈그림 27〉 나정 출토 화장묘 58

〈그림 28〉 사정동170-5번지 유적 진단구 58

〈그림 29〉 성동동 386-6번지 우물 내 출토유물 59

〈그림 30〉 건천 모량리 530번지 유적 우물 5호 출토유물 59

〈그림 31〉 1단계 공반유물 63

〈그림 32〉 '永泰二年(766)'銘 납석제호 및 대부호 64

〈그림 33〉 경주지역 출토 통일신라 후기 호 1단계 65

〈그림 34〉 2단계 공반유물 67

〈그림 35〉 경주 동국대 구내 출토 장골기 68

〈그림 36〉 경주 배동 출토 장골기 69

〈그림 37〉 傳 閔哀王陵 出土 '元和十年'銘 장골기 69

〈그림 38〉 '大中十二年'銘 대호 및 공반유물 70

〈그림 39〉 경주지역 출토 통일신라 후기 호 2단계① 72

〈그림 40〉 경주지역 출토 통일신라 후기 호 2단계② 73

〈그림 41〉 경주지역 출토 통일신라 후기 호 2단계③ 74

〈그림 42〉 3단계 공반유물 76

〈그림 43〉 경주지역 출토 통일신라 후기 호 3단계① 78

〈그림 44〉 경주지역 출토 통일신라 후기 호 3단계② 79

〈그림 45〉 경주지역 출토 통일신라 후기 호 3단계③ 80

〈그림 46〉 중국 영파시 천일각박물관 소장 월주요 생산 청자 주자(9세기) 81

〈그림 47〉 중국 절강성 문물연구소 소장 월주요 생산 청자호(9-10세기) 81

〈그림 48〉 경주 동천동 고대도시유적 우물 9호 출토 토제 주전자 82

〈그림 49〉 통일신라 후기 호 단계별 기고 분포도 85

〈그림 50〉 통일신라 후기 호 단계별 구경 분포도 85

〈그림 51〉 통일신라 후기 호 단계별 경부고 분포도 85

〈그림 52〉 통일신라 후기 호 단계별 저경 분포도 86

〈그림 53〉 통일신라 후기 호 단계별 편구도 분포도 86

〈그림 54〉 경주지역 출토 통일신라 후기 호 단계별 상대빈도수 88

〈그림 55〉 경주지역 통일신라 후기 호 출토 우물 깊이 분포도 92

〈그림 56〉 경주지역 우물 출토 통일신라 후기 호 출토량 분포도 92

초록보기 더보기

 With respect to the earthenware in the period of Unified Silla, many researchers have primarily focused on the stamped patterns due to the lack of a series of consistent data like ancient tombs and the fragmented excavation of the heritages of living, and even when the stamped patterns became extinct, few researches have been carried out substantially so far, except dealing with the pottery from the end of Silla and the beginning of Koryo periodically. However, from a well, the earthenware whose original shape could be identified were excavated and thus it was easier to identify the time when the earthenware was made and used through the association relics and even now, the earthenware is the most appropriate data for identification in the pottery chronology of this period.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phased patterns of earthenware in the latter part of the Unified Silla period by the analysis of the earthenware excavated from the wells and determine the time when they were made and used.

Therefore, this study reviews the detailed properties centering on the pots with the mouth opened to the outside which occupied most among the earthenware excavated from a well and based on this, classifies if there were any deformities and then identifies the current status of the pots in the latter part of the Unified Silla excavated from Gyeongju region and the association relics. Based on these, this study sets up three steps based on the deformities and patterns and identifies the time when the pots were made and used based on the data of absolute age and the associated relics.

Step 1 is the time when the pots with podium prevailed. The pots with podium and stamped patterns, mounted bowls with stamped patterns, and lozengeshaped bottles with stamped patterns are identified. The earthenware having stamped patterns are largely identified and characteristic of having podium. Chronologically, the time of Step 1 is the beginning of the 8-9th century, based on the research data of the stamped patterns and the pots with podium simultaneously excavated with agalmatolite pots in the 'YoungTae 2nd Year(766).'

Step 2 is the time when the flat bottom pots prevailed with the pots with podium. Flat bottom pots, pots with podium, flattened bottom bottles, one side flattened bottles, four sides flattened bottles, four sides flattened pots, mounted bowls, and pleat design bottles are identified. This step is characteristic of the extinct stamped patterns but the appearance of wave patterns and no patterns and at the same time the appearance of flat bottom pots and bottles and new types of earthenware. The time of Step 2 is in the middle and the latter part of the 9th century, based on the pots simultaneously excavated with 'WonHwa 10thYear(815)'earthenware and 'DaeJung 12th Year(858)'fragments of the pots with podium and the earthenware excavated simultaneously from a well.

Step 3 is the time when both the mounted oval pots and the oval pots prevailed. Mounted oval pots, oval pots, four sides flattened bottles, flattened bottom bottles, four sides flattened bottles, pleat design bottles, and mounted bowls are identified. This step is characteristic of the changes in the deformity in the patternless earthenware and the pots. Such changes in deformity are considered to have been influenced, to some extent, by the Chinese porcelain. The time of Step 3 is the final stage of the earthenware in the latter part of the Unified Silla which is thought to be in the late 9th century and the early 10th century, based on the association relics excavated from a well.

I hope this study is the basis for the future gradual classification and chronological recording of the detailed models of the earthenware in this period and at the same time is helpful for revealing the patterns of the earthenware in the latter part of the Unified Silla period.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