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0
학위논문 1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0)
일반도서 (0)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1)
학위논문 (1)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논문명/저자명
SDT의 목표내용이론에 기반한 청소년용 생애목표 척도 개발 및 타당화 =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scale of life goal of adolescents based on goal contents theory of self-determination theory / 김성수 인기도
발행사항
용인 : 단국대학교 대학원, 2013.8
청구기호
TD 370.15 -13-370
형태사항
viii, 132 p. ; 30 cm
자료실
전자자료
제어번호
KDMT1201355407
주기사항
학위논문(박사) -- 단국대학교 대학원, 교육학과 교육심리전공, 2013.8. 지도교수: 윤미선
원문
미리보기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국문초록

목차

I. 서론 12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12

2. 연구 문제 15

II. 이론적 배경 16

1. SDT의 목표내용이론 16

1.1. SDT의 목표내용이론의 개념 16

1.2. 목표내용이론과 미래시간관점 17

1.3. SDT 목표내용이론의 연구 경향 19

1.4. 기타 목표내용이론 24

1.5. SDT와 미니이론 27

1.6. SDT의 국내 연구 동향 30

2. 생애목표 36

2.1. 생애목표와 기본심리욕구 36

2.2. 생애목표와 심리적 안녕감 38

2.3. 생애목표와 부모의 양육태도 40

2.4. 생애목표와 성취목표 42

3. 생애목표 관련 국내외 주요 척도 45

III. 연구1 : 청소년용 생애목표 척도의 제작 48

1. 연구방법 49

1.2. 연구대상 49

1.3. 측정도구 50

1.4. 절차 52

2. 결과 54

2.1. 청소년 생애목표 관련 문항 수집과 내용분석 결과 54

2.2. 예비 문항 추출 결과 59

2.3. 청소년 생애목표 척도의 요인구조 분석 결과 64

IV. 연구2 : 청소년용 생애목표 척도의 타당화 74

1. 연구 방법 74

1.1. 참가자 74

1.2. 측정도구 74

1.3. 연구 절차 77

2. 결과 78

2.1. 교차 타당도 결과 78

2.2. 한국 청소년 생애목표 척도의 타당도 결과 81

2.3. 준거 타당도 평가 81

2.4. 수렴 타당도 평가 84

V. 논의 및 결론 86

1. 논의 86

1.1. 한국 청소년 생애목표 척도 구인에 관한 논의 86

1.2. 한국 청소년 생애목표 척도 타당화에 관한 논의 90

2. 결론 92

참고문헌 97

부록 117

〈부록 1〉 개방형 질문지 118

〈부록 2〉 개방형 질문 요인별 코딩 119

〈부록 3〉 Grouzet, Kasser등(2005)의 AI(Aspiration index)와 Kasser와 Ryan(1996)의 번안 척도(김성수, 2013) 125

〈부록 4〉 한국 청소년 생애목표 척도 예비조사 문항 127

〈부록 5〉 본 조사 설문 133

Abstract 140

〈표 1〉 자기조절의 개념적 특징 29

〈표 2〉 생애목표 개방질문 참가자 49

〈표 3〉 청소년 생애목표 척도 예비문항 검사 참가자 50

〈표 4〉 범주와 부호화 규칙 구성 결과 및 평정자간 신뢰도 55

〈표 5〉 개방형 질문의 범주별 빈도분석과 세부내용 57

〈표 6〉 개방형 질문의 범주별 원 문항(224문항) 58

〈표 7〉 청소년 생애목표 예비문항(133문항) 60

〈표 8〉 예비설문 하위요인별 문항(57문항) 63

〈표 9〉 청소년 생애목표 예비 척도에서 수정 대상이 되는 문항 64

〈표 10〉 청소년 생애목표 척도의 문항별 기술 통계치 및 신뢰도 67

〈표 11〉 8요인에 대한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69

〈표 12〉 청소년 생애목표 척도의 하위요인 별 결정계수와 분산추출지수 72

〈표 13〉 청소년 생애목표 척도의 하위요인 간 상관계수 72

〈표 14〉 청소년 생애목표 척도의 하위요인별 문항 내용(32문항) 73

〈표 15〉 청소년 생애목표 척도 본 조사 참여자 74

〈표 16〉 교차 타당도 적합도 지수 79

〈표 17〉 청소년 생애목표 척도와 부모의 지각 척도 간의 상관관계 82

〈표 18〉 청소년 생애목표 척도와 삶의 만족도와 정적 부적 정서 척도 간의 상관계수 82

〈표 19〉 청소년 생애목표 척도와 기본심리욕구 간의 상관계수 83

〈표 20〉 청소년 생애목표 척도와 우울 간의 상관계수 84

〈표 21〉 청소년 생애목표 척도와 성취목표 간의 상관계수 85

[그림 1] Grouzet와 Kasser의 생애목표의 다차원 척도법 결과 22

[그림 2] Schwartz & Bardi의 10가지 이론 모델 25

[그림 3] 청소년 생애목표 척도 개발 절차 48

[그림 4] 내재 목표의 확인적 요인분석 65

[그림 5] 외재 목표의 확인적 요인분석 66

[그림 6] 청소년 생애목표 척도의 측정모형 70

[그림 7] 청소년 생애목표 척도의 2요인 모형 71

[그림 8] 교차타당도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79

[그림 9] 교차타당도 고차 확인적 요인 분석 결과 80

초록보기 더보기

 본 연구의 목적은 학업상황에서 청소년의 생애목표의 중요성을 밝히고 한국 청소년의 생애목표 척도를 개발하여 기본심리욕구, 심리적 안녕감, 부모의 자율성 지지, 성취목표, 우울 등과의 관계를 규명함으로써 한국 청소년의 생애목표 척도를 타당화 하려는 것이다. 연구 목적을 구체적으로 진술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생애목표와 관련된 선행연구의 고찰과 개방형 설문조사 결과를 종합하여 생애목표의 구성요소를 탐색한다. 둘째, 탐색된 생애목표의 구성요인을 기초로 이를 측정할 수 있는 척도를 개발하고 타당화 한다. 본 연구는 두 개의 연구 문제로 구성되며, 각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1 한국 청소년용 생애목표 척도의 구성요인은 무엇인가?

연구문제2 한국 청소년용 생애목표 척도는 신뢰 있고 타당한가?

각각의 연구문제에 대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연구1의 단계1은 내용분석(content analysis)을 통해 한국 청소년을 위한 생애목표의 구성요인을 탐색하고 확인하여 원문 항을 추출하려는 것으로 생애목표와 관련된 개방형 질문지를 제작하여 중·고등학교 23개교 198명을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유사하거나 중복되는 것을 묶어 570개의 문항을 얻었다. 이를 토대로 생애목표와 관련된 선행연구에서 제시하고 있는 청소년 생애목표의 구성요인으로 분류하여 11가지 하위요인(돈, 이미지, 인기, 순응, 자기수용, 소속, 공동체, 건강, 영성, 안전, 쾌락)과 237개의 원문 항을 추출하였다.

단계2는 1차 예비 문항 제작에 관한 것으로 자기결정성 이론의 목표내용이론에 근거해서 AI를 개발한 Kasser와 Ryan(1996), Grouzet, Kasser 등(2005)의 두 가지 척도를 바탕으로 11개의 하위요인(돈, 이미지, 인기, 순응, 개인 성장, 관계, 기여, 건강, 영성, 성취와 경험, 쾌락), 133개의 1차 예비문항을 추출하였다. 사전검사(pilot-test)는 중학생 30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여 난해한 문항, 검사 후의 소감, 그리고 걸리는 시간 등을 확인하였으며, 사전검사(pilot-test)에서의 평균은 2.55-4.59였으며, 표준편차는 1.327-.927이였으며, 평균이 4.0이상인 문항은 제거하였다. 또한 개방형질문지에 응답한 빈도수에 따라 2~3개의 빈도에 해당되는 문항은 제거하였으며, 선행연구에서 없는 '성취와 경험' 문항과 개방형 질문에서 한 문항씩 추출된 '순응'과 '쾌락'은 제거하여 8요인(돈, 이미지, 명예. 개인 성장, 관계, 기여, 건강, 영성), 57문항을 최종 예비문항으로 확정하였다.

단계3은 본 문항을 추출하려는 것으로 경기도 5개 학교에 다니는 중학생과 고등학생 511명을 대상으로 최종 예비문항 설문에 참여하였다. 예비문항을 만들기 위해 우선 문항-총점 간 상관, 문항 간 상호 상관, 평균과 표준편차를 고려하여 문항이 수정 또는 제외하였고, AMOS 18.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최대우도추정(maximum likelihood estimation)을 통해 실시하였다. 그 결과 8요인 돈, 이미지, 명예. 개인 성장, 관계, 기여, 건강, 영성) 총 32문항이 추출되었다. 척도 전체 Cronbach α는 .94이었고, 기여 .848, 건강 .806, 영성 .824, 관계 .779, 성장 .820, 영성 .851, 이미지 .779, 인정 .779로 나타났다. 8개의 요인들 모두 비교적 높은 신뢰도를 나타냈다. 본 연구에서는 1차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를 통해 밝혀진 한국 청소년 생애목표의 요인 구조를 다시 한 번 검증하기 위해 8개의 요인을 대상으로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확인적 요인 분석은 AMOS(analysis of movement structure) 18.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으며, 최대우도추정(maximum likelihood estimation)을 통해 실시하였다. 모형의 적합도 지수는 x²/df=3.827로 .05이하로 나타났고, TLI=.887, CFI=.909로 나타났으며, RMSEA은 .067로 나타나 기준치 .07이하에 해당됨으로 적절한 적합도 지수를 보여 주었다.

연구2에서는 한국 청소년 생애목표 척도를 타당화 하려는 것으로, 연구1에서 추출된 본 조사 문항 8요인, 32문항을 최종문항으로 확정하기 위해 경기도 소재의 중·고등학교 8개교의 학생 414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우선 교차타당도를 확인하기 위해 이 문항을 대상으로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고, x²값이 793.554(df=406), TLI는 .930, CFI는 .952, RMSEA는 .059로 나타나 예비조사보다 더 수용할 만하다고 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요인분석 결과 확인된 32문항을 대상으로 준거 타당도를 확인하기 위해 부모의 지각 척도, 삶의 만족도와 정적/부적 정서 척도, 그리고 기본심리욕구척도와의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내재적 목표인 '성장', '영성', '기여', '건강', '관계'는 부모의 자율성지지(부모의 지각 척도)와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였으며, 외재적 목표인 '명예', '이미지', '돈'과는 상관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삶의 만족도의 경우도 내재적 목표인 '성장', '영성', '기여', '건강', 관계에서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였으며, 외재적 목표인 '명예', '이미지', '돈'과는 상관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적 정서 역시 내적 목표와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났으나, 부적 정서와는 부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본심리욕구와의 관계에서는 자율성에서 내재적 목표인 '성장', '기여', '건강', 관계에서 유의한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외재적 목표와는 상관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한국 청소년 생애목표 척도의 준거 타당도가 확인된 것으로 볼 수 있다.

수렴타당도를 평가하기 위해 우선 우울과 내재적 목표인 '성장', '기여', '건강', '관계'와 부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외재적 목표와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나 명예만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성취목표와의 관계에서 숙달목표인 경우 모든 요인과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내재적 목표인 '성장', '기여', '건강' 등이 높은 상관을 보였으며, 수행접근목표인 경우 오히려 외재적 목표에 해당되는 '명예', '이미지', '물질'이 높은 상관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수행회피의 경우 내재적 목표인 '성장', '건강', '관계' 등이 상관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외재적 목표인 '이미지', '물질', '명예'와 유의한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한국 청소년 생애목표 척도의 수렴타당도가 있는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