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국문초록

목차

I. 서론 12

1. 연구목적 및 필요성 12

2. 연구방법 및 제한점 14

II. 공연예술에서 캐릭터 전위 양상 15

1. 역할이 전위된 다양한 양상 15

1.1. 연극의 바지역할; 극중 성적 전위 15

1.2. 여성국극; 역할의 전위 1 19

1.3. 다카라즈카 가극; 역할의 전위 2 23

2. 오페라에서의 전위 양상 26

2.1. 카스트라토; 신체적 전위 26

2.2. 바지역할; 목소리의 전위 3 29

III. 헨델의 오페라와 바지역할 39

1. 헨델의 바지역할 오페라 39

2. 바지역할 주요 작품 분석 46

2.1. 오페라 《리날도》에서 '고프레도' 의 분석 46

2.2. 오페라 《줄리오 체사레》에서 '세스토' 역 분석 54

2.3. 오페라 《아리오단테》에서 '폴리네소' 역 분석 61

IV. 헨델의 오페라에 나타나는 바지역할의 의의와 특성 67

1. 카스트라토의 대체효과 67

2. 바지역할의 풍자 효과 71

3. 박스석 남성을 위한 눈요기 효과 73

4. 당대 여성의 이상적 남성상에 대한 표현 79

V. 결론 83

참고문헌 85

부록 88

〈부록 1〉 바지역할 공연표 88

〈부록 2〉 성악 파트의 종류와 성격 92

Abstract 95

〈표 1〉 현재 오페라에서 전위된 배역표 38

〈표 2〉 헨델 오페라에서 바지역할의 직분과 비중 표 42

〈표 3〉 헨델의 오페라 목록 44

〈표 4〉 헨델의 오페라 중 바지역할 표 45

〈표 5〉 오페라 《리날도》 주요 배역표 47

〈표 6〉 오페라 《줄리오 체사레》 주요 배역표 55

〈표 7〉 오페라 《아리오단테》 주요 배역표 62

〈표 8〉 오페라 속에 3명의 바지역할 분석 표 66

〈표 9〉 헨델 오페라 왕 역할 파트 표 69

〈표 10〉 각 오페라의 바지역할 파트 아리아 78

〈그림 1〉 17세기 여성의 복식 17

〈그림 2〉 17세기 남성의 복식 17

〈그림 3〉 넬 권 (Nell Gwyn) 18

〈그림 4〉 앤 브레이스거들 (Anne Bracegirdle) 18

〈그림 5〉 1950년에 공연된 여성국극 《햇님달님》 22

〈그림 6〉 바지역할 국악인 임춘앵 22

〈그림 7〉 바지역할 국악인 조금앵 22

〈그림 8〉 다카라즈카 창설자 고바야시 이치조 (小林一三: 1873~1957) 25

〈그림 9〉 다카라즈카 《태왕사신기》 공연 25

〈그림 10〉 마지막 카스타라토 Alessandro Moreschi (1858~1922) 29

〈그림 11〉 파리넬리라 불리는 Carlo Maria Broschi (1705~1782) 29

〈그림 12〉 오른쪽 케루비노 역 소프라노 Julie Boulianne (Vancouver Opera 2010) 33

〈그림 13〉 왼쪽 옥타비안 역 소프라노 Susan Graham (Metropolitan Opera 2009) 33

〈그림 14〉 왼쪽 이다만테역 메조소프라노 Sandra Piques Eddy (Boston Lyric Opera 2010) 34

〈그림 15〉 오른쪽 오르페오역 메조소프라노 Stephanie Blythe (Metropolitan Opera 2012-13) 34

〈그림 16〉 오른쪽 아가카 역 바리톤 Siyabulela Ntlale (The Kyknet Theatre at Artscape 2012) 35

〈그림 17〉 왼쪽이 생강빵 마녀 역 테너 Philip Langridge (Metropolitan Opera 2010) 35

〈그림 18〉 왼쪽 레오노라 역 소프라노 Ricarda Merbeth (The Royal Theater 2012) 35

〈그림 19〉 왼쪽 질다 역 소프라노 Sarah Coburn (Los Angeles Opera 2010) 35

〈그림 20〉 카스트로토 니콜로 그리말디 54

〈그림 21〉 카스트로토 벨린티노 우르바니 54

〈그림 22〉 윌리엄 호가든의 가면무도회와 오페라 70

〈그림 23〉 르누아르의 박스석(La Loge) 76

〈그림 24〉 르누아르의 박스석 안(in the Loge) 76

〈그림 25〉 1800년대 로얄 오페라 하우스의 박스석 77

〈그림 26〉 현재 로얄 오페라 하우스의 로열박스석 77

〈그림 27〉 바지를 입은 잔 다르크의 모습 (오를레앙 포위전의 작품) 80

〈그림 28〉 치마를 입고 화영을 당하는 모습 (좔 외젠 르느뵈의 작품) 80

〈그림 29〉 여성국극에서 남장을 한 배우들 81

〈그림 30〉 다카라즈카 가극에서 남장을 한 배우들 81

〈악보 1〉 고프레도 암송 Act1-Scena I 50

〈악보 2〉 고프레도, 에우스타지오, 기독교 마법사 암송 Act3-Sinfonia 51

〈악보 3〉 세스토 아리아 중 Allegretto 부분 58

〈악보 4〉 세스토 아리아 중 Largo 부분 59

〈악보 5〉 코르넬리아와 세스토의 이중창 중 60

〈악보 6〉 폴리네소 암송 Act1-Scena IV 64

〈악보 7〉 폴리네소 암송 Act2-Scena II 65

초록보기

 공연 예술은 오랜 역사 속에서 다양하게 변화해 왔으며, 이런 변화 속에서 캐릭터들도 다양한 전위(轉位)를 통해 관객들에게 즐거움을 주었다. 캐릭터들의 전위는 연극을 비롯한 여성국극, 다카라즈카 가극, 오페라 등 다양한 장르에서 확인 할 수 있다. 연극에서는 공연 중간에 '옷 바꿔 입기'(Crossdressing)를 통해 성적인 전위 현상을 보이고 있다. 셰익스피어 시대에는 여자가 무대에 서는 것을 금지했으며, 여성배역을 어린 소년이 맡아 연기하였다. '옷 바꿔 입기'는 여성역할의 어린 소년이 극중에서 남성의 옷으로 갈아입고, 남자인척 연기하는 것을 말한다. 왕정복고기 이후, 무대로 돌아온 여성 배우들은 짧고 달라붙는 바지를 입고 연기하였으며, 관객들은 이런 모습에 즐거워하였다. 모든 공연에 여성들만 출연하는 여성국극과 다카라즈카 가극은 남성의 역할이 여성에게 전위된 현상을 나타낸다. 여성 배우가 남장을 하고 남자 목소리로 남성배역을 연기하면서, 여성들이 생각하는 남성상을 표현하였다. 이상적인 남성의 모습은 여성관객들에게 심적인 대리만족을 주었다. 신체적 전위의 카스트라토는 거세를 통해 여성의 목소리를 가질 수 있었으며, 남성의 몸에서 나오는 힘 있는 소리는 관객들을 매료시키기에 충분했다.

오페라에서도 역할 전위 현상인 바지역할이 있다. 오페라에서 바지역할이란 여성 성악가가 남자배역을 맡아 연기하는 것을 말하며, 여성배역이 극중에서 옷을 갈아입는 것을 바지역할이라 칭하지 않는다. 바지역할을 처음 사용한 작품은 18세기 헨델에 의해 작곡되었으며, 현재까지 다양한 작곡가들에 의해서 만들어지고 있다. 헨델의 작품 중 바지역할은 20개 작품 22개 배역이 있으며, 7개의 소프라노 파트와 15개의 알토 파트로 작곡하였다. 대표 작품은 오페라 《리날도》·《줄리오 체사레》·《아리오단테》가 있다. 십자군이 예루살렘 성을 정복하는 내용을 담고 있는 오페라《리날도》의 바지역할은 십자군의 총사령관 '고프레도'이다. 그는 일반적인 총사령관의 모습과는 조금 다른 연약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폼페이우스와 클레오파트라의 실제내용을 담고 있는 오페라 《줄리오 체사레》의 바지역할은 폼페이우스의 아들 '세스토'이며, 전쟁에서 승리보다는 패배가 많은 섹스투스를 표현하였다. 오페라《아리오단테》에서 바지역할은, 스코틀랜드를 차지하기 위해, 사랑하는 '지네브라'와 '아리오단테'를 갈라놓으려하는 '폴리네소'역이다.

헨델의 작품 속에서 바지역할의 네 가지 특징을 살펴볼 수 있다. 첫 번째로 카스트라토와 비슷한 효과를 내기 위해 유사한 음색을 내는 여성 가수를 이용하여 바지역할로 만들었다. 헨델은 영국에서 처음 작곡한 《리날도》의 성공을 위해 3명의 카스트라토를 사용하였으며, 비슷한 효과를 내기 위해 바지역할도 1명 사용하였다. 두 번째로 실존인물을 간접적으로 묘사하기 위해, 풍자적인 요소로 바지역할을 사용하였다. 《줄리오 체사레》에서는 전쟁에서 지기만 하는 섹스투스를 유희(遊戱)하여 표현하기 위해 바지역할에 '세스토'를 만들었다. 세 번째로 남성관객들의 눈을 즐겁게 하기위해 바지역할을 만들었다. 바지역할의 여성배우는 짧고 달라붙는 바지를 입으면서 치마 속에 숨어있던 다리가 드러나게 되었으며, 그 모습은 남성관객들의 마음을 사로잡았다. 마지막 네 번째로 여성관객들을 매료시킬 수 있는 상상 속의 남성상을 만드는데 바지역할을 이용하였다. 여성이 표현하는 남자의 모습은 섬세하고 아름다웠으며, 여성들이 생각하는 이상적인 남성 모습과 일치하였다.

헨델은 시대적으로 유행하던 바지역할을 다양한 효과를 위해 자주 사용하였으며, 그로인해 오페라 작곡가로 이름을 떨칠 수 있었다. 바지역할을 이용해 이탈리아에서 헨델이란 이름을 널리 알리고, 영국에선 작곡가로서 입지를 다지게 되었다. 헨델뿐만 아니라 관객들에게도 바지역할은 남자들의 욕망을 채워주었고, 여성들에게는 이상적인 남자의 모습을 통해 대리만족하는 기쁨을 주었다. 바지역할은 공연 성공 요인 중에 하나였으며, 그것을 잘 이용한 작곡가는 헨델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