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0
학위논문 1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0)
일반도서 (0)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1)
학위논문 (1)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논문명/저자명
동북아에서 강대국의 부상과 주변국의 동맹전략 선택 [전자자료] : 백제와 신라의 사례연구 = Rising powers and alliance choices of their smaller neighbors : cases of Baekje and Shilla / 판보싱 인기도
발행사항
인천 : 인하대학교 대학원, 2013.8
청구기호
전자형태로만 열람 가능함
형태사항
1 온라인자료 : PDF
자료실
전자자료
제어번호
KDMT1201357244
주기사항
학위논문(박사) -- 인하대학교 대학원, 정치외교학과, 2013.8. 지도교수: 남창희
원문
미리보기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국문요약

Abstract

목차

제1장 서론 16

제1절 연구 배경과 목적 16

제2절 연구범위 20

제3절 연구방법과 사료의 신뢰도 판별 기준 22

제2장 동맹이론의 발전과 균형·편승 논쟁 25

제1절 현실주의 이론의 발전 25

1. 고전현실주의 25

2. 신현실주의 30

3. 신고전현실주의 39

제2절 동맹이론 41

1. 세력균형론 41

2. 위협균형론 44

3. 이익균형론 47

제3절 균형동맹 대 편승동맹 논쟁 49

1. 균형동맹다수론 49

2. 이익추구형 편승동맹론 51

3. 검증 가설 55

제3장 동맹이론과 고대 동북아 국제관계 58

제1절 고대 동양의 현실주의 이론 58

1. 고대 동양의 현실주의 사상 58

2. 고대 동양의 동맹이론과 사례 66

제2절 고대 동북아 천조체제와 연구가설의 적합성 77

1. 동북아에서 국가 형성 77

2. 천조체제와 2~7세기 동북아 국가 간 관계 78

제4장 백제의 동맹형성 패턴 84

제1절 2~3세기 백제 국가 형성기 동맹 사례 84

1. 백제 건국 초 나제동맹(113~155년) 84

2. 백제-신라 동맹(286~373년) 88

제2절 백제 강성기 동맹 사례 94

1. 백제-왜 동맹(366~404년) 94

3. 백제-동진 동맹(372~420년) 107

제3절 고구려 패권 정립기 백제의 동맹 사례 115

1. 백제-유송 동맹(420~479년) 116

2. 백제-신라 동맹(433~553년) 124

3. 백제-남제 동맹(480~502년) 141

제4절 신라 부상기 백제의 동맹 사례 147

1. 백제-양 동맹(502~557년) 147

2. 백제와 진(陳)의 관계(557~589년) 149

제5절 중원 통일기 백제의 동맹 사례 151

1. 백제-고구려 동맹(643~663년) 152

2. 백제-왜 동맹(653~663년) 156

제6절 소결론 164

제5장 신라의 동맹형성 패턴 166

제1절 2~3세기 신라 국가 형성기 동맹 사례 166

1. 신라-백제 동맹(125년) 166

2. 신라-고구려 동맹(248년) 171

제2절 고구려 패권 정립기 신라의 동맹 사례 174

1. 신라-고구려 동맹(392~418년) 174

제3절 신라 전성기 동맹 사례 183

1. 신라-고구려 동맹(553년) 183

제4절 중원 통일기 신라의 동맹 사례 185

1. 신라-수 동맹(603~618년) 186

2. 신라-당 동맹(644~660년) 189

제5절 소결론 223

제6장 경험적 비교 분석과 가설 검증 226

제1절 균형동맹의 보편성과 영향 요인 226

제2절 편승동맹 체결과 영향 요인 230

제3절 동맹이론 연구가설 검증 결과 232

제4절 백제의 국가성격과 국력요소 재검토 236

제7장 결론 242

참고문헌 248

부록 262

1. 2~7세기 동북아시아 각국의 국력 비교표 262

2. 광개토왕비 비문 265

3. 고구려, 백제, 신라, 가야, 왜 관련 중국 정사 사료 267

〈표1〉 현실주의와 신현실주의의 공통점과 차이점 32

〈표2〉 세 가지 균형이론 비교와 동맹유형 54

〈표3〉 균형동맹다수론 연구가설 검증 기준표 57

〈표4〉 고구려 초기 대외정복 86

〈표5〉 450-500년 고구려와 신라의 전쟁 연표 132

〈표6〉 450-500년 고구려와 백제 전쟁 연표 134

〈표7〉 501-550년 고구려와 백제 전쟁 연표 136

〈표8〉 백강전투 이전 삼국의 대외교섭 159

〈표9〉 2-7세기 백제의 동맹 선택과 영향 요인 164

〈표10〉 2-7세기 신라의 동맹 선택과 영향 요인 225

〈표11〉 2-7세기 백제와 신라의 동맹 패턴 226

〈표12〉 연구가설 검증 결과 233

〈그림1〉 고대 동맹조약 사례인 석규맹서(石圭盟書) 67

〈그림2〉 전국시대 중원 정세도 73

〈그림3〉 백제 건국지 85

〈그림4〉 백제 건국지 추정도 85

〈그림5〉 4세기 한반도 형세도1 92

〈그림6〉 4세기 한반도 형세도2 92

〈그림7〉 동진, 전진, 전연 형세도(352-370년) 107

〈그림8〉 백제의 적산항로와 북방항로. 111

〈그림9〉 전진과 동진 형세도1(382년) 112

〈그림10〉 전진과 동진 형세도2(382년) 112

〈그림11〉 375년 백제 영역도1 114

〈그림12〉 375년 백제 영역도2 114

〈그림13〉 광개토왕비 비문 118

〈그림14〉 유송, 북위 형세도(449년경) 121

〈그림15〉 백제의 세력 진출 122

〈그림16〉 4-5세기 동아시아 국제관계 124

〈그림17〉 북위, 남제 정세도(497년경) 144

〈그림18〉 백제와 고구려가 남조로부터 받은 봉호 변화도 148

〈그림19〉 동위, 서위, 양 정세도(546년경) 149

〈그림20〉 북제, 북주, 진 정세도(572년경) 151

〈그림21〉 고구려 대외정복 추정도 181

〈그림22〉 신라의 한강유역 점령 184

〈그림23〉 당나라 초기 영역도(618-626년) 199

〈그림24〉 7세기 동북아 동맹관계 202

〈그림25〉 1차 고당전쟁 206

〈그림26〉 2차 고당전쟁과 백제 멸망 213

〈그림27〉 백강전투 217

〈그림28〉 3차 고당전쟁과 고구려 멸망 221

〈그림29〉 신라의 한반도 남부 통일 222

초록보기 더보기

 새로운 강대국이 부상할 때 주변국들이 어떻게 대응하는가는 현실주의 국제정치이론의 동맹이론 분야에서 중요한 논쟁거리였다. 고전현실주의자들은 새로운 강대국이 부상하면 주변국들은 균형동맹을 맺어 강대국을 견제한다고 보았다. 월츠와 같은 신현실주의자 역시 국제체제의 무정부성으로 인해 국가들은 안보를 최우선 목표로 하여 강대국에 대항하는 균형동맹을 맺어 자국의 생존과 안보를 지키려 한다고 주장하였다. 월트는 월츠가 말한 국제체제의 무정부적 속성을 인정하면서도 국가들은 강대국의 국력 자체가 아니라 강대국의 위협 유무에 대항하여 동맹을 맺는다고 주장하였다. 월트에 따르면 강대국의 위협에 직면한 국가들은 안보를 최우선 목표로 인식하여 편승동맹보다는 균형동맹을 보편적으로 선택한다. 반면 신고전현실주의자인 스웰러는 국가유형에 따라 안보를 추구하는 균형동맹과 기회주의적으로 이익확대를 추구하는 편승동맹이 있다고 하여 균형-편승동맹 논쟁을 제기하였다.

동맹정책에서 균형동맹과 편승동맹 중 어느 쪽이 더 보편성을 갖는가에 관해서는 그간 유럽과 중동의 사례를 통해 연구되어왔는데, 본 연구에서는 처음으로 동아시아 고대 국제관계에 균형동맹론과 편승동맹론을 적용하여 균형동맹다수론의 타당성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 범위는 시간적으로는 동아시아에 중원왕조 중심의 국제질서가 형성되기 이전인 2세기부터 7세기까지, 공간적으로는 동북아시아로 한정하였다. 동맹 주체는 한국의 삼국시대에 상대적으로 국가규모가 작아서 외교정책에 균형동맹 또는 편승동맹을 선택해야 했던 백제와 신라로 정하였다. 고구려는 강대국으로서 편승 대상이었으므로 연구대상에서 제외하였다.

2세기부터 7세기까지 백제와 신라는 자국의 생존과 이익을 확보하기 위해 삼국 간은 물론 중원왕조 및 일본열도의 왜와도 빈번히 교류하였다. 지역 강대국인 고구려의 팽창과 7세기 초 수·당의 부상으로 동북아 역학구조가 변화함에 따라 백제와 신라는 수시로 동맹정책을 바꾸었다. 연구 결과 백제는 2세기부터 7세기까지 줄곧 강대국 확장에 저항한 세력으로서 600년 가까운 기간 동안 일관되게 균형동맹을 맺었다. 국가 형성 초기인 2~3세기에 백제는 국력이 강하고 공격능력이 상당한 고구려를 의식해 중원의 조위(曹魏) 및 서진(西晉), 일본열도의 왜, 한반도의 신라와 함께 고구려를 견제하는 균형동맹을 결성하였다.

백제의 대고구려 균형동맹은 장수왕 때 고구려의 남하정책이 가시화되면서 본격화되었다. 고구려를 견제하는 데 백제에 가장 긴밀하게 공조한 나라는 신라였다. 백제는 여기서 한 걸음 더 나아가 중원 남조와 일본열도의 왜까지 포함하는 균형동맹 네트워크를 구축하였다. 동북아 남방세력들을 잇는 동맹 네트워크는 해양력을 토대로 한 백제의 주도로 충실히 기능하여 북방세력의 남하를 효과적으로 견제하였다. 7세기 중원에 통일왕조인 수·당이 등장한 것은 인접국 고구려에 위협이 되었고 지리적으로 고구려와 가까운 백제도 그 위협의 유무와 향방에 영향을 받게 되었다. 결국 당나라가 한반도 정복으로 대외팽창의 방향을 돌리자 백제는 당나라와 맞서 싸우다가 멸망의 비운을 맞이하였다.

신라는 백제와 달리 건국 초 약소국으로서 균형과 편승 사이에서 어려운 선택을 해야 하였다. 신라는 백제와 함께 고구려를 견제하는 균형동맹을 골간으로 하고 고구려의 집중적인 위협을 받을 경우에는 고구려에 편승하는 정책을 취하였다. 월트는 약소국이 강대국의 위협에 함께 대항할 동맹 상대를 찾지 못하거나 강대국의 공격이 임박할 경우, 또는 강대국의 승리가 확실할 경우에는 상대 강국에 편승한다고 하였는데, 신라의 경우는 약소국의 동맹 패턴을 보여주는 좋은 사례라고 할 수 있다.

신라는 6세기까지 고구려에 편승하거나 백제와 연합하는 등 동맹 상대를 수시로 바꾸면서 삼국 경쟁에서 살아남아 마침내 진흥왕 때 이르러 강성기에 진입하였다. 이후 6세기 후반부터 7세기까지 신라는 수·당에 접근해 새로이 부상한 강대국의 힘을 이용하여 고구려와 백제를 배후에서 견제하면서 자국의 안보와 이익을 도모하였다. 수·당은 고구려를 일차 공격목표로 삼았으므로 초기에는 신라에 위협이 되지 않았다. 신라는 이러한 두 강대국의 관계를 이용하여 수·당과 우호관계를 맺고 대고구려 균형동맹을 맺어 고구려의 위협에 대항하였다. 그러나 국제정세가 변화하고 당나라의 대한반도정책이 공세로 바뀌면서 신라도 당나라의 위협을 받게 되었는데, 강대국에 편승하였다가 토사구팽될 수 있다는 월트의 경고가 입증된 사례이다.

2세기부터 7세기까지 백제와 신라의 동맹 사례 총 17건을 분석한 결과 백제는 균형동맹을 11회 선택한 반면 신라는 균형동맹 5회, 편승동맹 4회를 선택하였다. 전체적으로 균형동맹 선택 횟수가 압도적으로 많은 것은 본 연구의 가설인 균형동맹다수론에 부합한다. 신라가 편승동맹을 택한 경우도 안보를 목적으로 한 편승동맹이 3회이며, 이익추구를 위한 편승동맹은 한 번밖에 없었다. (나당동맹도 후기에는 신라가 안보를 위해 편승한 것으로 판단하였다). 즉, 백제와 신라의 동맹 선택 사례는 강대국의 위협에 대해 비강대국은 균형동맹을 보편적인 전략으로 선택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따라서 월츠와 월트가 주장한 대로 국제관계에서 균형동맹이 편승동맹보다 보편적인 동맹선택이라는 가설이 타당하다고 결론지을 수 있다.

한편 백제는 고구려보다 영토가 작았지만 해양력과 황해 제해권 및 그것을 바탕으로 한 해양 동맹 네트워크 구축 능력이 탁월하였고, 이것이 신라와는 다른 대외정책을 펼치는 데 결정적 영향을 준 것으로 보인다. 월트는 위협균형론에서 국력이 위협을 구성하는 한 요소라고 하였지만, 국력을 구성하는 요소에 관해서는 설명하지 않았는데, 백제의 예에서 입증되었듯이 해양형 국가의 해양력과 그것을 바탕으로 한 해양네트워크의 구축 능력을 국력 평가에 포함해야 한다는 것이 본 연구 결론의 함의라고 할 수 있다.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