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0
학위논문 1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0)
일반도서 (0)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1)
학위논문 (1)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논문명/저자명
적정기술 현지사례 분석을 통한 제품개발단계 디자인 평가요소 제안 : 국제개발협력 제품디자인을 중심으로 = Suggestions for the elements of evaluation of product development stage based on local case studies of appropriate technology : focused on product design of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 구경완 인기도
발행사항
서울 : 국민대학교 테크노디자인전문대학원, 2013.8
청구기호
TM 745.2 -13-214
형태사항
viii, 113 p. ; 30 cm
자료실
전자자료
제어번호
KDMT1201358722
주기사항
학위논문(석사) -- 국민대학교 테크노디자인전문대학원, 퓨전디자인학과 산업디자인전공, 2013.8. 지도교수: 정도성
원문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논문초록

목차

1. 서론 12

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2

1.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13

2. 이론적 배경 16

2.1. 적정기술이란 16

2.1.1. 적정기술의 배경 16

2.1.2. 적정기술 사례조사 21

2.1.3. 적정기술 제품 리스트 업 29

2.2. 제품디자인의 국제개발협력사업의 필요성 32

2.2.1. 국제개발협력이란 32

2.2.2. 국제개발협력으로서의 디자인의 사회적 가치변화 35

2.2.3. 제품디자인 국제개발협력의 문제점 44

2.2.4. 제품디자인 국제개발협력의 필요성 46

2.3. 제품디자인 국제개발협력의 제품개발단계 사용자 중심 평가요소의 필요성 47

가. 제품디자인 평가의 개념 48

나. 국제개발협력 제품디자인 평가요소의 기준 50

나. 국제개발협력 제품개발단계의 제품디자인 평가요소 결정방법 51

3. 적정기술사례 조사 분석 55

3.1. 적정기술 제품디자인 사례분석 55

3.1.1. 적정기술 제품디자인 실패 요인분석 56

3.1.2. 적정기술 제품디자인 성공요인 분석 63

3.1.3. 적정기술 성공과 실패요인 통한 제품디자인 평가요소 제안 67

3.2. 적정기술 적용지역 생활용품 및 네트워크, 시스템 관찰 분석 69

3.2.1. 적정기술 제품디자인 및 현지제품 변형 요소 분석 71

3.2.2. 비즈니스 네트워크상의 적정기술 제품변형과정 요소 분석 75

3.2.3. 이해관계자 네트워크상의 공적원조개발 제품 평가요소에 미치는 영향 분석 76

3.2.4. 운송시스템상의 공적원조개발 제품 평가요소에 미치는 영향 분석 76

3.2.5. 적정기술 적용지역 분석을 통한 사회기반시스템 평가요소 제안 77

4. 국제개발협력 제품디자인 개발단계 평가표 제안 80

4.1. 국제개발협력 제품디자인 개발단계 평가요소 항목제안 80

4.1.1. F.G.I 전문가 인터뷰를 통한 평가요소 항목 검증 및 점수척도 82

4.2. 평가요소 항목 대안질문 통한 제품디자인 개발단계 평가요소 제안 96

4.2.1. F.G.I 전문가 인터뷰를 통한 평가요소 항목 대안질문 검증 96

4.3. 국제개발협력 제품디자인 개발단계 평가요소 활용방안 97

4.3.1. 국제개발협력 제품디자인 평가요소 제품개발단계 적용 97

4.3.2. 국제개발협력 제품개발(디자인)단계 제품디자인 평가표 제안 100

4.3.3. 제품디자인 평가표를 통한 기존 적정기술 제품디자인 평가 101

4.3.4. 적정기술 제품디자인 평가를 통한 비교 평가 제안 103

5. 결론 및 제언 104

5.1. 연구의 요약 및 결론 104

5.2. 연구의 제한점 및 제언 108

참고문헌 110

ABSTRACT 114

부록 117

적정기술 제품디자인 평가표 117

[표 1] '적정기술 100선'의 적용된 적정기술 요소별 개체 수 28

[표 2] 물의 항목에 따른 적정기술 제품 분류 29

[표 3] 에너지 항목에 따른 적정기술 제품 분류 30

[표 4] 식량 항목에 따른 적정기술 제품 분류 30

[표 5] 질병·위생 항목에 따른 적정기술 제품 분류 31

[표 6] 거주수송 항목에 따른 적정기술 제품 분류 31

[표 7] 공적개발원조(ODA)의 형태 33

[표 8] 소비자의 단기적의 변화 42

[표 9] 국제기구에서 사용되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용어 정의 43

[표 10] 제품요소 따른 적정기술 제품 47

[표 11] 킥스타트의 디자인 원칙 48

[표 12] 제품디자인 요소 평가 기준 49

[표 13] 제품 편향적인 제품디자인의 요소 평가 기준 50

[표 14] 신제품 프로파일의 예 52

[표 15] 대안 평가 의한 평가의 예 52

[표 16] Q DRUM의 시장진입 실패요소와 요인 58

[표 17] Play pump의 현지 토착화 실패요소와 요인 61

[표 18] Q DRUM과 Play pump의 실패요소와 요인 62

[표 19] Life straw의 시장진입의 성공요소와 요인 64

[표 20] 콘 실러의 지역적 수용의 성공요소와 요인 66

[표 21] 지역특수성 가치판단 평가요소 제안 67

[표 22] 경제적합성 가치판단 평가요소 제안 68

[표 23] 관찰지역 제품디자인 분석을 통한 지역특수성 요소제안 74

[표 24] 사회기반시스템 요소 유무 체크리스트 78

[표 25] 국제개발협력 제품디자인 기획단계 평가요소 제안 81

[표 26] 적정기술 관련 전문가 리스트 82

[표 27] 국제개발협력 제품디자인 기획단계 평가요소에 대한 전문가의견 84

[표 28] 국제개발협력 제품디자인 기획단계 평가요소 85

[표 29] 국제개발협력 제품디자인의 경제 적합성 평가요소 배점 86

[표 30] 우선순위에 따른 평가요소 차등지급 86

[표 31] 국제개발협력 물-집수 제품디자인의 지역 특수성 평가요소 배점 87

[표 32] 국제개발협력 물-정수 제품디자인의 지역 특수성 평가요소 배점 88

[표 33] 국제개발협력 물-운반 제품디자인의 지역 특수성 평가요소 배점 89

[표 34] 국제개발협력 에너지-효율 제품디자인의 지역 특수성 평가요소 배점 90

[표 35] 국제개발협력 에너지-태양열 제품디자인의 지역 특수성 평가요소 배점 91

[표 36] 국제개발협력 에너지-바이오매스 제품디자인의 지역 특수성 평가요소 배점 92

[표 37] 국제개발협력 에너지-자가 동력 제품디자인의 지역 특수성 평가요소 배점 93

[표 38] 국제개발협력 식량-생산 및 가공 제품디자인의 지역 특수성 평가요소 배점 94

[표 39] 국제개발협력 식량-보관 제품디자인의 지역 특수성 평가요소 배점 95

[표 40] 국제개발협력 식량-조리 제품디자인의 지역 특수성 평가요소 배점 95

[표 41] 평가요소 항목 대안질문을 통한 기획단계 국제개발협력 제품디자인 요소평가 96

[표 42] 적정기술 제품디자인 평가를 통한 비교 평가 예시(퍼센테이지는 물 항목 제품) 103

[그림 1] 연구방법 및 기대효과 15

[그림 2] 적정기술 적용지역에 대한 인식변화 17

[그림 3] 지역사회에서의 대안기술로의 적정기술 역할 18

[그림 4] 플레이 펌프 21

[그림 5] 대나무 페달 펌프 21

[그림 6] 샌드필터를 이용한 정수기 22

[그림 7] Q DRUM 22

[그림 8] Ripple 22

[그림 9] G-Saver 23

[그림 10] Kiran 23

[그림 11] 방직전등 24

[그림 12] 사탕수수 숯 24

[그림 13] 자전거 세탁기 24

[그림 14] 웨자 24

[그림 15] 파머넷 25

[그림 16] 긴급 수송기구 25

[그림 17] 셀 스코프 25

[그림 18] 글로벌 마을 오두막 26

[그림 19] 700달러 하우스 26

[그림 20] 길거리 담요 26

[그림 21] 흙벽돌 제작기계 26

[그림 22] 대형 BODA 운송용 자전거 26

[그림 23] 콘 실러 27

[그림 24] 땅콩 껍질 제거기 27

[그림 25] Pot in pot 27

[그림 26] 셰플러 조리기 28

[그림 27] 교토 에너지 박스 28

[그림 28] 빅터 파파넥이 지적한 디자인 분야의 실태 35

[그림 29] 지속가능한 사업가치의 미래 36

[그림 30] 디자인 가치의 변화 37

[그림 31] 유엔의 8가지 목표 38

[그림 32] 매슬로우 욕구설을 통해 본 소비자의 욕구단계 39

[그림 33] 시대별 사회 부유층의 대표 이미지 트렌드 추의 40

[그림 34] 수여국의 일 방향적 제품디자인 기획의 문제 45

[그림 35] 제품요소에 따른 적정기술 평가 47

[그림 36] IDEO 인간(사용자)중심 디자인 툴킷 방법론 49

[그림 37] 사용자 측면이 강조된 제품 개발단계 요소의 필요성 50

[그림 38] MECE 구조 사고기법 51

[그림 39] 제품 개발 프로세스 53

[그림 40] 제품개발단계의 리서치와 사전개발단계의 필요성 54

[그림 41] 적정기술 실패사례 분석을 통한 요인추출 56

[그림 42] Q DRUM 회사 정보 57

[그림 43] Q DRUM 공급자/사용자 그룹인터뷰 57

[그림 44] Playpumps Internationa 회사 정보 59

[그림 45] 지역에 따른 Play pump 사용성 실태조사 60

[그림 46] Play pump 관계자와 사용자 그룹인터뷰 60

[그림 47] Play pump의 노동력 요소를 고려하지 않은 문제 61

[그림 48] Vestergaard frandsen 회사정보 63

[그림 49] 라이프 스트로 부가장치 개발과정 인터뷰 64

[그림 50] 초기 기술공정 통한 콘실러 제작방법 65

[그림 51] 지역 소재를 이용한 콘실러 제작 65

[그림 52] 지역 생산을 돕기위한 콘실러 제작 시트 65

[그림 53] 각 국가별 GNP사항 68

[그림 54] 적정기술 적용지역 생활용품 및 네트워크, 시스템 관찰 70

[그림 55] 사용되는 생활용품 사진촬영 및 영상촬영 71

[그림 56] 관찰지역 5가지 제품군 분류 72

[그림 57] 관찰지역의 3가지 유형의 제품디자인 73

[그림 58] 관찰지역 제품디자인의 변형과정 74

[그림 59] 비즈니스 네트워크에 관개한 제품디자인의 진화성 75

[그림 60] 이해관계자의 지속적인 피드백의 중요성 76

[그림 61] 적용지역 운송시스템 관찰 77

[그림 62] 사회기반시설에 따른 지역특수성요소와 변화요인 관찰 77

[그림 63] 사용자/이해관계자 터치포인트에 따른 제품의 결정요인 형성 79

[그림 64] 요아힘 징겔만의 서비스산업 분류체계 79

[그림 65] F.G.I 전문가 인터뷰 시나리오 83

[그림 66] 지역 특수성에 따른 요인의 변형을 고려한 평가 요소의 필요 87

[그림 67] 제품개발단계 프로세스의 디자인단계의 중요성 97

[그림 68] 제품개발단계의 국제개발협력 제품디자인을 위한 평가요소 적용사항 98

[그림 69] 국제개발협력 제품디자인 디자인단계 평가표 100

[그림 70] 적정기술 제품 F.G.I 전문가 평가방법 101

[그림 71] 적정기술 평가표에 의한 순위 103

[그림 72] 적정기술 제품디자인 평가를 통한 국제개발협력제품 비교 평가 103

[그림 73] 평가요소를 포함한 국제개발협력 제품디자인 제품개발단계 프로세스 106

초록보기 더보기

 이 연구의 목적은 제품디자인 개발단계에서의 국제개발협력 제품디자인을 평가하기 위함이다. 제품개발단계에서 국제개발협력에 맞는 제품디자인을 평가하기 위해서는 현지의 사정을 고려한 적정한 평가요소가 필요하다. 평가요소 도출은 연구자가 적정기술 적용지역을 방문, 적정기술 제품과 현지의 시스템 및 네트워크 관찰 후 분석을 통해 나왔다. 현대 디자인 분야는 사회적 역할로 국제개발협력을 실시하고 있다. 전 세계적으로 국제개발협력의 일환으로 적정기술을 통해 제품디자인을 개발하고 개발도상국과 사회적 빈곤지역에 원조하고 있다. 하지만 적정기술을 통해 지원된 모든 제품디자인은 성공을 이룬 것이 아니다. 현지에 대한 부족한 이해로부터 적정기술을 통해 제작된 제품은 실패사례가 공존하고 있다. 이에 연구자는 적정기술 제품 적용사례가 많은 지역인 아프리카의 모잠비크, 케냐,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적정기술 제품디자인의 기관을 방문하고, 현지 관계자와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적정기술의 성공과 실패사례의 요소와 요인을 파악하였다. 다음으로 현지의 시스템과 네트워크의 사항에 따라 적정기술 제품디자인이 미치는 변형요소를 분석하였다. 이에 적정기술 제품디자인이 현지의 시스템과 네트워크의 유무에 따라 미치는 요소를 제안하였다. 즉 제품디자인에 있어 사용자 중심의 관점의 평가요소를 제안한 것이다.

본 연구는 기존 제품디자인 평가요소와 상이한 점은 공여국 관점과, 원조국 관점으로 나누어 평가하는 것에 있다. 기존의 제품개발단계에서 제품디자인을 평가하는 요소는 제품측면을 강조하였거나, 사용자 평가요소 또한 개발 지역을 바탕으로 하는 경우가 많다. 기존의 제품디자인 기획단계 평가는 원조국의 문화적, 환경적, 경제적, 지역적 요소의 평가 항목이 존재하지 않다는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제품디자인 기획단계에서 지역특성의 요소가 반영된 평가요소를 제안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으로는 아프리카 적정기술 사례조사는 Q-drum, Life straw, Play pump, Corn sheller 기관을 방문 기관관계자 인터뷰, 적용지역 사용자 등의 이해관계자의 인터뷰 및 현장체험을 통해 이루어진다. 그리고 아프리카 적정기술 적용지역 분석은 문화기술지학적 리서치(Strategy: Ethnograpic resarch)로서 관찰, 현장 연구, 인터뷰, 쉐도잉, 홈 투어를 통해 이루어지며, 이 두 방법으로 새로운 요소를 발견한다. 이를 통해 나온 요소를 F.G.I 전문가 인터뷰를 통해 검증 받고, 검증된 요소의 대안질문으로 국제개발협력 제품디자인의 요소평가 항목으로 개발단계에 적용하여 제품디자인을 개발의 용의함을 돕고자 한다.

연구의 결론은 3가지 가치판단기준에 속하는 요소로 제품디자인 개발단계의 초기 디자인개발에 적용되어 제품디자인을 결정하는 요소평가를 한다. 3가지 가치판단기준은 지역특수성 - 경제적합성 - 사회기반 시스템 유무로 구성된다. 지역특수성기준은 5가지 요소, 15개의 평가요인(대안질문), 경제적합성기준은 5가지 요소, 16개의 평가요인(대안질문), 사회기반 시스템은 3가지 요소, 17개의 요인(유무의 체크)로 구성된다. 본 연구의 평가 항목은 물 - 에너지 - 식량의 원조를 돕는 제품디자인으로 평가요소에 대한 적정성을 F.G.I 전문가 인터뷰로 검증, 결과를 도출하였다. 물 - 에너지 - 식량 항목의 선정이유는, 사례조사를 통해 가장 많은 제품이 적용되었고, MDGs 등의 이슈가 되는 항목이기 때문이다. F.G.I 전문가 인터뷰를 통해 요소 항목을 재확립하였다. 그리고 요소 별 평가배점에서 지역특수성은 지역적 특성으로 제품디자인의 요소의 배점을 달리해야한다는 결론에, 평가요소 배점을 항목별(물 - 에너지 - 식량) 요인(집수 - 정수 - 운반: 물)에 각기 다른 배점을 평가에 적용하였다. 이를 통해 나온 평가요소의 대안질문을 제품개발단계에 적용, 추후 국제개발협력 제품디자인 평가함이 본 연구의 궁극적이 목적이다. 더불어, 본 연구를 통해 나온 평가표를 통해 기존 적정기술 제품디자인에 적용하여 평가점수를 도출하였다. 이에 항목(물 - 에너지 - 식량)의 최고 - 최저 - 평균을 산출하였다. 항목 당 산출된 점수는 국제개발협력 제품디자인의 비교평가기준으로 활용된다. 하지만, 기존 적정기술 제품디자인의 개체가 현저히 적고, 기본정보의 비공개로 본 연구에서 정확한 분석을 요하지 않았으며, 기대효과로서 후속연구의 당위성을 부여하였다. 위를 통해 나온 평가요소와 적정기술 비교평가의 과정을 제품개발 프로세스에 적용하여 국제개발협력에 특화된 프로세스를 제품디자이너에 제공함으로 연구가 마무리 된다.

본 연구가 기존 연구와의 상의한 점은 연구자의 적정기술 적용지역의 현지관찰을 통해 요소를 분석 제안하였다는 것이다. 디자이너들은 소외층을 위한 디자인을 말해왔지만 사실 그 대상을 관찰하거나 지역의 현 실태인 실질적 니즈를 알지 못하고 디자인하고 있다. 본 연구자는, 문헌의 정보의 한계를 넘고자, 현지 사회적 디자인 기업 탐방을 통해 현재 소외층에게 제작되어지는 디자인에 대한 문제점과 현지실태를 파악하였고, 아프리카 주민과 현지 의식주를 체험하며 경제적, 문화적 사항을 몸으로 느끼며, 원조지역의 디자인 요소에 대해 고찰하였다. 연구자의 아프리카 및 필리핀 저소득층 탐방은 가상의 소비자와 지역의 설정에 벗어나, 지역과 문화에 맞는 디자인요소를 제안하게 하였다. 연구의 기본적인 본질을 알기위해서는 문헌연구가 아닌, 지역을 방문하여 현지인의 제품의 사용성과 현지 시스템 관찰, 그리고 이해관계자의 인터뷰를 통해 나온 요소는 기존의 제품디자인의 요소를 결정하는 방식과 상이하다는 것에 큰 목적을 두고 싶다.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