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0
학위논문 1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0)
일반도서 (0)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1)
학위논문 (1)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논문명/저자명
참여와 협력의 거버넌스 : 서울시 주민참여예산제를 중심으로 = Participatory and collaborative governance : participatory budget case in Seoul metropolitan city / 유소영 인기도
발행사항
서울 : 성균관대학교 국정관리대학원, 2013.8
청구기호
TD 352 -13-16
형태사항
xiii, 331 p. ; 30 cm
자료실
전자자료
제어번호
KDMT1201360795
주기사항
학위논문(박사) -- 성균관대학교 국정관리대학원, 국정관리학과 행정학전공, 2013.8. 지도교수: 이명석
원문
미리보기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목차

논문요약 12

제1장 서론 16

제1절 연구의 배경과 목적 16

제2절 연구의 범위 및 방법 20

제2장 이론적·제도적 배경 22

제1절 시민참여 22

1. 공공의사결정으로의 시민참여 22

2. 시민참여에 대한 쟁점 34

제2절 거버넌스 40

1. 거버넌스의 개념과 유형 40

2. 제도분석틀(IAD framework) 67

제3절 주민참여예산제 81

1. 참여예산(Participatory Budget) 81

2. 서울시 주민참여예산제 90

제3장 연구설계 129

제1절 분석의 틀 129

1. 분석틀의 구성 129

2. 분석 요소의 정의 131

제2절 자료수집 및 분석방법 141

1. 자료 수집 방법 141

2. 분석 방법 144

제4장 서울시 주민참여예산제 사례분석 149

제1절 집합적 선택기의 거버넌스 149

1. 행동의 장으로의 영향요인 149

2. 행동의 장 165

3. 결과물 190

제2절 제도 운영기의 거버넌스 198

1. 행동의 장으로의 영향요인 198

2. 행동의 장 206

3. 결과물 256

제3절 분석의 종합 274

1. 제도분석틀(IAD framework)로 본 주민참여예산제 274

2. 거버넌스 유형 280

3. 시민참여의 제약요인과 활성화 요인 285

제5장 결론 289

제1절 연구의 요약 289

제2절 연구의 함의 294

1) 이론적 함의 295

2) 정책적 함의 및 제언 304

제3절 연구의 한계 311

참고문헌 312

부록 7

〈부록 1〉 서울시 주민참여예산제 운영조례 입법예고에 대한 각 계의 의견서 325

〈부록 2〉 심층 인터뷰 330

ABSTRACT 350

〈표 II-1〉 공공의사결정에 있어 시민참여의 정의 25

〈표 II-2〉 시민참여의 개념적 속성 분류 27

〈표 II-3〉 Arnstein 의 시민참여 단계별 유형 29

〈표 II-4〉 시민참여의 영향요인 33

〈표 II-5〉 협력적 거버넌스의 정의 50

〈표 II-6〉 통치에서의 시민참여와 거버넌스에서의 시민참여 비교 53

〈표 II-7〉 시민참여를 주제로 한 거버넌스의 정의 56

〈표 II-8〉 협력적 거버넌스와 참여 거버넌스의 비교 64

〈표 II-9〉 참여 예산의 유형 83

〈표 II-10〉 국내 선도 3 개 자치단체의 참여 예산 특징 87

〈표 II-11〉 행정안전부 주민참여예산제 표준조례안 3개안 비교 89

〈표 II-12〉 서울시 주민참여예산 운영조례 주요 내용 94

〈표 II-13〉 2012 서울시 주민참여예산제 제도의 전개 97

〈표 II-14〉 서울시 예산의 부문별 재원배분 현황 101

〈표 II-15〉 서울시 주민참여예산위원 각 자치구별 응모현황 105

〈표 II-16〉 서울시 주민참여예산위원회 인적구성 107

〈표 II-17〉 서울시 예산학교 교육내용 108

〈표 II-18〉 주민참여예산위원회 7 개 분과위원회 및 운영위원회 구성 110

〈표 II-19〉 주민참여예산 시민제안사업 접수현황 112

〈표 II-20〉 주민참여예산 시민 직접 제안사업의 자치구 분포 113

〈표 II-21〉 정책영역별 분과위원회 심사에 상정된 시민제안사업 119

〈표 II-22〉 주민참여예산 한마당 시민총회에 상정된 시민제안 사업수와 사업액 120

〈표 II-23〉 주민참여예산 한마당 시민총회 투표로 선정된 사업 자치구 분포 122

〈표 II-24〉 주민참여예산 한마당 시민총회 투표로 선정된 사업명: 1위-34위까지 124

〈표 II-25〉 시민선정사업의 2013 년 시정부 예산안 반영결과 126

〈표 II-26〉 시민선정사업의 2013 년 시의회 최종 반영결과 127

〈표 III-1〉 분석요소의 정의 140

〈표 III-2〉 자료 수집과 관찰 일지 142

〈표 IV-1〉 집합적 선택 시기 물리적 속성: 공공재 성격의 참여주권 150

〈표 IV-2〉 집합적 선택기의 세분화된 규칙 153

〈표 IV-3〉 집합적 선택기 공동체 속성: 동질성과 이질성 및 상호의존 161

〈표 IV-4〉 집합적 선택기의 행위자 168

〈표 IV-5〉 집합적 선택기 행위자들의 이해관계 171

〈표 IV-6〉 집합적 선택기의 행동 175

〈표 IV-7〉 집합적 선택기 주요 행위자의 전략 및 상호작용 패턴 186

〈표 IV-8〉 집합적 선택기 상호작용 패턴에 의한 상호조율 191

〈표 IV-9〉 제도 운영기 물리적 속성: 공유재 성격의 공공예산 199

〈표 IV-10〉 제도 운영기의 세분화된 규칙 201

〈표 IV-11〉 제도 운영기 공동체 속성: 인구대표성 및 근린성 204

〈표 IV-12〉 제도 운영기 행위자 규정: 운영조례의 위원회 구성 조항 207

〈표 IV-13〉 시민 위원 250명 중 추천위원100명의 성별·연령별 비율 209

〈표-IV 각주 1〉 서울시 주민참여예산위원 개인응모 시민 연령대별 응모 현황 210

〈표 IV-14〉 시민 위원 250명 행위자의 성별·연령별 비율 211

〈표 IV-15〉 제도 운영기 행위자들의 이해관계 212

〈표 IV-16〉 제도 운영기 행동: 적극적 참여와 소극적 참여 행동 지표 216

〈표 IV-17〉 적극적 참여: 호선의 결과인 운영위원회 구성의 성별·연령별 비율 219

〈표 IV-18〉 토론 참여의 독점에 대한 대표적 사례 빈도 분석 222

〈표 IV-19〉 소극적 참여: 시민위원 250명의 출석률과 추첨·추천위원의 출석률 차이분석 227

〈표 IV-20〉 시민 위원 250명의 성별·연령별·분과별 출석률 차이분석 228

〈표 IV-21〉 총회 출석 투표 참여 190명의 모집별·성별·연령별 분포 231

〈표 IV-22〉 총회 투표 190명의 서울시 광역사업 지지도 기술통계 232

〈표 IV-23〉 총회 투표 190명의 모집별·성별 서울시광역사업 지지율 차이분석 233

〈표 IV-24〉 총회 투표 190명의 연령별·분과별 서울시 광역사업 지지율 평균비교 235

〈표 IV-25〉 주민참여예산 한마당 시민총회 투표 190명 소속 지역구사업 지지율 237

〈표 IV-26〉 총회투표 지역소속 140인의 지역구사업지지율 성별·연령별 차이분석 240

〈표 IV-27〉 총회투표 지역소속 140인 지역구사업 지지율 강남북별·권역별 차이분석 241

〈표 IV-28〉 시민위원 250 명 행위자의 전략 및 상호작용 패턴 252

〈표 IV-29〉 2012-2013년 개인응모현황에 나타난 시민참여의 차이 268

〈표 IV-30〉 2012년 출석률에 나타난 시민참여의 차이 269

〈표 IV-31〉 운영위원회 구성 비율에 나타난 시민참여의 차이 270

〈표 IV-32〉 서울시 주민참여예산제 사례분석의 종합 및 결론 277

〈그림 II-1〉 시민참여 영향요인: 자원 모형에서 개인·집단 변수 32

〈그림 II-2〉 Newman 의 네 가지 거버넌스 모형 45

〈그림 II-3〉 제도분석틀(Institutional Analysis & Development Framework)의 구성 69

〈그림 II-4〉 서울시 주민참여예산제 운영 체계와 절차 95

〈그림 II-5〉 지방 정부의 예산 운영 체계 100

〈그림 II-6〉 서울시의 예산 편성 과정과 주민참여예산제의 개입 부분 102

〈그림 II-7〉 서울시 주민 제안 사업의 심사 절차 115

〈그림 III-1〉 분석의 틀 130

〈그림 IV-1〉 제도 운영기 위원회와 지원협의회의 상호 위치 214

초록보기 더보기

 시민참여는 민주주의 이론과 실천에 있어 고전 시대부터 제시된 개념 이나 단기간 산업화로 발전 국가를 이룬 우리나라에서는 행정부 중심의 관청모형이 의사결정을 지배하면서 시민은 소외된 정책수혜자에 불과하였다. 지방자치제가 부활한 이후에도 지방정부란 중앙정부의 관료제와 대의제를 축소 이식한 것에 불과하며 외국 지방정부 사례의 주민참여 제도들이 거의 전무한 상태로 시작되어 전문가 중심의 참여 혹은 전시행정적인 참여제도 정도가 존재하는 실정이다. 2012년 조례를 제정하여 도입된 서울시의 주민참여예산제는 실질적인 참여가 이루어진 사례로 제도 설계 과정에서 조직간 협력에 의한 수평적 협의 과정을 보였고, 제도 운영기에는 인구대표성을 가진 일반 시민들로 구성된 위원회가 권한위임 받은 사업의 결정권을 행사하는 분권이 이루어졌다.

본 연구는 공통의 문제 해결을 위한 사회적 조정 방법이라는 거버넌스의 개념을 담아, 서울시 주민참여예산제를 설계했던 집합적 선택기와 제도가 운영되었던 시기를 협력이 일어난 공유적 참여(sharing)와 권한 참여(taking part)로 양분하고 이를 제도분석틀(IAD framework)의 각 요소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참여관찰, 기록자료, 인터뷰 자료, 통계자료를 사용하여 상황을 재구성하고 시·공 맥락하에서 변수 규명을 시도하는 분석적 서술의 사례 연구이다.

시민사회-의회-정부 조직간의 네트워크가 작동하여 제도를 설계했던 집합적 선택기는 선행연구들에서 조직간의 의도적 협력을 추구하여 가시적 결과달성이라는 협력적 거버넌스의 틀로 접근이 용이하였다. 그러나 제도 운영기는 불특정 다수의 아마튜어로서의 일반 시민이 인구대표성을 가지고 실질적으로 참여하여 의사결정에 전권을 행사하는 권한위임을 경험하는 새로운 종류의 거버넌스라고 파악되어 기존의 네트워크로 설명될 수 없는 점을 감안, 본 연구에서는 시민참여 이론에서 추출한 참여의 속성들을 종합하여 참여 거버넌스라는 협의의 정의를 시도하고 각 특징을 제시하였다.

첫째, 제도분석틀의 물리적 속성, 규칙, 공동체 속성, 행위자, 행동, 상호작용의 패턴, 결과물의 요소를 사용하여 사례를 분석한 결과 물리적 속성이 공익을 추구하는 공공재 성격인가 혹은 개인의 이익 보호가 중요한 공유재 성격인가에 따라서 규칙 제정에 영향을 받고 공동체 기류가 달라지며 이에 따라 행동의 장 성격이 상이함을 알 수 있었다. 상호작용의 패턴에서 기대편익, 기대비용, 할인율 등의 검토를 통해 행위자들이 비조건부에서 조건부적인 전략을 사용하기 위해서 제도가 내재해야 할 유인구조를 살펴보았다.

둘째, 거버넌스의 유형에서 집합적 선택기의 거버넌스는 협력적 거버넌스의 특징을 다수 담고 있는데 비해, 제도 운영기는 네트워크로는 설명될 수 없는 의사결정권까지 실천하는 권한위임, 선호의 모음인 예산에 대한 투표, 인구대표성의 구현 등의 특징을 담고 있어 이를 상충적(adversary) 민주주의 이론에서 제시하는 속성을 담아 참여 거버넌스의 협의 정의를 시도하고 특징을 설명하였다. 일반시민이 단순 정책 수혜자가 아니라 거버넌스의 최대 자원이 될 수 있음을 강조하고, 조직 간 협력의 장이 마련되기 어려운 미약한 조직 기반을 가진 지방정부의 경우 일반시민이 거버넌스로 참여하여 대리인들의 제한된 합리성에 의한 소수 의사결정 및 지대추구 행위 문제를 보완하고 지속적인 조직화를 이루어 네트워크로 진화할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셋째, 시민참여의 활성화와 제약 요인에서 집합적 선택기는 참여주권의 제도화라는 물리적 속성 자체가 중시적인 활성화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시민참여를 공약으로 표명한 단체장의 집권과 이를 우호적으로 대응하는 시의회의 의석구조 등 당시 공동체를 이루었던 거시적인 정치적 요인이 참여를 활성화 하는 요인으로 분석되었다. 그러나 주요 규칙이 되었던 거버넌스로의 입출입 자격에 있어 참여예산을 주창해 온 기존 예산감시운동 중심의 단체들, 의회, 정부 행위자로 제한하였으며 이는 공동목적을 추구하기 위해 동질성을 유지하는 필요한 규칙이었으되 일반시민의 참여는 제한하였으므로 일종의 제도적 제약 요인이 되었다. 제도 운영기는 예산이라는 매력적인 대상 이슈가 활성화 요인으로 촉발되나 제도를 벗어난 각 개인의 미시적인 자원 동원 능력이 가장 중요한 영향요인으로 파악 되었다. 본 제도에서 관찰 가능했던 성별·연령별·사회적 지위라는 자원의 차이는 운영기 참여 행동에 주요 영향요인이 되었다. 미시적인 개인간 자원의 차이로 일어나는 회의 독점 등의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인구 대표성을 담는 위윈회 구성 규칙 및 공정성 규칙 등 제도적 방향잡기로 중립화 할 수 있으므로 중시적인 제도적 요인이 미시적 자원요인과 함께 영향요인으로 제시되었다.

결론에서 공공재 공급을 추구하고 이해관계가 동질적인 공유적 참여의 경우에는 협력적 거버넌스 조건이 마련되며, 공유재 사용의 상충적 이해 관계의 상황에서는 권한과 대표성을 가진 참여 거버넌스 조건에 부합함을 이론적 함의로 제시하고, 상황에 맞는 적절한 민주적 제도 선택에 정책적 함의를 제공하며 주민참여예산제에 대한 실천적 제언을 하였다.

참고문헌 (196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더보기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From Ideas to Practice 네이버 미소장
2 (1971). 「Essence of Decision: Explaining the Cuban Missile Crisis」. Boston: Little Brown. 미소장
3 (1963). 「The Civic Culture: Political Attitudes and Democracy in Five Nations」. Princeton: Princeton Univ. Press. 미소장
4 (1979). 「Public Policy-making」. New York: Holt, Rinehart and Winston. 미소장
5 Collaborative Governance in Theory and Practice 네이버 미소장
6 A Ladder Of Citizen Participation 네이버 미소장
7 Participation, Activism, and Politics: The Porto Alegre Experiment and Deliberative Democratic Theory 네이버 미소장
8 Emergent Public Spheres: Talking Politics in Participatory Governance 네이버 미소장
9 (1979). 「Political Action: Mass Participation in Five Western Democracies」. Beverly Hills, Calif.: Sage Publications. 미소장
10 Beyond Hierarchies and Networks: Institutional Logics and Change in Transboundary Spaces 네이버 미소장
11 (1991). 「The Management of Innovation」. London: Tavistock Publication. 미소장
12 (2008 ).「A Citizen Legislature, 2nd ed. [손우정.이지문 역 2011 •추첨 민주주의: 선거를 넘어 추첨으로 일구는 직접 정치] 」. 서울:... 미소장
13 (2001). 「Institutional constraints and policy choice : an exploration of local governanc」. Albany: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미소장
14 Citizen Participation in Municipal Politics 네이버 미소장
15 (2005). 「Public Participation Handbook」. San Francisco: Jossey-Bass. 미소장
16 Conceptual Dimensions and Boundaries of Participation in Organizations: A Critical Evaluation 네이버 미소장
17 (1961). 「Who governs?」. New Haven: Yale Univ. Press. 미소장
18 Toward a Stewardship Theory of Management 네이버 미소장
19 The New Public Service: Serving Rather than Steering 네이버 미소장
20 Public Administration Review 네이버 미소장
21 (1998). 「Deliberative Democracy」. Cambridge, England: Cambridge Univ. Press. 미소장
22 Public–Private Partnerships and the Public Accountability Question 네이버 미소장
23 The Recovery of Civism in Public Administration 네이버 미소장
24 Representation in Regulatory Decision Making: Scientific, Industrial, and Consumer Inputs to the F. D. A. 네이버 미소장
25 (2003). Recipes for Public Spheres: Eight Instutional Design Choices and Consequences. The Journal of Political Philosophy J ,... 미소장
26 Deepening Democracy: Innovations in Empowered Participatory Governance 네이버 미소장
27 Board Diversity, Stakeholder Representation, and Collaborative Performance in Community Mediation Centers 네이버 미소장
28 (1973). 「The Interpretation of Culture」. New York: Basic Books. 미소장
29 (2004). 「Governing by network」. Washington, D.C.: Brookings Institution Press. 미소장
30 Conditions Facilitating Interorganizational Collaboration 네이버 미소장
31 The Tragedy of the Commons 네이버 미소장
32 (2005). Collaborative Governance: A Guide for Grantmakers (http://www.hewlett.org/upIoads/flles/HewlettCollaborativeGovemance.pdf)... 미소장
33 (2004). 「Participation,from Tyranny to Transformation? Exploring New Apporaches to Participation in Development J . London: ZED... 미소장
34 Searching for Participatory Governance in Korea 네이버 미소장
35 (2000). The Dynamics of Partnership and Governance Failure. In Gerry Stoker (Ed.), The New Politics of Local Governance in... 미소장
36 Can Citizen Governance Redress the Representative Bias of Political Participation? 네이버 미소장
37 Whither partnership governance in Northern Ireland? 네이버 미소장
38 Reinventing the Democratic Governance Project through Information Technology? A Growing Agenda for Debate 네이버 미소장
39 Enhancing Citizen Participation: Panel Designs, Perspectives, and Policy Formation 네이버 미소장
40 Governance and science: market‐like modes of managing society and producing knowledge 네이버 미소장
41 Toward Participatory and Transparent Governance: Report on the Sixth Global Forum on Reinventing Government: 네이버 미소장
42 London-born black caribbean children are at increased risk of atopic dermatitis 네이버 미소장
43 (2003). 「Governing as Governance」. London: Sage. 미소장
44 (1981). 「Implementing Citizen Participation in a Beaucratic Society」. New York: Praeger. 미소장
45 (2001). 「Improving governance : a new logic for empirical research」. Washington, DC: Georgetown University Press. 미소장
46 (2009). ,「Principles of Economics, 5th ed., 김경환•김종석 역,2009,「맨큐의 경제학」」 . 서울: 교보문고. 미소장
47 (1983). 「Beyond Adversary Democracy」. Chicago: Univ. of Chicago Press. 미소장
48 (1976). 「Political and Social Inquiry」. New York: John Wiley. 미소장
49 (1983). Solving Social Dilemmas: A Review (eds. L. Wheeler & P. Shaver). 「Review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4: 11-44. 미소장
50 (1977). 「Political Participation: How and why do people get involved in politics?」. Chicago: Rand McNally College Publishing Co. 미소장
51 Deliberative Democracy and Social Choice 네이버 미소장
52 Budgeting structures and citizen participation 네이버 미소장
53 (1999). Managing Board Diversity: The Importance of Differentiating Between Diversity and Representatives. In Judith L. Miller,... 미소장
54 (1976). 「Research Method in the Social Science, 6th ed.」 . New York: St. Martin’s Press. 미소장
55 New Labour: a study in ambiguity from a position of ambivalence 네이버 미소장
56 Institutions, Institutional Change and Economic Performance 네이버 미소장
57 (2008). 「The collaborative public manager: new Ideas for the twenty-first century」. Washington, D.C.: Georgetown University... 미소장
58 (2006). Introduction to the Symposium on Collaborative Public Management. 「Public Administration ReviewJ,66: 6-9. 미소장
59 Information-hierarchical organization of biosphere and problems of its sustainable development 네이버 미소장
60 (1965). 「The Logic of Collective Action. Public Goods and the Theory of Groups」. Cambridge, Mass.: Harvard University Press. 미소장
61 (1973). Leviathan or Oblivion. In Herman. E. Daly (Ed.), Towards a Steady State Economy. San Francisco: Freeman. 미소장
62 (1990). 「Governing the Commons: The Evolution of Institutions for Collective Action」. Cambridge: Cambridge Univ. Press. 미소장
63 Co-regulation by Notch and Fos is required for cell fate specification of intermediate precursors during C. elegans uterine development. 네이버 미소장
64 Crafting analytical tools to study institutional change 네이버 미소장
65 (1989). 「The intellectual crisis in American public administration, 2nd ed.」• Tuscaloosa: University of Alabama Press. 미소장
66 (1997). 「The Meaning of Democracy and the Vulnerability of Democracies: A Response to Tocqueville’s Challenge」. Ann Arbor: Univ.... 미소장
67 Measuring Accountability for Results in Interagency Collaboratives 네이버 미소장
68 (1992). 「Political Participation and Democracy in Britain」. Cambridge [England];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미소장
69 (2000). Comparative Potitics. In J. Pierre (Ed), Debating Governance: Authority, Steering and Democracy. Oxford: Oxford Univ.... 미소장
70 Managing Incoherence: The Coordination and Empowerment Conundrum 네이버 미소장
71 Governance without Government? Rethinking Public Administration 네이버 미소장
72 Sources of Citizens' Bureaucratic Contacts 네이버 미소장
73 Governance, the State, and the Market: What Is Going On? 네이버 미소장
74 (1989). 「Conjectures and Refutations 추측과 논박 : 과학적 지식의 성장 이한구 역 2001 서울: 민음사」. London ; New York: Routledge 미소장
75 Turning the Tables: How Case-Oriented Research Challenges Variable-Oriented Research 네이버 미소장
76 The New Governance: Governing without Government 네이버 미소장
77 (2000). Governance and Public Administration (Ch. 4). In Jon Pierre. (Ed.), Debating governance. Oxford ; New York: Oxford... 미소장
78 Keeping Public Officials Accountable through Dialogue: Resolving the Accountability Paradox 네이버 미소장
79 (2008). 「The Age of Direct Citizen Participation」. New York: M. E. Sharp. 미소장
80 Governance without Government: Order and Change in World Politics. by James N. Rosenau; 네이버 미소장
81 Two Concepts of Political Participation 네이버 미소장
82 (1988). Types of public goods and free-riding (eds. E. Lawler & B. Markovsky). 「Advances in Group Processes」,5: 119-140. 미소장
83 (2007). Participatory Budgeting, Public sector governance and accountability series: Washington DC. World Bank. 미소장
84 (1948). Administrative Behavior: a study of decision-making process in administrative organization」. New York: Macmillan. 미소장
85 (2005). Qualitative Case Studies. In Norman K. Denzin & Yvonna S. Lincoln (Eds.), The SAGE Handbook of Qualitative Research, 3rd... 미소장
86 Citizens and the Administrative State: From Participation to Power 네이버 미소장
87 Governance as theory: five propositions 네이버 미소장
88 Partnership Arrangements: Governmental Rhetoric or Governance Scheme? 네이버 미소장
89 (1991). 「Markets, Hierarchies and Networks: The Coordination of Social Life」. London: Sage Publications Ltd. 미소장
90 (1951). 「Democracy in America [De la democratic en Am6rique]」. Canada: McClelland. 미소장
91 Democratic Participation 네이버 미소장
92 (1972). 「Participation in America: Political democracy and social equality」. New York: Harper and Row. 미소장
93 Mutual Accountability Between Governments and Nonprofits Moving Beyond "Surveillance" to "Service" 네이버 미소장
94 A Budget for All Seasons? Why the Traditional Budget Lasts 네이버 미소장
95 (2009). 「Case study research: Design and methods, 4th ed. (신경식 서아영 역 2011 사례연구방법 서울: 한경사)」. Los Angeles,... 미소장
96 (1986). 「Participatory Democracy: Populism Revisited」. New York:Praeger. 미소장
97 지방정부 주민참여예산제도의 채택과 정치이념 소장
98 주민참여예산제도의 기본모형과 운영시스템 설계 방안 네이버 미소장
99 (2009). 지방예산권과 재정책임의 확보: 제도 발전 과정 및 성과. In 박웅격 외 (Ed.), 지방행정 거버넌스. 서을: 인간사랑. 미소장
100 (2009). 「사회조사연구방법: 사회연구의 논리와 기법」. 서울: 박영사. 미소장
101 지방정부 예산과정 시민참여의 목표와 성과에 대한 영향요인 연구 : 수원시 구조방정식모형을 중심으로 소장
102 (2007). 스미스와 노스의 경제사 이론체계: 비교 연구. 「한국경제학보」, 55(2): 61-90. 미소장
103 (2006). 율산지역 로컬 거버넌스(Local Governance)의 성과와 한계 -주민참여 예산제와 주민 배심원제의 정책사례를 중심으로.... 미소장
104 (2008). 「비용편익분석,제 3 판」(Vol. 박영사). 서울. 미소장
105 (2013). 서울시 주민참여예산제 강화를 위한 2012 년 운영 평가 및 연간운영 계획 수정 방안. 서울특별시: 주민참여 예산지원협의회. 미소장
106 (2012). 예산의 이론 및 2012 서울시 예산규모, 2012 서울특별시 주민참여 예산학교 교육자료(6/26~7/6). 서울: 서울특별시 주민참여... 미소장
107 부산광역시정부의 정책결정 과정과 구조 소장
108 An Empirical Study on the Citizen Participation in Local Administration: with special emphasis on Institutional Measures and Citizen Attitudes 소장
109 (2이2). 로컬 거버넌스에서의 시민참여와 정치적 평등성,정치적 효능감: 일본의 사례를 중심으로. 「韓國行政學報」,46(2): 137-160. 미소장
110 (2002). 노스의 거래비용 모형. In 정용덕 외 (Ed.), 거버넌스 제도의 합리적 선택 (pp. 73-82). 서울: 대영 문화사. 미소장
111 혁신성과평가 : 표준조례제도의 법정책학적 분석 -“주민참여예산제 운영조례 표준안”을 중심으로- 네이버 미소장
112 주민참여예산제도 운영 내실화 방안 모색 소장
113 (1988). 「도시화 시대의 지방행정론」. 서울: 박영사. 미소장
114 A Study on Standard Socio-Economic Theory and Its Revised Model in Citizen Participation 소장
115 (2이0). 시민의 참여동기와 정치참여. 「한국지방자치학회보」,22(3): 83-104. 미소장
116 (2이2). 지역사회 시민의 참여활동과 영향요인. 「한국행정학보」,46(2): 213-240. 미소장
117 브라질 알레그레시의 주민참여예산제도 : 성공요인과 한계 소장
118 A Comparative Study on the Operational Model of the Participatory Budget System in Brazil, United States and Korea 소장
119 The Analysis about Citizen Participatory Budget System's Rationality 소장
120 사례조사의 방법론적 분석 네이버 미소장
121 (2006). 중권관련 집단소송제도의 도입과정에 관한 연구. 「한국행정학보」, 40(3): 179-197. 미소장
122 (1993). 지방자치시대에 있어서의 주민참여. 「지방행정연구」, 8(4): 83-103. 미소장
123 시민참여와 로컬 거버넌스 소장
124 (2009). 지방자치와 시민참여.In 박웅격 외 (Ed.), 지방행정 거버넌스. 서울. 미소장
125 자치단체장과 지방의회의 역할과 권한 및 영향력 소장
126 (2이0). 지방정부의 네트워크 거버넌스에 관한 연구: 부산시 하천환경개선 사업을 중심으로. 「행정논집」, 48(3): 195-221. 미소장
127 서울시의회. (2012). 서울특별시 주민참여예산제 운영 조례안 검토보고서 (박노수전문위원).... 미소장
128 서울시의회 입법 담당관. (2012). [정책보고세 서울특별시 주민참여 예산제 운영조례 제정올 위한 연구보고서: 광역지방자치단체와 서울시... 미소장
129 주민참여 예산제도 도입에 관한 연구 네이버 미소장
130 서울특별시. (2012). 서울시 주민참여예산제, 늦었지만 제대로 시행한다 (기획조정실 예산담당관 보도자료 2012, 5,25, 금 조간용). 미소장
131 (2002). 「사회 네트워크 분석 」. 서울: 경문사. 미소장
132 서울시 자치구 행정구역 개편방안- 생활권을 중심으로 - 네이버 미소장
133 주민참여예산제도의 경험과 성과 소장
134 (2006). 「민관 협력의 거버넌스: '지방의제 21' 추진과정의 경험」. 서울: 한국학술정보. 미소장
135 Reflections and Suggestions about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of Korean Public Administration 소장
136 민주화 이후 관료독점적 정책생산구조의 변형과 재편 소장
137 (2이2). 주민참여예산제와 성 인지 예산의 연계, 2012 제 3 차 Gender Budget 포럼 (4/23) 서울: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성인지예산센터. 미소장
138 共有財 問題의 自治的 解決 可能性 소장
139 (1998). 합리적 선택 신제도주의의 이해. 「사회과학연구」,37(2): 179-210. 미소장
140 (20이). 신자유주의, 신공공관리론 그리고 행정개혁. 「사회과학연구」,40(1): 1-46. 미소장
141 Conceptualizing Governance 네이버 미소장
142 거버넌스와 국가발전 소장
143 Policy Science in Network Society: With Emphasis on Lasswell Paradigm and New-institutionalism 소장
144 Collaborative Governance and Publicness 소장
145 협력적 거버넌스와 정부의 역할 : 사회적 기업 사례를 중심으로 소장
146 Institution, Heterogeneity, Trust and Possibility of Cooperation in Social Dilemma 소장
147 (2012) . 「한국 공기업의 이해, 2 판」. 서울: 대영문화사. 미소장
148 정부신뢰와 거버넌스 소장
149 (1993). 「민주정치와 시민참여」. 서울: 삼영. 미소장
150 미국 지방정부 정책과정에서의 주민참여기제 네이버 미소장
151 Institutionalizing the direct citizen participation in local governments of America-present and future 소장
152 Policy diffusion in local governments and time: A case study on local acts for administrative information disclosure 소장
153 거버넌스와 시민참여 소장
154 (2011). 「시민참여론」. 서울: 박영사. 미소장
155 사회과학에서 사례연구의 이론적 지위 : 비판적 실재론을 바탕으로 소장
156 (2011). 「경제학 원론」. 서울: 법문사. 미소장
157 (2012). 참여예산의 이해와 주민참여예산위원회의 역할,2012 서율특별시 주민참여예산학교 교육자료(6/26~7/6). 서울: 서울특별시... 미소장
158 주민참여통로의 효과성 연구 네이버 미소장
159 예산과정상의 주민참여제도에 관한 연구 소장
160 정책 리터러시(policy literacy) 함수 분석 : 시민활동변인을 중심으로 소장
161 A Study of Collaborative Governance in Local Economic Development 소장
162 독일지방자치에 있어 주민참여와 로컬거버넌스 소장
163 (1988). 「정책결정론」. 서울: 대명출판사. 미소장
164 A Study on the Constitution and Effectiveness of the Collaborative Governance in Public Conflict :A Conflict over the Location of Waste Incineration Plant in Icheon City 네이버 미소장
165 (2002). 거버넌스와 시민참여(8 장). In 김석준 외 (Ed.),거버넌스의 이해. 서울: 대영문화사. 미소장
166 Reconsidering Policy Case Studies: Misunderstandings of and Prejudice Against Case Studies 소장
167 (2010). 지방정부 주민참여예산제도의 확산과 영향요인. r한국행정학보J , 44(3): 87-113. 미소장
168 거버넌스 개념에 대한 비판적 고찰 : 한국행정학계의 거버넌스 연구경향분석 소장
169 (2008). 「지역, 지방자치,그리고 민주주의 : 한국 풀뿌리민주주의의 현실과 전망」. 서울: 후마니타스. 미소장
170 (2000). James G. March 와 Johan P. Olsen 의 신제도이론. In 오석홍 외 (Ed.), 행정학의 주요이론,제 2판. 서 울: 법문사. 미소장
171 신제도주의의최근경향:이론적 자기 혁신과 수렴 소장
172 (2003). 「제도 분석」. 서울: 다산출판사. 미소장
173 Study On Coordination and Cooperation of Inter-Governmental Conflict in the Use Process of Common Pool Resource 네이버 미소장
174 2012.6.26 서울 풀시넷 예산위원장 / 참여예산 네트워크 손종필 단장 미소장
175 2012.7.10 여성정치세력민주연대 김은희 대표 미소장
176 2012.7.26 주민참여예산지원협의회 오민조•정창수 회원 미소장
177 2012.7.31 서울시청 예산담당관실 박영헌 사무관 미소장
178 2012.8.17 서울시의회 입법조사처 이은민 입법담당관 미소장
179 2012.8.21 서울시청 예산담당관실 김상한 과장 미소장
180 2012오17 주민참여예산지원협의회 하승수 회장 미소장
181 2012.10.27 서울시청 예산담당관실 김상한 과장 미소장
182 2012.11.28 서울시의회 입법조사처 이은민 입법담당관 전화인터뷰 미소장
183 2012.11.29 주민참여예산위원회 보건복지 분과 P 위원 미소장
184 2012.11.29 주민참여예산위원회 보건복지 분과 L 위원 미소장
185 2013.1.15 주민참여예산위원회 경제산업 분과 한경옥 위원 미소장
186 2013.1.15 주민참여예산위원회 보건복지 분과 서장수 위원 미소장
187 2013.2.6 여성정치세력민주연대 김은희 대표 미소장
188 2013.3.7 서울시의회 서윤기 의원 미소장
189 2013.3.13 주민참여예산위원회 건설교통 분과 A 위원 미소장
190 2013.3.14 여성정치세력민주연대 김은희 대표 미소장
191 2013.3.15 서대문구주민참여예산모임 오민조 대표 미소장
192 2013.3.20 희망제작소 이혜진 전 연구원 미소장
193 2013.3.21 서울 풀시넷 예산위원장 / 참여예산 네트워크 손종필 단장 미소장
194 2013.3.28 주민참여예산위원회 건설교통 분과 C 위원 미소장
195 2013.3.28 서울시청 예산담당관실 김상한 과장 미소장
196 2013.4.6 주민참여예산위원회 건설교통 분과 B 위원 미소장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