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0
학위논문 1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0)
일반도서 (0)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1)
학위논문 (1)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논문명/저자명
통합방재시스템 Network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 (A)study on network improvement method of total fire protection system / 박혜진 인기도
발행사항
성남 : 가천대학교 산업·환경대학원, 2013.8
청구기호
TM 628.92 -13-56
형태사항
vi, 60 p. ; 26 cm
자료실
전자자료
제어번호
KDMT1201369950
주기사항
학위논문(석사) -- 가천대학교 산업·환경대학원, 산업환경공학과 소방방재공학전공, 2013.8. 지도교수: 백동현
원문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목차

제1장 서론 10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0

제2절 연구의 범위 및 방법 10

제2장 화재 신호원과 신호처리 12

제1절 화재 신호원 12

1. 화재감지기 12

2. 발신기 및 수동조작함 17

제2절 화재 신호처리 19

1. 중계기(Module) 20

2. 연동제어기(Control System) 22

3. 수신기(Fire Alarm Control Panel) 22

제3장 통합방재시스템 Network의 이론적 고찰 28

제1절 통합방재시스템 Network의 개요 28

1. Network 구성방식 28

2. 다중화 전송 방식 32

3. Network Type별 분류 34

4. 종합방재센터의 기능 38

제2절 통합방재시스템 Network의 특성 38

1. 통합방재시스템 Network의 환경과 제약조건 38

2. 통합방재시스템 Network의 구축에 따른 장단점 41

제4장 통합방재시스템의 Network현황과 문제점 43

제1절 국내 통합방재시스템 Network 43

1. 국내 제조사별 신호처리 비교 43

2. 국내 통합방재시스템 Network 현황 45

제2절 국외 통합방재시스템 Network 52

제3절 국가별 통합방재시스템 Network 비교 54

제4절 국내 통합방재시스템 Network의 문제점 56

1. 기술적 측면 56

2. 관리적 측면 57

3. 법적·제도적 측면 58

제5장 통합방재시스템 Network 개선방안 59

제1절 통합방재시스템 Network의 보완대책 59

1. 기술적 측면 59

2. 관리적 측면 60

3. 법적·제도적 측면 60

제2절 통합방재시스템 Network의 개선효과 61

제6장 결론 63

참고문헌 65

ABSTRACT 66

국문초록 68

표 3-1. 산업용 프로토콜 구조 39

표 3-2. 필드 버스의 종류 40

표 4-1. 국내 제조사별 신호처리와 연동방식 43

표 4-2. 현장별 Network 현황 46

표 4-3. RS-485통신방식과 Ethernet통신방식 비교 51

표 4-4. IBS와 화재경보설비의 통합방법 53

표 4-5. 국가별 통합방재시스템 Network 비교 55

그림 2-1. 아날로그 감지기의 단계별 경보출력 17

그림 2-2. 집합형 중계기의 신호전달 20

그림 2-3. 분산형 중계기의 신호전달 21

그림 2-4. 소방시스템과 Network 구성도 24

그림 2-5. 중계기와 중계기간 출력파형. 24

그림 2-6. 중계기와 수신기 사이의 RX신호파형. 25

그림 2-7. 중계기와 수신기 사이의 TX신호파형. 26

그림 3-1. 접점방식 29

그림 3-2. 통신방식 29

그림 3-3. Network방식 30

그림 3-4. 소방시스템 구성 31

그림 3-5. 다중화 전송방식 32

그림 3-6. 통신대화방식 33

그림 3-7. 버스형(Bus Type) 35

그림 3-8. 스타형(Star Type) 35

그림 3-9. 트리형(Tree Type) 36

그림 3-10. 링형(Ring Type) 37

그림 3-11. 망형(Mesh/Interconnected Type) 37

그림 4-1. Y세계박람회장의 Network 구성도 47

그림 4-2. 송도Y대학교의 Network 구성도 47

그림 4-3. I 국제공항의 권역별로 구성된 Network 48

그림 4-4. I 국제공항의 Network 구성도 49

그림 4-5. 여의도 ○○빌딩의 Network 구성도 49

그림 4-6. RS-485통신의 전송거리와 Data의 전송속도 관계 50

초록보기 더보기

 대형화, 복잡화되어가는 건축물이 변화되어 감에 따라 통합방재시스템이 기존의 단일 수신기 운영방식에서 여러 대의 수신기를 Network 연결하여 운영되고 있다.

국내에서의 통합방재시스템 Network방식을 알아보기 위해 4곳의 현장을 조사해본 결과 2곳은 RS-485방식을 이용하였고, 나머지 2곳은 광변환장치(Digital Network Controller)를 통하여 Ethernet(TCP/IP)을 이용한 방식을 사용하고 있었다. 사용된 Network는 다르나, 그 기본방식은 비슷하여 통합방재센터에서 건물 전체에 대한 상시 감시 및 제어가 가능하였다.

수신기의 상호 신호 전송방식은 제조사마다 각각 Polling Addressing방식, CAN방식, P-MAST Polling Addressing방식을 사용하고 있었다. 타 시스템과의 상호연동은 1개사는 CAN에 연결하고, 3개사는 Ethernet 연결하고 있었으나 이 중 2개사는 광변환장치(Digital Network Controller)를 사용하였고, 나머지 1개사는 Ethernet 카드가 내장된 수신기를 사용하였다. 같은 Network 방식을 사용하더라도 타 시스템과의 통합된 신호를 받는 것은 곤란하여 관리에 있어 어려움이 따른다.

외국의 관련제도를 조사해본 결과 프로토콜 통합이나 시스템 통합 전문업체를 구축하고 있는 일본, 미국과는 달리 우리나라는 통합장소에 따라 다른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타 시스템과 상호간의 호환성이 매우 부족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이에 대한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해 타 시스템과의 연동을 위한 통합방재시스템 Network를 구축해 주는 전문업체를 지정하거나 프로토콜을 표준화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제조사별 시스템에 대한 지식을 공유하기 위한 정기적인 협의의 장이 마련되어 의견을 종합할 필요가 있다.

현재로서는 통합방재시스템 Network 개선을 통해 상호 시스템 통합이 이루어지는 데에 많은 시간과 노력이 필요하겠지만, 개선된 통합방재시스템 Network로 인해 효율적인 운영과 체계적인 관리가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