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국문초록

목차

제1장 서론 11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1

1) 연구의 배경과 의의 11

2) 연구의 목적 14

2. 선행연구검토 15

3. 연구의 절차 17

제2장 朝鮮後期 陣法訓練의 절차와 내용 19

1. 朝鮮後期 戰法의 특징과 陣法書 19

1) 조선후기 戰法의 특징 19

2) 조선후기의 陣法書 22

2.『兵學通』의 진법훈련 節次 28

1) 진법훈련의 준비 28

2) 行軍 및 列陣 설치 연습 35

3) 列陣 상태에서 공격연습 46

4) 方營 설치 및 방어훈련 51

5) 다양한 陣形 및 추격 훈련 54

3. 소결론 55

가.행군과 공격 및 방어 연습에 대한 상세한 규정 55

나.병종별로 독립적인 단위부대의 구성 55

다.열진의 2층 구조를 이용한 살수의 전투력 유지 56

라.비합리적인 『병학지남』 체제의 고수 57

제3장 陣法訓練에 필요한 指揮信號의 종류와 운용 59

1. 기능별 지휘용 깃발의 종류 60

1) 方位를 가리키는 깃발 60

2) 각급 지휘관용 깃발 64

3) 陣形을 설치하는 데 사용되는 깃발 68

4) 경보 및 명령 전달 69

5) 權威)와 紀律을 상징하는 깃발 72

6) 깃발 신호와 동작 76

2. 기능별 지휘용 樂器와 火器 77

1) 進退를 통제하는 악기 77

2) 坐作을 통제하는 악기 79

3) 隊形을 통제하는 악기 82

4) 신호용 火器 84

3. 진법훈련 절차에 따른 깃발과 악기의 사용법 86

1) 행군연습 86

2) 列陣 설치 및 공격훈련 89

3) 方營 설치 및 방어훈련 93

4) 기타 훈련 98

4. 소결론 102

가.오방기의 쓰임이 많지 않다. 102

나.각급 지휘관이 사용하는 깃발의 수가 적다 102

다.열진에서의 공격절차가 지나치게 자동화 되어있다. 103

제4장 朝鮮後期의 武藝와 鴛鴦隊의 구성 및 운용 105

1. 조선후기의 武器와 武藝 105

1) 武器와 武藝의 구분 105

2) 무예의 분류 107

2. 砲手의 武藝와 鴛鴦隊의 구성 및 운용 110

1) 포수의 무기: 조총과 환도 110

2) 포수 원앙대의 운용 114

3. 殺手의 武藝와 鴛鴦隊의 구성 및 운용 118

1) 살수 원앙대의 구성과 무예 118

2) 살수 원앙대의 운용 123

3) 『무예제보』의 總圖와 원앙진의 운용 127

4) 무예 간의 相剋 및 相生 관계 132

4. 소결론 138

가.포수의 증가에 따른 지속적인 검법의 보급 138

나.다양한 무예의 보급과 표준적인 훈련 강화 139

다.살수용 근접무기의 종류 변화 140

제5장 결론 142

참고문헌 146

부록 7

『병학지남』과 『병학통』의 장조정식 원문 154

Abstract 164

표 목차

〈표 1〉 조선시대의 병서(兵書) 23

〈표 2〉 조선후기 진법훈련과 직접적 관련을 갖는 서적 목록 25

〈표 3〉 조선후기 군사 편제의 원칙 29

〈표 4〉 주장 행렬의 구성 31

〈표 5〉 오방기의 색깔 및 방향 61

〈표 6〉 깃발 신호와 동작 77

〈표 7〉 행군 개시와 대형 변경에 필요한 지휘신호 89

〈표 8〉 열진 설치에 필요한 절차별 지휘 신호 90

〈표 9〉 공격훈련 절차별 지휘 신호 93

〈표 10〉 방영 훈련에 필요한 지휘신호 98

〈표 11〉 각종 진형 설치 신호 99

〈표 12〉 부대단위별 방영설치 지휘신호 100

〈표 13〉 각종 충돌훈련 지휘신호 102

〈표 14〉 무예의 분류 110

〈표 15〉 『만기요람』에 제시된 훈련도감 근접무기의 수량 139

그림 목차

〈그림 1〉 『속병장도설』의 수자기 32

〈그림 2〉 행군 대형별 부대배치 37

〈그림 3〉 열진의 2층 구조 39

〈그림 4〉 1로행에서 열진으로의 변화 과정 41

〈그림 5〉 1로행에서 열진으로의 배치 42

〈그림 6〉 2로행에서 열진으로 변화하는 과정 43

〈그림 7〉 2로행과 3로행에서의 열진 배치가 완성된 모습 43

〈그림 8〉 4로행에서 열진으로의 변화 과정 44

〈그림 9〉 4로행과 5로행에서 열진 배치가 완료된 모습 45

〈그림 10〉 大隊에서 小隊로 벌려서기 46

〈그림 11〉 隊 사이의 간격을 이용한 후층 살수의 이동방식 48

〈그림 12〉 양층 살수와 마병이 모두 나가 싸우는 모습... 50

〈그림 13〉 방영의 구조 51

〈그림 14〉 유럽에서의 전투대형의 변화 58

〈그림 15〉 『속병장도설』에 나오는 오방기 중 주작기의 모습 61

〈그림 16〉 『속병장도설』에 나오는 홍색 신기의 모습. 62

〈그림 17〉 『속병장도설』에 나오는 고초기의 모습 63

〈그림 18〉 『기효신서』에 나오는 고초기의 모습 63

〈그림 19〉 『속병장도설』초관의 인기 66

〈그림 20〉 사명기 66

〈그림 21〉 영장 수기 67

〈그림 22〉 문기 68

〈그림 23〉 각기 68

〈그림 24〉 『속병장도설』의 당보기와 『무예도보통지』의 기창(旗槍) 70

〈그림 25〉 영기와 영전 71

〈그림 26〉 신전과 홍령기 71

〈그림 27〉 『속병장도설』의 수자기 73

〈그림 28〉 미국에서 반환된 순무 영 수자기 73

〈그림 29〉 대열기 73

〈그림 30〉 『속병장도설』의 좌독기 74

〈그림 31〉 표미기 75

〈그림 32〉 순시기와 홍순시기 75

〈그림 33〉 금고기와 청도기 76

〈그림 34〉 『속병장도설』의 북[鼓]과 비(鼙) 78

〈그림 35〉 『속병장도설』의 징 79

〈그림 36〉 『속병장도설』의 나(螺) 80

〈그림 37〉 『원행을묘정리의궤』의 바라수 80

〈그림 38〉 『속병장도설』의 대각 81

〈그림 39〉 『원행을묘정리의궤』의 대각수 81

〈그림 40〉 『속병장도설』의 나팔 82

〈그림 41〉 『속병장도설』의 탁(鐸). 솔발의 대용으로 쓰였다. 83

〈그림 42〉 반차도의 솔발 83

〈그림 43〉 『속병장도설』의 호포와 신포 84

〈그림 44〉 『기효신서』의 화전 86

〈그림 45〉 『병학통』 〈오방기초선출입표도〉 95

〈그림 46〉 『기효신서』의 조총과 발사장치 111

〈그림 47〉 『무예도보통지』의 환도와 단도 및 검의 모습 114

〈그림 48〉 『원행을묘정리위궤』의 반차도의 훈련도감 포수의 모습. 114

〈그림 49〉 『병학통』 〈조총윤방도〉 115

〈그림 50〉 5단 윤방 시간측정 장면 116

〈그림 51〉 화약과 납탄환의 조합 (早合) 117

〈그림 52〉 카트리지의 사용법 117

〈그림 53〉 『리조복식도감』의 포수 모습. 117

〈그림 54〉 등패의 모양과 요도(腰刀) 및 표창(鏢槍) 119

〈그림 55〉 낭선의 구조[그림없음] 120

〈그림 56〉 장창의 구조[그림없음] 121

〈그림 57〉 당파의 구조 122

〈그림 58〉 살수 원앙대의 배열 123

〈그림 59〉 『병학지남』 〈단병교병도〉 126

〈그림 60〉 원앙진의 공격과 방어의 개념도 127

〈그림 61〉 등패와 낭선의 총도 128

〈그림 62〉 장창과 당파의 총도-1 129

〈그림 63〉 장창과 당파의 총도-2 130

〈그림 64〉 낭선 구개세의 노선 130

〈그림 65〉 〈운용형태 1〉방어막을 뒤에서 공격 131

〈그림 66〉 〈운용형태 2〉방어막을 우회하는 적을 공격 131

〈그림 67〉 〈운용형태 3〉전부의 개방과 후부의 일제 공격 131

〈그림 68〉 각 무기 간의 상극관계 134

〈그림 69〉 가위·바위·보의 맞물리는 상극관계 134

〈그림 70〉 『기효신서』의 〈삼재진도〉 135

〈그림 71〉 적이 등패수의 상단을 공격할 경우 137

〈그림 72〉 적이 등패수의 하단을 공격할 경우 137

〈그림 73〉 적이 등패수의 중단을 공격했을 경우 1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