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0
학위논문 1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0)
일반도서 (0)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1)
학위논문 (1)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논문명/저자명
公共性 確保를 위한 集會의 自由의 保障과 制限에 관한 硏究 / 권현식 인기도
발행사항
서울 :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4.2
청구기호
TD 340 -14-91
형태사항
xi, 240 p. ; 26 cm
자료실
전자자료
제어번호
KDMT1201401942
주기사항
학위논문(박사) -- 고려대학교 대학원, 법학과, 2014.2. 지도교수: 김연태
원문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목차

제1장 서론 15

제1절 연구의 목적 15

제2절 연구의 범위와 방법 19

I. 연구의 범위 19

II. 연구의 방법 20

제2장 현대 행정에서의 공공성 24

제1절 공공성의 의미 24

I. 공공성의 개념 24

II. 공공성의 발전 33

III. 헌법에서의 공공성 40

IV. 행정법에서의 공공성 44

제2절 집회의 공공성 51

I. 현대 시민사회에서의 공공성 변화와 한계 51

II. 공공성의 형성과 공론장 55

III. 집회에서의 공공성 형성과 실현 63

IV. 미국 공공성 논의 70

제3절 집회의 자유의 보장과 제한의 공공성 79

I. 공공성 확보와 경찰권 행사 79

II. 집회의 자유의 보장 및 제한이 필요한 공공성 87

제3장 집회의 자유의 보장과 제한 90

제1절 집회의 의의 90

I. 집회의 개념 90

II. 집회와 시위의 구분 97

제2절 집회의 자유의 법적근거 111

I. 집회의 자유 111

II. 집회의 자유의 보장 및 제한의 원리 118

제3절 집회의 자유의 보장과 제한에 대한 입법례 130

I. 외국의 입법례 130

II. 우리나라의 집회 관련 법제 136

제4절 집회에서의 경찰권행사의 제한 148

I. 경찰권행사의 제한의 근거 148

II. 경찰권 행사와 권리구제 158

제4장 집회의 자유와 제한에 관한 법적 문제점과 개선방안 166

제1절 집시법상 문제점과 개선방안 166

I. 집시법에서의 공공성 166

II. 집시법의 신고 167

III. 집시법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171

제2절 신종집회의 자유보장과 위법 집회에 대한 피해 구제 방안 210

I. 신종집회의 자유의 보장과 제한 210

II. 위법한 집회에 대한 피해 구제방안 221

제5장 집회의 공공성을 위한 경찰권 행사의 발전 방안 224

제1절 공공성 구현과 경찰권 행사 224

I. 집회에서의 공공성과 경찰권행사 224

제2절 집회의 자유의 보장을 위한 협력적 발전 방안 228

I. 국가와 집회의 주최자간 발전적 협력관계 형성 228

제6장 결론 233

참고문헌 236

Abstract 251

[표-1] 집회 신고 중 개최·미개최 현황 172

[표-2] 총 집회 횟수 중 신고·미신고 횟수 현황 176

[표-3] 헌법재판소 9명 재판관 의견 180

[표-4] 집시법 제14조의 확성기 등의 소음기준 194

[표-5] 집회 및 위법(폭력) 집회 현황 211

초록보기 더보기

Article 21 (2) of the Constitution of the Republic of Korea guarantees freedom of assembly as an important fundamental right. Even though freedom of assembly can be restricted when it is necessary under Article 37 (2) of the Constitution, it also stipulates that the essence of freedoms and rights cannot be violated at the same time.

As our society has evolved into a plural society. the desire for the political participation of members of society has grown. Dissatisfaction with government policies and calls for the guarantees of freedom of assembly, to obtain the benefits of individuals or groups, have increased.

In a democratic society, balancing the guarantees of freedom of assembly with restrictions for maintaining social order is an important issue. The balance of the guarantees and restrictions in this context indicates the publicness of assembly.

The publicness of assembly is defined not as the establishment of public peace and order by governmental authority but as directions of laws and regulations which are discussed and agreed on by stakeholders, such as the state. members of the society and the organizers of rallies through democratic processes in the public sphere. However, the absence of the public sphere for the discussion and national consensus among members of society about the guarantees of freedom of assembly makes it difficult to secure the publicness for freedom of assembly.

Securing freedom of assembly is not obtained simply by requiring of it of the state, but it also needs the voluntary cooperation of the organizers and participants of rallies, as well as that of the general public.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acquire public opinion for maximum guarantees and the minimum restrictions of freedom of assembly in order to secure publicness.

In this thesis, an induction process, which is a traditional method of academic studies, was conducted to achieve the research goal of securing publicness, by guaranteeing and minimizing the restrictions of freedom of assembly. First, positive laws were analyzed as primary sources, and then the theories, literatures and/or papers of domestic and foreign scholars; decisions of the Constitutional Court or the Supreme Court of Korea and foreign countries; as well as other related data were used as secondary sources.

Furthermore, the thesis discussed what the publicness in public laws is, in the exercise of police authority, and in the Act of Assembly and Demonstration, in addition to what is necessary to secure publicness. In consideration of realistic situations, the thesis studied systematic understanding to realize the guarantees and restrictions of freedom of assembly by securing publicness.

Publicness needs not be decided by the state and followed by the citizens. but rather should be decided by discussions with reasonable procedures and methods by the participants of rallies. members of society and the police on equal terms. A rally under the assurance of publicness is guaranteed by the state. and its participants express their opinions with confidence.

Such an assurance of publicness is not simply for the state but ultimately for the guarantee to exercise the fundamental rights to freedom of assembly of all citizens. Even though the current acts on assemblies and demonstrations have legislative intent for maximizing the guarantees and minimizing the restrictions of freedom of assembly, a limit on guaranteeing fundamental rights to freedom of assembly has appeared. Therefore, as for the agendas to supplement or amend the acts on assemblies and demonstrations in order to guarantee freedom of assembly as well as to minimize its restrictions, several amendment ideas were proposed; first. the matter of a longer term notice of assembly in order to preoccupy a site; second, the matter of the punishment for an undeclared rally; third, the policy matter of legislation on the time limit of an outdoor assembly in the night; forth, the matter of extensive restrictions on an assembly site; fifth, the concern about the police superintendent's abuse of power to prohibit a rally in his precinct; sixth, excessive noise from a rally; seventh, the permission for wearing masks by rally participants; eighth. the matter with the advisory committee for assemblies and demonstrations on the application of the Act of Assembly and Demonstration; ninth, imposing regulations for policemen collecting evidence at a place of assembly.

Meanwhile, the assemblies which are categorized as new types of assemblies such as the candlelight rally. a single person demonstration, a cyberspace assembly, the 'three steps, one bow' rally, and a rally in the form of a press conference do not required to be declared, thus, they do not necessitate police intervention. However, if the assemblies have any conditions that need to be declared, problems regarding an undeclared assembly can be caused. In this regard, the necessity of exercising police power, according to the standard of proportion, was proposed for the undeclared but peaceful assembly which does not violate public peace and order, so as to respect the guarantee of the constitutional freedom of assembly and the value of the minimum restriction of it.

In particular, the necessity of a serious discussion about imposing the system of class action lawsuits and legal aid as a compensation plan for the damage from illegal rallies was proposed because there is controversy over the opinion that the system suppresses freedom of assembly and violates fundamental rights.

In addition. several development plans were proposed to secure publicness in terms of the exercise of police authority; first. building consistency and clarity for the police force enforcing the law; second. enhancing the ability of managing an assembly to guarantee freedom of assembly; third. building mutual cooperative relationships between the police and the organizers of a rally; forth, extending the mediatory role of the police to control conflicts; fifth, exerting efforts to promote a legitimate assembly culture.

The proposals revealed by the thesis meet constitutional ideas and values, reasonably balance the guarantee and restrictions of freedom of assembly according to acts on assemblies and demonstrations, and in particular secure the establishment of public peace and order, concretely and practically.

In conclusion, the guarantee and minimum restrictions of freedom of assembly for securing publicness are expected to make important contributions to establishing a constitutional state, a democratic state, a social state. a cultural state and a welfare state, all of which the Constitution of the Republic of Korea adopted as a structural principle of the nation.

참고문헌 (231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더보기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헌법』신판, 법문사, 2004. 미소장
2 『경찰경비론』, 경찰대학, 2011. 미소장
3 경찰청, 『집회 및 시위에 관한법률 운영 매뉴얼』, 2005. 미소장
4 경찰청, 『2012 경찰백서』, 2013. 미소장
5 『헌법학 (中)』신정2판, 박영사, 2002. 미소장
6 『헌법학 (中)』신정2판, 박영사, 2007. 미소장
7 『헌법학원론』개정판, 법문사, 2005. 미소장
8 『행정법 I』제17판, 법문사, 2013. 미소장
9 『행정법 II』제17판, 법문사, 2013. 미소장
10 『헌법사례연습』, 법문사, 2000. 미소장
11 『행정법 I: 행정법이론의 헌법적 원리』, 법문사, 1998. 미소장
12 『경찰상 민관협력에 관한 공법적 이해』, 한국학술정보, 2011. 미소장
13 『공공성-공공성에 대한 다양한 접근』, 미메시스, 2008. 미소장
14 『경찰관 직무집행법의 개선방안 연구』, 한국법제연구원, 2003. 미소장
15 『경찰관직무집행법』 ,학림, 2013. 미소장
16 『시민성과 통치성 그리고 공공성』, 백산서당, 2011. 미소장
17 『헌법학개론』제13전정신판, 박영사, 2001. 미소장
18 『헙법학신론』제21전정신판, 박영사, 2013. 미소장
19 『행정법신론』제15판, 박영사, 2011. 미소장
20 집회·시위에 대한 경찰대응 기준과 개선방안 네이버 미소장
21 『경찰행정법』 제2판, 박영사, 2011. 미소장
22 『전환기의 행정법이론』, 박영사, 1997. 미소장
23 『집회 및 시위에 관한 법률의 개정방향에 관한 연구』, 치안정책연구소, 2009. 미소장
24 『경찰법연구』, 세창출판사, 2012. 미소장
25 『행정법총론』 제2판, 세창출판사, 2012. 미소장
26 『국가경쟁력 강화를 위한 법·질서 확립방안』, 한국형사정책연구원, 2008. 미소장
27 『푸코와 하버마스를 넘어서』, 교보문고, 1997. 미소장
28 『표현, 언론 그리고 집회결사의 자유』, 한양대학교 출판부, 2011. 미소장
29 『헌법학강의』 제5판, 홍문사, 2013. 미소장
30 『경찰의 집회관리방식에 대한 집회참가자와 일반국민의 의식차 비교』, 치안정책연구소, 2006. 미소장
31 『경찰행정법』, 푸른세상, 2004. 미소장
32 『집회의 자유와 집시법』, 경인문화사, 2009. 미소장
33 『헌법학』 제7판, 홍문사, 2012. 미소장
34 『집회시위에 대한 경찰개입의 한계에 관한 연구』, 치안연구소, 2004. 미소장
35 『헌법학원론』 제8판, 박영사, 2013. 미소장
36 『집회 및 시위의 보장과 규제에 관한 연구』, 한국형사정책연구원, 2002. 미소장
37 『공공성이란 무엇인가』, 책세상, 2010. 미소장
38 『시민사회와 제3섹터』, 한양대학교출판부, 1999. 미소장
39 『공익론』, 서울대학교출판부, 2002. 미소장
40 『푸코 & 하버마스』, 김영사, 2009. 미소장
41 한국공공사회학회, 『시민성과 통치성 그리고 공공성』, 백산서당, 2011. 미소장
42 『집회및시위에관한법령 해설』, 법제처, 2004. 미소장
43 『헌법학』 제2판, 법문사, 2012. 미소장
44 『한국헌법론』신4판, 박영사, 2004. 미소장
45 『한국헌법론』 전정7판, 박영사, 2011. 미소장
46 『헌법이론과 헌법』 제4판, 박영사, 2010. 미소장
47 『경찰행정법』 제3판, 박영사, 2013. 미소장
48 『행정법원론(상)』 제20판, 박영사, 2012. 미소장
49 『행정법원론(하)』 제21판, 박영사, 2012. 미소장
50 『집회 시위법 해설: 집회 및 시위에 관한 법률』, 박영사, 2009. 미소장
51 하버마스의 토의적 민주주의 이론 : 민주주의의 규범적 의미와 자유주의와 공화주의의 화해 소장
52 행정의 법적 정당성으로서의 '공공성' 소장
53 “집회의 자유”, 한국에서의 기본권이론의 형성과 발전”, 정천 허영 박사 회갑기념 논문집, 1997. 미소장
54 집회의 자유의 보호영역과 허가 금지 소장
55 집시법상 집회와 시위에 관한 법적 고찰 네이버 미소장
56 사복경찰관 집회·시위 현장 채증활동의 법적 정당성 연구 소장
57 집회·시위의 전제로서 ''''장소''''개념에 대한 고찰 : 미국의 ''''공적 광장이론''''과 새로운 공간전술에 대한 비판 논의를 중심으로 소장
58 “집회및 시위에 관한법률의 개정방향에 관한 연구” 치안정책연구소, 2009. 미소장
59 권리에 대한 법경제학적 분석의 의의와 한계 소장
60 공정과 정의 소장
61 Amartya Sen’s Theory of Justice: Its methods and structures 소장
62 Freedom of Speech and Marketplace of Ideas - Focusing on the Mr. Justice Oliver W. Holmes - 소장
63 변형 집회·시위의 피해 경감방안에 관한 연구 : 종교·문화행사를 빙자한 집회 및 시위에 대하여 소장
64 집회, 시위중 소음규제에 관한 연구 소장
65 “집회시위의 제한과 입법정책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0. 미소장
66 “우리의 집회시위제도 발전방안 모색을 위한 각국의 집회시위제도 비교고찰”, 치안연구소, 1995. 미소장
67 미국헌법상 집회의 자유에 관한 연구 소장
68 원칙이자 과정으로서의 공공성 : 존 롤스 <정의론>을 넘어서 소장
69 야간옥외집회 원칙적 금지의 위헌성 소장
70 集會·示威 現場에서의 撮影에 대한 行政法的 根據와 限界 소장
71 집회·시위에 관한 사진채증 활동의 헌법적 근거와 그 한계에 대한 검토 : 영국 법원의 법리에 대한 비교법적 분석을 통하여 소장
72 The Basic and Limitation for the Exercising of the Police Power against Assembly and Demonstration 소장
73 경찰 법집행의 공공성 변화에 관한 검토 소장
74 집시법의 몇 가지 문제점 : 집회의 개념, 사전신고제, 야간옥외집회 금지에 관하여 소장
75 “집회 및 시위에 관한 법률의 위헌성”, 민주법학 제41호, 민주주의법학연구회, 2012. 미소장
76 야간 옥외집회 및 시위에 관한 법규정의 공백에 따른 방향 설정을 위한 비교법적 고찰 소장
77 영국의 집회 및 시위의 자유 소장
78 집회의 자유와 입법자 및 경찰권 소장
79 평화시위구역제도에 대한 헌법적 검토 : 집회 및 시위의 자유의 본질론을 중심으로 소장
80 미국의 소음규제관련법제 : 확성기 소음규제 관련 법령을 중심으로 소장
81 집회와 시위의 개념구분에 관한 고찰 소장
82 Rechtliche aufgabe der verwaltungsreform 네이버 미소장
83 Publicity, Social Groups, and Deliberative Democracy 소장
84 공공성의 개방성과 배제 : 공공성의 개방성과 공통성 사이의 긴장을 너머 소장
85 집시법 제10조 야간집회금지 조항 등의 위헌성 : 헌법재판소 1994.04.28, 91헌바14 결정을 중심으로 소장
86 집회의 자유의 보장과 제한가능성의 경계 소장
87 “공공성과 정보화 :전자정부를 중심으로”, 새로운 시대의 공공성 연구, 법문사, 2008. 미소장
88 A Study on the Legal Basis of Police Intelligence Operation in Public Conflict Intervention 소장
89 Discussion about Public Reorganization and Growth of Civil Society in Japanese 소장
90 표현의 자유와 공적광장이론 : 미연방대법원 판례를 중심으로 소장
91 국회인근 집회금지의 위헌성 : 헌바20·59(병합)결정 검토를 중심으로 소장
92 디지털 뉴미디어와 정치 공론장의 구조변동 소장
93 “공공성에 대한 다양한 시각”, 『새로운 시대의 공공성 연구』, 법문사, 2008. 미소장
94 『집회 및 시위에 관한 법률』상의 신고제의 법리 고찰 소장
95 “경찰관발동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2. 미소장
96 경찰개념의 역사적 발전에 관한 고찰 소장
97 경찰법에 있어서의 공공의 안녕의 개념 소장
98 「집회 및 시위에 관한 법률」상의 집회의 개념 소장
99 경찰권발동의 규율원리로서의 헌법 소장
100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Police Response and the Actual Condition of the Assembly and Demonstration in Major Countries 소장
101 “1880년 일본 집회조례의 제정과 정치/학술의 담론적 위계화의 기원”, 대동문화연구 제79호,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012. 미소장
102 A Study on Assembly and Demonstration in Sou th Korea : The Actual Condition of Police Response Analysis and Measures of Improvement 네이버 미소장
103 '집회의 자유'의 헌법적 보장 : 헌법재판소 결정의 논증 비판 소장
104 시민의식과 집회·시위의 자유 소장
105 집회·시위의 자유의 헌법규범과 헌법현실 소장
106 Social Value of Counter Public Sphere 소장
107 현행 「집회 및 시위에 관한 법률」의 적용상 문제점과 개선방안에 관한 고찰 : 집회관리를 위한 경찰실무를 중심으로 소장
108 적법한 집회·시위에 대한 경찰의 개입가능성 고찰 : 독일의 판례 및 이론의 도입가능성 검토를 중심으로 소장
109 집회의 자유와 경찰비용 소장
110 집회참가를 위한 이동의 자유와 경찰제지조치 소장
111 네트워크사회의 도래와 공공성의 특성 변화 : 영역, 경계, 행위자, 배제를 중심으로 소장
112 미국헌법상 집회의 자유와 사전제한 소장
113 “경찰의 집회관리방식에 대한 집회참가자와 일발국민의 의식차 비교” 치안정책연구소 2006. 미소장
114 시민과 함께 하는 미래의 경찰상(警察像)에 관한 연구 소장
115 집회의 자유에 대한 헌법적 해석 및 관련법률의 비례성심사 소장
116 A Study on the Alternative Public Sphere and Democratic Publicness: Focused on the Possibility of Local Space and Politics 소장
117 참여민주주의의 재성찰 : 「현실의 시민」을 중심으로 소장
118 집시법상의 복면시위 금지 소장
119 근대와 공공성 딜레마 : 개념과 사상을 중심으로 소장
120 A Public Law Review on Issues in the Permit of Outdoor assembly in the night 소장
121 A Study on the Democratic Legitimacy of Deliberative Democracy -Focusing on the principle of identity- 소장
122 집회의 자유의 헌법적 기능과 보호범위에 관한 연구 소장
123 경찰법상의 개괄수권조항에 관한 연구 소장
124 集會의 自由의 保障을 위한 憲法政策的 硏究 소장
125 Reconstruction of the World of Life by New Civic Culture Found in Candle Protests 소장
126 민주주의 다양성과 공공성 : 레짐이론을 중심으로 소장
127 집회의 자유와 경찰권 행사에 관한 연구 : 선진 집회제도를 위한 법·제도적 방안을 중심으로 소장
128 The Comparative Study on the Historical Changes in the Protest and Its Control of the Police: Focusing on the Cases of the United States, the United Kingdom, Germany, and Japan 소장
129 집회의 개념에 대한 헌법적 고찰 소장
130 집회시 경찰의 사전차단조치에 대한 문제점과 개선방안 : 집시법상 절대적 집회금지규정과 금지통고제도 및 이의신청제도를 중심으로 소장
131 “집회의 자유와 집시법”, 경인문화사, 경인문화사, 2009. 미소장
132 사이버 집회·시위에 대한 헌법적 고찰 소장
133 「집회 및 시위에 관한 법률」 제11조의 위헌성 소장
134 “불법 집회·시위에 대한 합리적 대응방안”, 동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8. 미소장
135 “공공성의 개념, 위기, 활성화 조건”, 정부학연구 제9권 제1호, 고려대학교 정부학연구소, 2009. 미소장
136 Classifying the Patterns of Publicness 소장
137 “역동적 치안활동을 위한 시민과 경찰의 역할”, 치안연구소, 2002. 미소장
138 집회시위시 발생하는 소음의 합리적 규제기준에 관한 연구 소장
139 “공공성의 정치학적 접근”, 새로운 시대의 공공성 연구, 법문사, 2008. 미소장
140 The Constitutional Interest in the Conflicts between the Freedom of Assembly and the Property Right 소장
141 현행 「집회 및 시위에 관한 법률」의 적용상 문제점과 개선방안에 관한 고찰 : 집회관리를 위한 경찰실무를 중심으로 소장
142 Special : Habermas` Conceptions of Public Sphere and Deliberative Democracy 소장
143 야간 옥외집회 금지에 대한 헌법재판소의 헌법불합치 결정의 의미와 집시법의 개정 방향 : 헌재 2009.9.25 2008헌가25 결정에 대한 검토를 중심으로 소장
144 Versammlungsfreiheit und Versammlungsgesetz 소장
145 행정민주주의와 공공성: 심의 민주주의와의 접목 네이버 미소장
146 집회의 자유의 제한과 그 한계 : 헌재 2009. 9. 24. 2008헌가25에 대한 평석 소장
147 “ 촛불시위의 사회적 비용” 한국경제연구원, 2008 미소장
148 집회및 시위의 보장과 규제에 관한 연구, 한국형사정책연구원, 2002. 미소장
149 시민사회와 공공성 : 시민사회에 관한 헌법이론적 고찰 소장
150 헌법에 있어서 공공성의 의미 소장
151 “현행집시법의 문제점 및 개선방향”, 국회입법조사처, 2009. 미소장
152 Politics on the Streets and Rights Discourse 소장
153 The Actualities of 'Publicness' discourse in Korea 소장
154 Hannah Arendt’s implications of the one person demonstration and the candlelight demonstrations 소장
155 경찰활동과 시민참여 : 위원회의 활동을 중심으로 소장
156 풀뿌리 공론장에 대한 이론적 고찰 : 하버마스 공론장 개념의 비판적 재구성과 확장 소장
157 Right to Protest and Limits of State`s Police Power 네이버 미소장
158 Right to Assembly and Demonstration - With Some American Experiences 소장
159 집시법의 운용상 한계 및 개정방향에 관한 연구 소장
160 공론장, 의사소통, 토의정치 : 공공성의 사회적 구성과 정치과정의 동학 소장
161 시민적 공공성과 한국 사회의 발전 소장
162 갈등해결기법의 경찰업무 적용방안에 관한 연구 소장
163 A Study on the Korean National Police's Protesting Poilcing Policy through the Analysis of Negotiated Management Model 소장
164 “2008년 촛불집회시위의 공간성에 관한 고찰”, 경제와 사회 통권 90호, 비판사회학회, 2011. 미소장
165 『기본권이론』, 한길사, 2007. 미소장
166 『인간의 조건』, 한길사, 1996. 미소장
167 『사실성과 타당성』, 나남출판, 2007. 미소장
168 『바이에른 집회법』, 세창출판사, 2010. 미소장
169 『독일경찰법론』, 세창출판사, 1998. 미소장
170 『자유주의와 공동체주의』, 한울 아카데미, 2001. 미소장
171 『근대의 사회적 상상』, 이음, 2010. 미소장
172 『루시퍼 이펙트: 무엇이 선량한 사람을 악하게 만드는가』, 웅진지식하우스, 2007. 미소장
173 『일본경찰법』, 한국법제연구원, 2003. 미소장
174 『민주적 공공성-하버마스와 아렌트를 넘어서』, 도서출판 이음, 2009. 미소장
175 경찰청·국가경쟁력강화위원회, “법질서 확립과 국가브랜드 가치 향상을 위한 집회시위 선진화 방안”, 국가경쟁력강화위원회 제7차 회의자료,... 미소장
176 경찰청·한국경찰학회, “평화적 집회시위 문화정착을 위한 노력과제, 국제학술세미나 자료, 2006. 미소장
177 바른사회시민회의, “집시법 위한 현황과 판결 및 폭력시위로 인한 사회경제적 손실”, 2013. 미소장
178 이재교, “평화적인 집회ㆍ시위 문화를 정착시키기 위한 방안”, 평화적 집회시위문화 정착을 위한 집시법 개정 토론회, 2006. 미소장
179 치안연구소, “선진집회시위문화 정착을 위한 시민과 경찰의 역할, 공청회자료, 2003. 미소장
180 대법원 인터넷 종합법률정보센터 판례 검색: http://glow.scourt.go.kr/ 미소장
181 법무부: http://www.moj.go.kr 미소장
182 영국 입법 사이트: http://www.legislation.gov.uk/ukpga/1994/33/contents 미소장
183 Versammlungsgesetz: Kommentar zum Gesetz über Versammlungen und Aufzüge, 15. Aufl., Heymanns, 2008. 미소장
184 Strafrechtliche Nebengesetze, 177. Aufl., C.H. Beck, 2009. 미소장
185 Allgemeines Polizei-und Ordungsrecht, 12 Aufl., C.H .Beck, 1995 미소장
186 Öffentliches interesse als juristisches problem, BWV Berliner-Wissenschaf, 2006. 미소장
187 "Öffentlichkeit und Verfassung", Verfassung als öffentlicher Prozess, Duncker & Humblot, 1978. 미소장
188 Fakizität und Geltung, Suhrkamp, 1992. 미소장
189 "Further Reflections on the Public Sphere", in: Calhoun, Craig J. (eds.), Habermas and the Public sphere, Cambridge: The MIT... 미소장
190 Strukturwandel der Öffentlichkeit, Suhrkamp, 1990. 미소장
191 Theorie des kommunikativen handelns, Bd.1, 2. Aufl. Suhrkamp, 1997. 미소장
192 Versammlungsfreiheit, in: Josef, Isensee/Paul, Kirchhof (Hrsg.), HStR VI, 2001. 미소장
193 Versammlungsfreiheit, in: Josef, Isensee/Paul, Kirchhof (Hrsg.), HStR VII, 2009. 미소장
194 Versammlungsfreiheit, in: Josef, Isensee/Paul, Kirchhof (Hrsg.), Handbuch des Staatsrechts, , C.F. Müller, 2010. 미소장
195 Demonstrations und Versammlungsrecht, 4. Aufl., C.H. Beck, 2001. 미소장
196 "Deliberative Demokratie und Dritter Weg - eine neue Sackgasse?", Der Staat, Bd. 42, Heft 2, 2003. 미소장
197 Handbuch des Polizeirechts, 3. Aufl., C.H. Beck, 2001. 미소장
198 Öffentlich als Rechtsberiff, Gehlen, 1969. 미소장
199 Allgemeines Verwaltungsrectht, 11. Aufl., C.H. Beck, 1997. 미소장
200 "Public Fora, Neutral Goverments, and the Prism of Property", 50 Hastimgs L. J., 1999. 미소장
201 Wirkungsbereich und Schranken der Versammlungsfreiheit, insbesobdere im Verhältnis zur Meinungsfreiheit, Dunker & Humbolt, 1974. 미소장
202 (Hrsg.), Grundgesetz Kommentar, Bd. 1, 6. Aufl., C.H. Beck, 2012. 미소장
203 Das Öffentliche als verfassungstheoretisches Problem, Duncker & Humblot, 1971. 미소장
204 "Geschichte und Heutige Valenz des Öffentlichen", G. Winter (Hrsg.), Das Öffentiche heute, Nomos, 2002. 미소장
205 Art. 8 Versammlungsfreiheit, Dreier, Horst, u.a. (Hrsg.), in: GG kommentar, 2. Aufl., Mohr Siebeck, 2007. 미소장
206 "Zum problem des Öffentlichen und Öffentlichkeit", Staatrechtliche Abhandlungen, 3. Aufl., Duncker & Humblot, 1994. 미소장
207 Verwaltungsrecht Bd. 1. 11. Aufl. C.H. Beck, 1999. 미소장
208 Human Condition, The University of Chicago, 1958. 미소장
209 Constitutional Law, Thomson, 2005. 미소장
210 "Rehabilitating Public Forum Doctrine: In Defense of Categoies", The Supreme Court Review Vol. 1992, 1992. 미소장
211 "Invasion of the public forum Doctrine", 46 Willamette L. Rev., 2010, 647. 미소장
212 Equality, Moral Incentives, and the Market: An Essay in Utopian Politico-Economic Theory,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81. 미소장
213 Constitutional Law, Aspen publisher, 2002. 미소장
214 Rescuing Justice and Equality 네이버 미소장
215 "Does Anybody really Need a Limited Public Forum?", 82 St. John's L. Rev., 2008. 107. 미소장
216 Constitutional Law, Wolters Kluwer, 2009. 미소장
217 "The Shadow do the Leviathan : Public and Private in Communist and post-Communist Socity", in: Jeff Weintraub & Krishan Kumar... 미소장
218 When is Discrimination Wrong?, Harvard University Press, 2008. 미소장
219 Overcriminalization: The Limits of the Criminal Law, Oxford University Press, 2008. 미소장
220 The idea of police, SAGE, 1985. 미소장
221 "Public Fora, Neutral Goverments, and the Prism of Property", 50 Hastimgs L. J., 1999, 309. 미소장
222 Government Speech and the Public Forum: A Clash Between Democratic and Egalitarian Values 네이버 미소장
223 "Between Govermance and Management: The History and Theory of the Public Forum", 34 UCLA L. R., 1713, 1987. 미소장
224 Rational Fools: A Critique of the Behavioral Foundations of Economic Theory 네이버 미소장
225 Rationality and Freedom, Belknap Press of Harvard University Press, 2002. 미소장
226 The Idea of Justice, Belknap Press of Harvard University Press , 2009, 미소장
227 Content-Neutral Restrictions 네이버 미소장
228 "Content Regulations and the First Amendment", 25 Wm. & Mary L. Rev., 1983, 189. 미소장
229 Incentives, Inequality, and Publicity, Philosophy & Public Affairs Vol. 27, No. 3, 1998. 미소장
230 "Space, Place, And Speech: The Expressive Topography", 74 Geo. Wash. L. Rev., 2011, 57. 미소장
231 "Speech and Spatial Tactis", 84 Texas L. R., 581, 2006. 미소장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