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0
학위논문 1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0)
일반도서 (0)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1)
학위논문 (1)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논문명/저자명
여가문화에 대한 미디어 담론 분석 : '캠핑'을 중심으로 = (The)media discourse analysis on leisure culture : focusing on 'camping' / 박정은 인기도
발행사항
서울 :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4.2
청구기호
TM 338.4791 -14-148
형태사항
viii, 146 p. ; 26 cm
자료실
전자자료
제어번호
KDMT1201412765
주기사항
학위논문(석사) -- 한양대학교 대학원, 관광학과, 2014.2. 지도교수: 이훈
원문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국문요지

목차

I. 서론 12

1. 연구의 배경 12

2. 연구 목적 15

3. 연구 방법 16

4. 연구절차 및 구성 18

II. 이론적 고찰 20

1. 여가문화와 미디어 담론 20

1) 미디어의 특성 20

2) 미디어 담론 21

3) 여가문화에 대한 미디어의 영향 23

4) 여가·관광분야의 미디어 담론 연구 26

2. 아웃도어 레크리에이션과 캠핑 30

1) 아웃도어 레크리에이션 30

2) 캠핑의 개념과 특성 32

3) 캠핑관련 연구의 흐름 35

III. 연구의 틀 37

1. 담론이론 37

1) 담론의 개념 37

2) 담론이론의 흐름 39

2. 비판적 담론분석법 44

1) 담론분석법 44

2) Fairclough의 비판적 담론분석법 45

3) 연구방법의 적합성 46

3. 연구 절차 48

1) 연구 대상 48

2) 자료 수집 50

3) 자료 분석 52

4) 연구의 타당성과 신뢰성 58

IV. 분석 결과 60

1. 캠핑문화 및 산업의 사회적 맥락 60

1) 캠핑문화를 둘러싼 사회적 상황 60

2) 국내 캠핑산업의 현황 및 동향 70

3) 캠핑 관련 제도적 맥락 72

2. 캠핑관련 기획기사에 대한 비판적 담론분석 75

1) 캠핑과 편익 75

2) 캠핑과 가족 83

3) 캠핑과 소비 90

3. 심층면접을 통한 한국사회 캠핑문화 분석 98

1) 캠핑에 관한 미디어 담론의 구성 98

2) 캠핑문화에 대한 인식 108

3) 캠핑활동 참여를 제약하는 요인 118

V. 결론 127

1. 요약 및 논의 127

2. 연구의 시사점 132

3. 연구의 의의와 한계 135

참고문헌 138

부록. 분석대상 152

ABSTRACT 154

〈표 1〉 미디어담론을 분석한 여가·관광연구 분야의 선행연구 27

〈표 2〉 아웃도어 레크리에이션 자원의 구분 31

〈표 3〉 캠핑환경에서의 놀이활동 34

〈표 4〉 담론분석법과 내용분석법의 비교 44

〈표 5〉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50

〈표 6〉 연구의 분석틀 53

〈표 7〉 질적연구의 엄정성 평가 기준과 본 연구의 적용 58

[그림 1] 승용차 등록대수 및 가구당 자가용 대수 62

[그림 2] 연도별 캠핑인구 및 캠핑용품 시장 규모 70

초록보기 더보기

 여가시간의 활용과 가치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증가하면서 특정 계층의 전유물로 여겨지던 다양한 여가활동들이 대중화되고 있다. 특정 활동에 대한 수요에 따라 매시기마다 이슈가 되고 화제가 되는 활동이 변화하는데, 이는 해당 매력물의 객관적인 측면이 변화했기 때문이 아니라,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그 활동의 가치와 이미지를 반영하는 사회적 인식이 변화했기 때문이다. 기존의 연구들은 여가활동이 산업과 개인의 정서에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에 주목하여, 경제적, 산업적 측면에서의 접근을 통해 관련 산업의 활성화를 도모하거나 행위자의 심리적 측면에 초점을 맞추어 만족도를 극대화시키기 위한 시사점을 제공하는 연구들이 주로 이루고 있다. 이러한 연구들은 미시적 차원에서 개인의 내재적 심리를 이해하고 실무적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에는 기여하였으나, 여가활동에 참여하는 개인의 선택, 자유의지 등을 전제함으로써 여가경험의 전반적인 과정에 개입하는 문화적 맥락의 문제를 간과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특정 여가활동에 참여하는 사람들이 증가하는 문화현상을 단순히 개인의 선택으로 인한 '인기'로 이해하거나, 관련 산업의 활성화를 통한 경제적 이익의 극대화를 우선시 하는 접근에 대한 비판적 문제제기를 하고자 한다. 최근 한국사회에서 급속한 속도로 성장하고 있는 캠핑산업과 캠핑족에 주목하여, 캠핑에 관한 미디어 담론을 분석함으로써 현재 한국사회의 캠핑문화의 특성과 그러한 문화적 현상 속에 내재되어 있는 담론적 실천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연구는 Fairclough의 비판적 담론분석법을 차용하여 캠핑에 관한 기획기사를 중심으로 미디어 담론을 분석하고, 분석의 정합성을 높이기 위하여 행위자 차원에서의 수용자 조사와 산업적, 제도적 요인들에 대한 다각도의 분석을 시도하였다. 연구과정에서 단층적인 저널리즘적 분석을 넘어 비판적이고 중층적인 시각을 견지함으로써 여가문화의 트렌드를 이해하는 경제적 환원주의에서 벗어나 문화현상에 개입하는 다양한 담론적 실천들을 이해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현재진행중인 문화현상을 바라보는 근시안적 태도를 확장하고, 현대 한국사회의 여가문화의 특성과 지향점을 논의해 보고자 하였다.

미디어 담론과 심층면접의 진술자료를 분석한 결과, 현재 '캠핑장에서는 남자가 주로 일을 한다', '캠핑을 즐기려면 비싼 장비들이 필요하다', '캠핑은 돈이 많은 사람들이 할 수 있다' 등의 캠핑에 관한 전형적인 이미지가 형성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는 우리 사회의 캠핑문화가 장비 구매 등의 소비생활을 중심으로 상업화되어가고 있으며, 또한 정상가족, 중산층 등의 특정 계층을 중심으로 형성되고 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캠핑에 관한 담론이 정상가족 이데올로기, 중산층 이데올로기 등을 강화하고 있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캠핑활동에 대한 고정관념은 실제 경험을 통해 형성되기도 하지만, 미디어가 단편적이고 획일화된 정보를 제공하는 것과도 관련이 있다. 실제 한국사회에서 캠핑활동에 참여하는 많은 사람들이 가족단위로 자신의 장비를 '구매'하여 정해진 장소에 가서 시간을 보내고 오는 형태로 획일화되어 가고 있는데, 이러한 여가담론의 상업화와 양극화 담론이 여가문화의 동질화를 초래할 수 있다는 점에서 주의가 필요하다.

또한 캠핑에 관한 미디어 담론은 캠핑 열풍의 원인으로 주5일 근무제, 자동차보급율의 증가, 가처분 소득의 증가, 그 외에 자연에 대한 열망, 가족에 대한 관심 증가 등을 지목하고 있으나, 실제 수용자들은 캠핑참여 인구가 증가하고 있는 현상의 원인으로 한국사회에서 가족 단위로 참여할 수 있는 여가활동에 관한 정보 등의 대체제가 부족함을 원인으로 지목하였고, 미디어와 산업과의 결탁에 따른 마케팅 전략 등을 비판적으로 인식함에 따라 미디어가 제공하는 정보에 대한 신뢰도도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미디어는 확정되지 않은 다수의 관점을 열린 문제로서 제시해야 할 당위성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정보의 '다양성'과 '공정성'의 관점에서 여가현상을 보도하는 언론과 개인이 사회, 정치적 영향 속에서 여가에 관한 담론을 어떻게 의미작용하고 있는지에 대한 비판적인 논의, 나아가 우리 여가문화가 획일화되어가는 과정과 문화산업의 영향에 대한 성찰적 작업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특정 여가활동이 특정 조건을 갖춘 사람들만이 즐길 수 있는 것으로 담론이 형성되기 보다는 각 개인이 자신의 상황과 요구에 맞는 여가활동에 제약없이 참여할 수 있도록 다양한 담론이 형성되어야 할 것이며, 여가문화에 관한 정책적 지원 역시 경제적 가치로만 환원할 수 없는 여가의 문화적 사회적 가치에 대한 고민을 반영해야 할 것이다. 향후 본 연구의 단점을 보완할 수 있는 실증적 연구뿐만 아니라 민속지학과 참여관찰 등의 질적 방법을 활용한 문화정치학적 여가연구가 활발히 지속되기를 기대한다.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