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국문요약

목차

제1장 서론 12

1절 연구배경 12

2절 연구목적 14

제2장 QR 코드 공정관리 선행연구 15

1절 QR 코드의 개요 15

1. 1차원 바코드와 QR 코드비교 16

2. QR 코드의 특징 17

3. QR 코드의 발전 동향 20

2절 QR 코드의 활용사례 22

1. 서울대학병원 외래진료시간표 22

2. 도서관 QR 코드 활용 22

3. 애완동물 QR 코드 활용 23

4. 문화유산 QR 코드 서비스 23

5. 신문기사 QR 코드 적용 24

3절 제조업의 특성 25

1. 다품종 소량생산과 소품종 대량생산의 구분 27

2. 다품종 소량생산과 소품종 대량생산의 특징 28

제3장 QR 코드 공정관리 적용대상 연구 31

1절 배관지지물 제품소개 31

2절 배관지지물 공정흐름도 33

3절 배관지지물 공정관리의 문제점 35

제품 기초정보의 활용부족 35

실시간 작업상황 파악불가 35

공정품의 재고관리 어려움 35

생산 품질추적의 어려움 36

Packing 사고발생 36

4절 배관지지물 As-Is 및 To-Be 37

1. 생산공정 As-Is 37

2. 생산공정 To-Be 39

제4장 QR 코드 공정관리 시스템 구축 41

1절 시스템 구축 개요 41

2절 PDA 데이타 베이스 설계 43

3절 QR 코드 공정관리 주요 프로세스 45

1. 작업 지시서 45

2. QR 코드발행 및 Packing 관리 46

3. 제품검사 관리 47

4절 QR 코드 공정관리 기능별 사용자 인터페이스 48

1. PDA 시스템 구성 48

2. 모바일 시스템 구성 53

5절 QR 코드공정관리 적용효과 55

1. 실시간 생산정보수집 55

2. 생산 공정 재고현황 56

3. 생산공정별 지연현황 57

4. Packing 사고 발생방지 58

5. 직접비에 대한 원가분석 59

6절 QR 코드 공정관리 효과 분석 60

1. 공정관리 업무 Process 효과 분석 60

2. 업무 처리시간 분석 효과검증 62

제5장 결론 66

참고문헌 67

ABSTRACT 68

〈표 2-1〉 Bar 코드와 QR 코드 비교 16

〈표 3-1〉 배관지지물 제품소개 32

〈표 3-2〉 배관지지물 생산공정 33

〈표 4-1〉 생산공정관리 Table 구성 44

〈표 4-2〉 ERP 서버와 Proxy서버 구성 48

〈표 4-3〉 QR 코드 공정관리 업무처리 시간분석 62

[그림 2-1] QR 코드정보표시 17

[그림 2-2] QR 코드인쇄 17

[그림 2-3] QR 코드구성 18

[그림 2-4] QR 코드의 연속기능 18

[그림 2-5] QR 코드의 오류복구 19

[그림 2-6] QR 코드와 컬러 코드 21

[그림 2-7] 서울대학병원 외래진료시간표 22

[그림 2-8] 애완동물 QR 코드활용 23

[그림 2-9] 문화재청 QR 코드활용 23

[그림 2-10] 신문기사 QR 코드활용 24

[그림 2-11] 제조업의 특성 26

[그림 3-1] 스프링행거 제작 공정도 34

[그림 3-2] 배관지지물 생산 As-Is 38

[그림 3-3] 배관지지물 생산 To-Be 40

[그림 4-1] QR 코드 생산 공정관리 업무흐름도 41

[그림 4-2] QR 코드 작업지시서 42

[그림 4-3] Proxy 서버 Table 정의 43

[그림 4-4] 작업지시 처리 업무흐름도 45

[그림 4-5] QR 코드 발행 및 Packing 업무흐름도 46

[그림 4-6] 제품 불량내역 등록 업무흐름도 47

[그림 4-7] PDA UI 메뉴구성도 49

[그림 4-8] PDA 등록 UI 51

[그림 4-9] PDA Proxy 서버 설정 및 DB Connect 52

[그림 4-10] 모바일 제품조회 Source 코드 53

[그림 4-11] 모바일 QR 코드 조회 54

[그림 4-12] 공정별 생산진행율 55

[그림 4-13] 공정 중 재고현황 56

[그림 4-14] 생산공정별 지연현황 57

[그림 4-15] Packing 누락 현황 58

[그림 4-16] 부문별 투입시간 현황 59

[그림 4-17] Process Chart기법을 적용한 효과분석 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