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0
학위논문 1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0)
일반도서 (0)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1)
학위논문 (1)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논문명/저자명
신라왕릉 전기탐사와 구조해석 : 경주지역 통일신라시대를 중심으로 / 이진락 인기도
발행사항
경주 : 경주대학교 대학원, 2014.2
청구기호
TD 702.88 -14-34
형태사항
x, 275 p. ; 26 cm
자료실
전자자료
제어번호
KDMT1201415865
주기사항
학위논문(박사) -- 경주대학교 대학원, 문화재학과, 2014.2. 지도교수: 강봉원
원문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목차

I. 서론 16

1. 연구목적 16

2. 연구방법 18

II. 신라능묘 묘도방향 전기탐사 이론과 신뢰도 시험 21

1. 묘도방향 측정을 위한 전기탐사 이론과 실험장치 21

1) 신라능묘 묘향, 문향[묘도향], 두향의 문제 21

2) 전기비저항방식 전기탐사의 이론적 고찰 25

3) 신라능묘 묘도방향 전기탐사의 방법과 실험장치 33

2. 기 발굴된 신라능묘 묘도 방향의 측정 신뢰도 시험 41

1) 헌강왕릉 전기탐사 44

2) 신덕왕릉 전기탐사 51

3) 용강동고분 전기탐사 56

4) 황성동석실분(906-5번지) 전기탐사 62

3. 기 발굴된 신라능묘 묘도 방향 전기탐사 실험결과 66

III. 신라능묘 전기탐사 70

1. 원성왕릉 70

2. 성덕왕릉 74

3. 효소왕릉 80

4. 신문왕릉 86

5. 정강왕릉 91

6. 경애왕릉 95

7. 아달라왕릉 99

8. 경명왕릉 102

9. 지마왕릉 105

10. 일성왕릉 108

11. 무열왕릉 112

12. 서악동고분 1호분 117

13. 서악동고분 2호분 121

14. 서악동고분 3호분 123

15. 서악동고분 4호분 126

16. 경덕왕릉 128

17. 김유신묘 132

18. 전민애왕릉 136

19. 흥덕왕릉 139

20. 진덕여왕릉 143

21. 헌덕왕릉 147

22. 진덕여왕릉 북쪽 추정왕릉 151

IV. 신라능묘 전기탐사 결과의 종합적 해석 156

1. 신라능묘의 묘향, 묘도방향 156

2. 신라능묘 비정안에 대한 검토 163

1) 신라왕릉 비정의 연구 164

2) 신문왕릉의 문제 171

3) 서악동고분의 문제 173

4) 동일 장지 2기 왕릉의 문제 198

5) 소결 201

V. 신라능묘 봉분과 호석의 구조와 원리 203

1. 신라능묘 봉분의 구조 해석 203

1) 신라능묘 봉분과 가상구(球) 204

2) 신라능묘 가상구(球)의 원리 해석 212

2. 신라능묘 호석 지대석과 난간지주 지대석의 구조 원리 220

1) 신라능묘 난간지주 및 그 지대석의 설계 규칙 220

2) 신라능묘 호석지대석과 받침석 224

3) 김유신묘 호석구조의 특이성 문제 238

4) 신라능묘 호석구조에서 난간지주의 출현시기 246

5) 전민애왕릉 호석받침석의 단면구조 255

VI. 복원 오류 신라능묘 호석 원형의 복원 261

1. 신라능묘 호석구조의 원형과 중요성 261

2. 헌강왕릉과 정강왕릉의 호석구조 원형 263

3. 용강동고분 호석구조 원형 274

VII. 결론 279

참고문헌 283

Abstract 287

〈표 1〉 헌강왕릉 전기탐사 결과 47

〈표 2〉 지질매질의 전기비저항 50

〈표 3〉 신덕왕릉 방위별 전기탐사 결과 54

〈표 4〉 용강동고분 방위별 전기탐사 결과 59

〈표 5〉 원성왕릉 방위별 전기탐사결과 72

〈표 6〉 성덕왕릉 방위별 전기탐사결과 78

〈표 7〉 효소왕릉 방위별 전기탐사 결과 83

〈표 8〉 신문왕릉 방위별 전기탐사 결과 90

〈표 9〉 정강왕릉 방위별 전기탐사 결과 93

〈표 10〉 경애왕릉 방위별 전기탐사 결과 97

〈표 11〉 아달라왕릉 방위별 전기탐사 결과 100

〈표 12〉 경명왕릉 방위별 전기탐사 결과 103

〈표 13〉 지마왕릉 방위별 전기탐사 결과 107

〈표 14〉 일성왕릉 방위별 전기탐사 결과 110

〈표 15〉 무열왕릉 방위별 전기탐사 결과 114

〈표 16〉 서악동고분 1호분 방위별 전기탐사 결과 119

〈표 17〉 서악동고분 2호분의 방위별 전기탐사 결과 122

〈표 18〉 서악동고분 3호분 전기탐사 결과 124

〈표 19〉 서악동고분 4호분 방위별 전기탐사 결과 127

〈표 20〉 경덕왕릉 방위별 전기탐사 결과 131

〈표 21〉 김유신묘 방위별 전기탐사 결과 134

〈표 22〉 전민애왕릉 방위별 전기탐사 결과 137

〈표 23〉 흥덕왕릉 방위별 전기탐사 결과 141

〈표 24〉 진덕여왕릉 방위별 전기탐사 결과 146

〈표 25〉 헌덕왕릉 방위별 전기탐사 결과 149

〈표 26〉 진덕여왕릉 북쪽 추정왕릉 방위별 전기탐사 결과 153

〈표 27〉 각 왕릉별 전기탐사 결과 비교 156

〈표 28〉 신라왕릉 장지관련 기록과 피장자 비정연구 비교 164

〈표 29〉 주요 신라능묘의 봉분 규모 및 피장자 비정안 비교 172

〈표 30〉 법흥왕, 진흥왕, 진지왕, 무열왕의 장지지록 비교 175

〈표 31〉 서악동 일대의 능묘에 대한 피장자 비정안 비교 177

〈표 32〉 서악동 일대 신라능묘의 사적지 지정 현황 181

〈표 33〉 서악동고분과 무열왕릉의 전기탐사 결과와 피장자 비정안 187

〈표 34〉 신라능묘의 後補 改修說 193

〈표 35〉 중국 唐능묘의 後補 改修 사례 195

〈표 36〉 2기 왕릉의 장지기록이 동일 장소인 신라왕릉 199

〈표 37〉 인접 거리에 조영된 신라능묘와 피장자 비정안 200

〈표 38〉 원호중심각에 따른 원호의 반경과 깊이 비율 계산표 208

〈표 39〉 월성 북쪽 고분 봉분 원호중심각과 곡율반경 계산 213

〈표 40〉 중고기 이후의 신라능묘 봉분 원호중심각과 곡율반경 계산 214

〈표 41〉 퇴적물의 크기에 따른 안식각의 크기 217

〈표 42〉 신라능묘 호석의 가로/세로 비율 227

〈표 43〉 왕릉별 호석의 외곽길이 비교 237

〈표 44〉 김유신묘 호석지대석 실측과 부재 해석 241

〈표 45〉 신라능묘 봉분과 호석구조 및 크기 비교 273

〈그림 1〉 경주지역 횡혈식석실분의 변천과정 24

〈그림 2〉 사각주(a) 와 시추코어(b) 전기비저항 측정방법 28

〈그림 3〉 전기비저항 탐사기의 구성도 29

〈그림 4〉 전기비저항법 전기탐사 전극배열법 30

〈그림 5〉 경주 황성동석실분과 고성 송악동1호분의 GPR 탐사 결과 33

〈그림 6〉 신라능묘 봉분 내부 석실구조 전기탐사 개념도 36

〈그림 7〉 신라능묘 전기탐사 시험장비 38

〈그림 8〉 신라능묘 전기탐사 탐침 수평 높이 39

〈그림 9〉 전기탐사장치 전원부와 전선, 탐침봉 설치 위치 40

〈그림 10〉 전기탐사 전류계와 탐침봉 탐침 모습 41

〈그림 11〉 전기탐사 방향과 탐침거리 계측 42

〈그림 12〉 경주지역 전기탐사 신라능묘 위치도 43

〈그림 13〉 헌강왕릉 주변 지형도 44

〈그림 14〉 헌강왕릉 남쪽부분 노출 전경 44

〈그림 15〉 헌강왕릉의 주변측량도와 석실 추정 복원도 45

〈그림 16〉 헌강왕릉 전기탐사 준비 46

〈그림 17〉 헌강왕릉 전기탐사 결과 48

〈그림 18〉 신덕왕릉 주변 지형도 51

〈그림 19〉 신덕왕릉 평면도와 단면도 52

〈그림 20〉 신덕왕릉 전기탐사 53

〈그림 21〉 신덕왕릉 전기탐사 결과 55

〈그림 22〉 용강동고분 봉토 토층도와 석실 단면도와 입면도 57

〈그림 23〉 용강동고분의 발굴조사 이전과 복원된 모습 58

〈그림 24〉 용강동고분 전기탐사 방향계측과 탐침위치 선정 59

〈그림 25〉 용강동고분 전기탐사 결과 60

〈그림 26〉 발굴조사 직후 황성동석실분 전경과 전기탐사 준비 모습 63

〈그림 27〉 황성동석실분의 평면도(左)와 석실 평·입면도(右) 64

〈그림 28〉 황성동석실분(906-5번지)의 토층노출 모습 65

〈그림 29〉 원성왕릉 주변 지형도 71

〈그림 30〉 원성왕릉 전기탐사 71

〈그림 31〉 원성왕릉 전기탐사결과 73

〈그림 32〉 성덕왕릉과 효소왕릉 주변 지형도 75

〈그림 33〉 성덕왕릉 전기탐사 장면 76

〈그림 34〉 성덕왕릉 전기탐사 결과 79

〈그림 35〉 성덕왕릉과 효소왕릉의 약실측 배치도 80

〈그림 36〉 효소왕릉 전기탐사 장면 82

〈그림 37〉 효소왕릉 전기탐사 결과 84

〈그림 38〉 성덕왕릉과 효소왕릉 전기탐사 결과 비교 85

〈그림 39〉 신문왕릉 주변 지형도 86

〈그림 40〉 신문왕릉 약실측 평면 배치도 87

〈그림 41〉 신문왕릉 전기탐사 장면 88

〈그림 42〉 북동쪽에서 내려다 본 신문왕릉 모습 89

〈그림 43〉 신문왕릉 전기탐사 결과 91

〈그림 44〉 정강왕릉 주변 지형도 92

〈그림 45〉 정강왕릉 전기탐사 장면 92

〈그림 46〉 정강왕릉 전기탐사 결과 94

〈그림 47〉 경애왕릉과 배리삼릉 주변 지형도 96

〈그림 48〉 경애왕릉 전기탐사 장면 96

〈그림 49〉 경애왕릉 전기탐사 결과 98

〈그림 50〉 아달라왕릉 전기탐사 장면 99

〈그림 51〉 아달라왕릉 전기탐사 결과 101

〈그림 52〉 경명왕릉 전기탐사 장면 102

〈그림 53〉 경명왕릉 전기탐사 결과 103

〈그림 54〉 배리삼릉 전기탐사 결과 비교 104

〈그림 55〉 지마왕릉과 일성왕릉 주변 지형도 106

〈그림 57〉 지마왕릉 전기탐사 결과 108

〈그림 58〉 일성왕릉 전기탐사 장면 109

〈그림 59〉 일성왕릉 전기탐사 결과 110

〈그림 60〉 일성왕릉 지마왕릉 경애왕릉 전기탐사 결과 비교 111

〈그림 61〉 무열왕릉과 서악동고분군 주변 지형도 112

〈그림 62〉 무열왕릉 전기탐사 장면 113

〈그림 63〉 무열왕릉 전기탐사 결과 115

〈그림 64〉 무열왕릉과 서악동고분군 김인문묘 김양묘 약실측 배치도 116

〈그림 65〉 무열왕릉과 김인문묘 김양묘 귀부의 약실측 배치도 116

〈그림 66〉 서악동고분 1호분 전기탐사(左)와 2호분, 3호분, 4호분 전경 118

〈그림 67〉 서악동고분 1호분 탐침위치 선정 장면 118

〈그림 68〉 서악동 1호고분 전기탐사 결과 120

〈그림 69〉 서악동고분 2호분 전기탐사 결과 123

〈그림 70〉 서악동고분 3호분 전기탐사 방향계측 장면 124

〈그림 71〉 서악동 3호고분 전기탐사 결과 125

〈그림 72〉 서악동고분 4호분 전기탐사 결과 128

〈그림 73〉 경덕왕릉 주변 지형도 129

〈그림 74〉 경덕왕릉 전기탐사 장면 130

〈그림 75〉 경덕왕릉 전기탐사 결과 132

〈그림 76〉 김유신묘 주변 지형도 133

〈그림 77〉 김유신묘 전기탐사 장면 133

〈그림 78〉 김유신묘 전기탐사 결과 135

〈그림 80〉 전민애왕릉 전기탐사와 봉분 탐침 장면 137

〈그림 81〉 전민애왕릉 전기탐사 결과 138

〈그림 82〉 흥덕왕릉 주변 지형도 140

〈그림 83〉 흥덕왕릉 전기탐사 장면 140

〈그림 84〉 흥덕왕릉 전기탐사 결과 142

〈그림 85〉 흥덕왕릉과 원성왕릉 전기탐사 결과 비교 142

〈그림 86〉 진덕여왕릉 주변 지형도 143

〈그림 87〉 진덕여왕릉 전기탐사 장면 144

〈그림 88〉 진덕여왕릉 전기탐사 결과 147

〈그림 89〉 헌덕왕릉 주변 지형도 148

〈그림 90〉 헌덕왕릉 전기탐사 장면 148

〈그림 91〉 헌덕왕릉 전기탐사 결과 150

〈그림 92〉 헌덕왕릉의 일제강점기(左,中)와 현재(右) 150

〈그림 93〉 진덕여왕릉 북쪽 추정왕릉 주변 지형도 151

〈그림 94〉 진덕여왕릉 북쪽 추정왕릉 대지단면도 152

〈그림 95〉 진덕여왕릉 북쪽 추정왕릉 전기탐사 장면 152

〈그림 96〉 진덕여왕릉 북쪽 추정왕릉 전기탐사 결과 154

〈그림 97〉 신라능묘 묘도입구 방향과 묘향 157

〈그림 98〉 원성왕릉과 성덕왕릉 혼유석과 묘도입구 추정방향 158

〈그림 99〉 민애왕릉 묘도입구 추정방향에 있는 상석 159

〈그림 100〉 성덕왕릉과 효소왕릉 봉토 전기적 특성 160

〈그림 101〉 서남산 전칭박씨왕릉 6기 봉분 토양 전기적 특성 161

〈그림 102〉 무열왕릉과 서악동고분 4기 봉분 토양 전기적 특성 162

〈그림 103〉 무열왕릉과 서악동고분군 배치도 174

〈그림 104〉 무열왕릉과 서악동고분군 대지단면도 185

〈그림 105〉 신라능묘 봉분 구조 가상구(球) 입체도 204

〈그림 106〉 동일반경 구(球)에서 높이에 따른 봉분의 형태변화 206

〈그림 107〉 신라능묘 봉분 곡율 해석도 207

〈그림 108〉 신라능묘 봉분 곡율원 추정 비교 216

〈그림 109〉 흙으로 만든 구조물의 붕괴를 막는 방법 219

〈그림 110〉 신라능묘 난간지주와 지대석 설계와 배치도 221

〈그림 111〉 성덕왕릉 난간지주 및 지대석 입체도 223

〈그림 112〉 신문왕릉 호석구조 평면도 226

〈그림 113〉 正南에서 바라본 신문왕릉 호석 및 봉분 스케치 227

〈그림 114〉 남동쪽 위에서 본 신문왕릉 입체도 228

〈그림 115〉 북동쪽 위에서 본 신문왕릉 스케치 229

〈그림 116〉 경덕왕릉 호석지대석과 난간지주지대석 배치도 230

〈그림 117〉 성덕왕릉 호석지대석과 난간지주지대석 배치도 231

〈그림 118〉 흥덕왕릉 호석지대석과 난간지주지대석의 배치도 232

〈그림 119〉 원성왕릉 호석지대석과 난간지주지대석 배치도 233

〈그림 120〉 헌덕왕릉 호석지대석과 난간지주지대석 배치도 234

〈그림 121〉 김유신묘 호석갑석과 난간지주지대석 배치도 235

〈그림 122〉 성덕왕릉과 김유신묘의 난간지주지대석의 형태 차이 238

〈그림 123〉 성덕왕릉 호석지대석과 탱석 갑석의 결합형식 239

〈그림 124〉 김유신묘 호석지대석 1번 ~ 6번의 모습 242

〈그림 126〉 김유신묘 호석지대석 13번 ~ 18번의 모습 243

〈그림 128〉 김유신묘 호석지대석과 난간지주지대석 배치도 244

〈그림 129〉 김유신묘 호석지대석 실측도 245

〈그림 130〉 1974년 당숙종 건릉 출토 십이지신상 말상과 원숭이상 248

〈그림 131〉 성덕왕릉 호석구조 해석 입체도 249

〈그림 132〉 강우방설에 의한 성덕왕릉 호석 변천과정 250

〈그림 134〉 전민애왕릉(左)과 신당리고분(右) 호석 255

〈그림 135〉 신당리고분 호석받침석 단면(左)과 호석(左) 256

〈그림 136〉 전민애왕릉 호석받침석의 약실측도 257

〈그림 137〉 전민애왕릉 호석및 호석받침석 평면도 258

〈그림 138〉 헌강왕릉(左)과 정강왕릉(右) 전경 263

〈그림 139〉 헌강왕릉과 정강왕릉의 호석구조 스케치 264

〈그림 140〉 헌강왕릉 주변 호석 추정 석재 264

〈그림 141〉 정강왕릉 주변 호석 추정 석재 265

〈그림 142〉 1910년대 헌강왕릉(左)과 정강왕릉(右) 전경 모사도 266

〈그림 143〉 헌강왕릉 토층 단면도 266

〈그림 144〉 헌강왕릉 호석 구재와 신재의 구분 추정 267

〈그림 145〉 정강왕릉 호석 구재와 신재의 구분 추정 268

〈그림 146〉 헌강왕릉 호석구조 현재 모습(左)과 추정 원형(右) 269

〈그림 147〉 정강왕릉 호석구조 현재 모습(左)과 추정원형(右) 269

〈그림 148〉 헌강왕릉 현재 호석구조(지대석/4단요석) 입체도 271

〈그림 149〉 헌강왕릉 추정원형 호석구조(지대석/3단요석/갑석) 입체도 271

〈그림 150〉 정강왕릉 현재 호석구조(지대석/2단요석) 입체도 272

〈그림 151〉 정강왕릉 추정원형 호석구조(지대석/3단요석/ 갑석)입체도 272

〈그림 152〉 용강동고분 호석과 봉분 전경 274

〈그림 153〉 용강동고분 원재 면석 실측도와 탱석 가상 모습 276

〈그림 154〉 용강동고분 24탱석/24면석(左)과 35면석右) 입체도 276

〈그림 155〉 24탱석/24면석(左)과 35면석(右) 지대석/갑석 추가 입체도 277

〈그림 156〉 24탱석/24면석구조 추정원형(左)과 현재 35면석구조의 외관 비교 278

초록보기 더보기

 This study cOnducted electrical surveys Of rOyal tOmbs with a frOnt Open stOne chamber tOmb typeand interpreted the structures Of burial mOunds and retaining stOnes. In terms Of the type Of ancient tOmbs Of the Unified Silla PeriOd, previOus studies nOted that rOyal tOmbs Of the Sill PeriOd befOre the unificatiOn Of the three kingdOms were mainly wOOden chamber tOmbs with a stOne mOund, based On excavated and unearthed relics. Few studies explOred the structures Of Silla rOyal tOmbs Of the Unified Silla PeriOd. Studies that did such explOratiOn were art histOries that examined Only 12 ZOdiac Animal Statues carved On retaining stOnes. Essentially, few studies actively examined the structures Of Silla rOyal tOmbs.

Few effOrts have been made except fOr a few maintenance surveys Of sOme rOyal tOmbs (the TOmb Of King HeOngang and the TOmb Of King SindeOk) whOse pOrtiOns were stOlen. There has been a systemic lack Of infOrmatiOn and studies abOut the internal structures Of the rOyal tOmbs Of the Unified Silla PeriOd.

In recent years, archaeOlOgical studies arOund the wOrld have been cOnducted using nOn-destructive inspectiOn methOds that dO nOt invOlve excavatiOns. FOllOwing the trend, this study cOnducted electrical surveys Of rOyal tOmbs with a frOnt Open stOne chamber tOmb type using electrical resistivity. Twenty-five rOyal tOmbs with a frOnt Open stOne chamber tOmb type in GyeOngju were subjected tO simple electrical surveys that searched fOr their tOmb entries. Based On electrical survey results, the first, the study fOund that rOyal tOmbs with a frOnt Open stOne chamber tOmb type had their tOmb entries either in the sOutheastern Or sOuthwestern sectiOns Of the tOmbs.

In additiOn, thrOugh the surveys, the secOnd, the study fOund that the magnitude Of electrical Output differed acrOss the TOmb Of King SeOngdeOk and King HyOsO and Bari despite the fact that the surveys were cOnducted under the same weather and geOgraphical cOnditiOns, indicating that they used different types Of earth fOr burial mOunds Of the TOmb Of King MuyeOl and SeOkak-dOng . This difference will help us predict when each tOmb was created.

The third, the study alsO fOund that, amOng rOyal tOmbs with altar stOnes, the lOcatiOns Of tOmb entries and altar stOnes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FOr instance, in the case Of the TOmb Of King WOnseOng, King GyeOngdeOk and General Kim Yu-shin whOse altar stOne is tilted tOward the east frOm the central sOuthern pOsitiOn, the lOcatiOn Of its tOmb entry turned Out tO be sOuthwestern. In the case Of the TOmb Of King SeOngdeOk, whOse altar stOne is tilted tOward the sOuthwest, the lOcatiOn Of its tOmb entry titled tOward the sOutheast. The study Of shapes Of burial mOunds Of rOyal tOmbs alsO identified that cOnsistent patterns emerged between their height and radius, indicating that burial mOunds Of rOyal Silla tOmbs fOllOwed certain cOnstructiOn standards.

This study by GyeOngju fOund cOver stOnes frOm the TOmb Of King HeOngang and the TOmb Of King JeOnggang that had been unknOwn and shOwed that bOth tOmbs have retaining stOne structures in which cOver stOnes were placed On three-layered vertical stOnes buttressed by a grOunding stOne. MOreOver, since the grOunding stOnes Of the TOmb Of King Sinmun and King Minae were established 60 degrees frOm the grOund and that Of the TOmb Of SeOngdeOk was 30 degrees frOm the grOund, the retaining structures Of Silla rOyal tOmbs might have alsO fOllOwed certain cOnstructiOn standards.

The study analyzed the plane placement Of the retaining stOnes and handrail stOnes Of rOyal tOmbs such as the tOmbs Of King SeOngdeOk, King WOnseOng, King GyeOngdeOk, Kim Yu-sin, King HeungdeOk, and King HeOndeOk thrOugh a 3D CAD prOgram, cOncluding that the retaining structures Of the rOyal tOmbs Of the Unified Silla PeriOd were designed and cOnstructed systemically and scientifically and identified certain patterns Of cOnstructiOn structures. FOr example, a certain prOpOrtiOnality existed between vertical height and hOrizOntal distance Of the retaining stOnes when viewed frOm the side.

In cOnclusiOn, the electrical studies Of rOyal tOmbs with a frOnt Open stOne chamber tOmb type in the Unified Silla PeriOd identified impOrtant infOrmatiOn On internal structures Of the tOmbs that has been unknOwn and paved the way fOr systemic and scientific methOds fOr studying the structures Of retaining stOnes Of the rOyal tOmbs Of the Unified Silla PeriOd.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