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국문초록
목차
제1장 서론 10
제2장 동물질병 발생 및 전파 현황 13
2.1. 주요 동물질병 13
2.1.1. 구제역(Foot-and-Mouth Disease, FMD) 14
2.1.2. 돼지 소모성 질병 18
2.1.3.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Highly Pathogenic Avian Influenza, HPAI) 22
2.2. 전염병 전파 경로 24
2.3. 질병 별 감염 역치 27
제3장 재료 및 방법 29
3.1. 공기 중 바이러스 분사 장비 29
3.2. 아크릴 실험 챔버 34
3.3. 공기 중 부유 바이러스 포집 장비 35
3.3.1. 다단포집기(225-370, SKC Inc., USA) 36
3.3.2. 바이오샘플러(225-9595K4, SKC Inc., USA) 38
3.3.3. 분진포집기(901-2011, SKC Inc., USA) 39
3.3.4. 포자포집기(Microflow 90, Aquaria, Scotland) 40
3.3.5. 수동식 시료채취기 41
3.4. 바이러스 검출 실험법 42
3.5. 연구 방법 46
제4장 결과 및 고찰 54
4.1. 공기 중 축산 바이러스 전파 연구사례 54
4.1.1. 역학 조사를 통한 전파 추정 연구 54
4.1.2. 공기 중 전파 확인 58
4.1.3. 공기 중 전파 예측 모델링 연구 72
4.2. 바이러스 포집 장비별 포집 성능 분석 77
4.3. 공기 중 감염 역치에 대한 포집 성능 분석 84
4.4. 공기 중 바이러스 포집 장비 종합 평가 87
제5장 결론 90
참고문헌 92
Abstract 106
Fig. 1. The number of occurrences of FMD and HPAI during 2000~2012... 11
Fig. 2. Category and details of transmission. 25
Fig. 3. Particle size distribution when human... 30
Fig. 4. Particle size distribution when human... 31
Fig. 5. Distribution of aerosolized droplet particle size... 31
Fig. 6. Shape of aerosol from aerosolization instrument 32
Fig. 7. Injection distance test using ink(0~30 cm) 33
Fig. 8. Injection distance test using ink(40~70 cm) 33
Fig. 9. Picture of experimental scene using acrylic chamber 35
Fig. 10. Picture of Compact Cascade Impactor 37
Fig. 11. Each stage of CCI filter for airborne virus... 37
Fig. 12. Bio-sampler and air sampling pump 39
Fig. 13. Air-sampler consisted of Polytetrafluoroethylene(PTFE)... 40
Fig. 14. Microflow and scene of airborne virus sampling 41
Fig. 15. Passive sampler for sampling particles by... 42
Fig. 16. Diagram of PCR(Polymerase Chain Reaction) 43
Fig. 17. PCR phases: Exponential, Linear, Plateau 44
Fig. 18. Change of cell shape according to PRRS infection(Healthy... 47
Fig. 19. Scene of experiment for detecting airborne virus 49
Fig. 20. Diagram of detecting of airborne virus 50
Fig. 21. Zone setting for light intensity analysis of... 52
Fig. 22. Personal sampler (a) front view of sampler, (b) side... 59
Fig. 23. Arrangement of isolation tents in isolation rooms.... 69
Fig. 24. (a) Location of infected premises in the order they were... 74
Fig. 25. Agarose gel image of samples analyzed by RT-PCR 78
Fig. 26. Relative comparison of sampling instrument according to... 81
Fig. 27. 95% confidence interval for quantity of virus sampled by... 86
Fig. 28. 95% confidence interval for quantity of virus sampled by... 86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