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목차

국문초록 7

ABSTRACT 9

I. 서론 12

II. 연구방법 19

III. 본론 20

1. 『傷寒論』과 『金匱要略』의 悸 관련 조문 20

가. 『註解傷寒論』의 悸 관련 조문 20

나. 『金匱要略』의 悸 관련 조문 21

2. 조문 분석 21

3. 悸의 변증 분류, 치법 및 처방 83

가. 心陽不足 - 桂技甘草湯證 84

나. 胃陽不足, 水停中焦 - 夜草甘草湯證 84

다. 脾賢陽虛, 水氣凌心 - 眞武湯證 85

라. 肝膽氣鬱, 三焦不利, 水氣內停 - 小柴胡湯去黃芩加茯苓證 85

마. 痰飮滯留中焦 - 半夏麻黃丸證 86

바. 中焦虛寒, 氣血陰陽俱虛 - 小建中湯證 86

사. 氣血陰陽虧虛 - 炙甘草湯證 87

아. 肝胃氣滯 - 四逆散加桂枝證 87

자. 中焦虛寒, 水氣凌心 - 理中丸加茯苓證 88

차. 痰飮停聚 - 小半夏加茯苓湯證 88

카. 心陽虛, 賢水乘心 - 茯苓桂枝甘草大棗湯證 88

타. 水停下焦, 膀胱氣化不利 - 五苓散證 89

4. 悸 관련 처방의 임상 적용례 89

가. 桂枝甘草湯 89

나. 茯苓甘草湯 90

다. 眞武湯 91

라. 小柴胡湯 96

마. 半夏麻黃丸 98

바. 小建中湯 99

사. 炙甘草湯 100

아. 四逆散 101

자. 理中丸 103

차. 小半夏加茯苓湯 104

카. 茯苓桂枝甘草大棗湯 106

타. 五苓散 106

5. 悸의 현대 임상례 108

IV. 고찰 114

V. 결론 123

VI. 참고문헌 124

표목차

표 1. 『傷寒論』 관련 문헌 19

표 2. 『金匱要略』 관련 문헌 19

표 3. 『註解傷寒論』의 悸 관련 조문 20

표 4. 『金匱要略方論』의 悸 관련 조문 21

표 5. 49조의 주석 22

표 6. 64조의 주석 24

표 7. 桂枝甘草湯의 주석 27

표 8. 65조의 주석 28

표 9. 82조의 주석 33

표 10. 96조의 주석 38

표 11. 96조의 주석 40

표 12. 小建中湯의 주석 43

표 13. 127조의 주석 44

표 14. 177조의 주석 46

표 15. 炙甘草湯의 주석 49

표 16. 264조의 주석 50

표 17. 265조의 주석 52

표 18. 318조의 주석 56

표 19. 四逆散의 주석 59

표 20. 356조의 주석 60

표 21. 茯苓甘草湯의 주석 63

표 22. 386조의 주석 64

표 23. 『金匱要略方論』 「血痺虛勞病脈證幷治第六」 4조의 주석 65

표 24. 『金匱要略方論』 「血痺虛勞病脈證幷治第六」 13조의 주석 68

표 25. 小建中湯의 주석 70

표 26. 『金匱要略方論』 「痰飮欬嗽病脈證幷治第十二」 7조의 주석 71

표 27. 『金匱要略方論』 「痰飮欬嗽病脈證幷治第十二」 12조의 주석 73

표 28. 『金匱要略方論』 「痰飮欬嗽病脈證幷治第十二」 30조의 주석 75

표 29. 『金匱要略方論』 「痰飮欬嗽病脈證幷治第十二」 31조의 주석 76

표 30. 『金匱要略方論』 「驚悸吐衄下血胸滿血病脈證幷治第十六」 1조의 주석 78

표 31. 『金匱要略方論』 「驚悸吐衄下血胸滿血病脈證幷治第十六」 13조의 주석 80

표 32. 半夏麻黃丸의 주석 83

표 33. 悸의 辨證 분류 84

표 34. 桂枝甘草湯의 현대 임상례 90

표 35. 茯苓甘草湯의 현대 임상례 91

표 36. 眞武湯의 현대 임상례 91

표 37. 小柴胡湯의 현대 임상례 97

표 38. 半夏麻黃丸의 현대 임상례 98

표 39. 小建中湯의 현대 임상례 99

표 40. 炙甘草湯의 현대 임상례 100

표 41. 四逆散의 현대 임상례 102

표 42. 理中丸의 현대 임상례 103

표 43. 小半夏加茯苓湯의 현대 임상례 105

표 44. 茯苓桂枝甘草大棗湯의 현대 임상례 106

표 45. 五苓散의 현대 임상례 107

표 46. 悸 관련 현대 임상례의 질병 분류 109

표 47. 悸의 현대 임상례 111

표 48. 悸를 목차로 하여 설명한 문헌 116

표 49. 조문별 悸의 病因病耭 116

초록보기

 悸는 心의 박동이 안정되지 않고 두려워 불안한 것으로, 『傷寒論』 과 『金匱要略』 에는 悸, 心悸, 心下悸, 心動悸, 臍下悸, 悸而煩, 厥而悸 등 여러 증상명이 보인다. 이에 대하여 『傷寒論』 과 『金匱要略』 의 주석을 중심으로 각 조문에 대하여 病因, 病機, 病位, 증상, 治法 및 처방에 대한 상세한 해석을 살펴보았고, 포괄적인 원인과 病機에 따른 方證을 분류하였고, 임상례 분석을 통해 悸와 관련된 현대 질병명의 범위를 도출하였다.

『註解傷寒論』 과 『金匱要略方論』 의 悸 관련 조문에 대하여 여러 문헌의 해석을 고찰하였고 중국의 임상 보고 논문을 참고하여 현대 질병 중 어느 범위에 배속될 수 있는지 조사하였다.

悸와 관련하여 『傷寒論』 에는 13개 조문, 『金匱要略』 에서는 9개 조문이 있고 悸와 관한 처방은 12개이다. 그리고 悸의 病機는 陽虛, 陰虛, 氣虛, 血虛, 水飮, 水氣凌心, 心虛, 心虛膽怯, 腎氣上奔 등으로 분석하였으며, 일부 주석에서 精虛, 胃熱, 木火上炎, 心火鬱, 熱邪上衝, 寒, 寒水 등으로도 언급하고 있다. 현대에는 悸의 病機를 다양하게 분류하는데 心血瘀阻, 痰火擾心, 陰虛火旺, 痰火相搏, 腎不納氣 등 원인과 兼證을 표현하여 수준이 상세하며 본 논문의 연구 범위에서 분석되지 않은 瘀血과 痰이 포함되어 있다. 그리고 悸에 대한 포괄적인 원인을 氣虛, 陰虛, 陽虛, 血瘀, 痰濁, 火熱, 血虛, 氣滯, 水飮, 濕邪, 寒邪 등으로 분류하기도 하였다.

조문에 언급된 처방을 중심으로 12가지의 方證으로 분류할 수 있었다. 心陽不足, 胃陽不足과 水停中焦, 脾腎陽虛와 水氣凌心, 肝膽氣鬱, 三焦不利 및 水氣內停, 痰飮滯留中焦, 中焦虛寒과 氣血陰陽俱虛, 氣血陰陽虧虛, 肝胃氣滯, 中焦虛寒와 水氣凌心, 痰飮停聚, 心陽虛와 腎水乘心, 水停下焦 및 膀胱氣化不利 등이다.

悸 관련 처방에서 眞武湯, 小柴胡湯은 다양한 계통에 응용되었고, 四逆散은 肝膽系統, 消化系統을 중심으로, 五苓散은 呼吸系統, 心血管系統, 消化系統, 腎系統, 內分泌系統을 중심으로 응용 범위가 넓었다. 桂枝甘草湯은 심혈관질환에, 小建中湯은 소화기질환을 중심으로, 小半夏加茯苓湯은 소화기질환 중 구토에, 理中丸은 消化系統을 중심으로 응용되었다. 그리고 炙甘草湯은 현재에도 悸 관련 질환 특히 心血管系統에 가장 많이 적용되었다. 그러나 茯苓甘草湯, 茯苓桂枝甘草大棗湯, 半夏麻黃丸은 응용사례가 적어 경향성을 찾기는 어려웠다.

현대 임상례를 통해 주로 부정맥과 관련된 질병과 그 외에 고혈압, 심장신 경증, 불면, 갱년기증후군 등에서 조사되었는데 悸와 직접적으로 관련된 질환은 심박동 변이를 수반하는 심혈관 질환이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임상례에 대한 전반적인 조사와 고찰에 그 의의를 두었고, 한의학의 증상명과 현대 질환 범위의 연관성에 대한 이해와 임상 적용이 용이한 한의 辨證 類型을 상세화하기 위한 기초 연구이며, 한의 변증명과 현대 질병명과의 과학적인 상관성에 대한 구체적인 연구는 향후 과제가 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