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목차

논문개요 9

I. 서론 13

1.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13

2. 연구문제 16

II. 이론적 배경 17

1. 일반 아동의 읽기 능력 17

1) 읽기 발달 17

2) 읽기 유창성 19

3) 읽기 이해 21

4) 읽기 유창성과 읽기이해 23

2. 다문화가정 아동의 언어 및 읽기 특성 25

1) 언어 특성 25

2) 읽기 특성 28

III. 연구 방법 31

1. 연구대상 31

1) 다문화가정 아동 31

2) 비다문화 가정 아동 31

2. 연구 도구 32

1) 문단글 읽기 유창성 검사 33

2) 읽기이해 검사 34

3. 연구 절차 35

1) 문단글 읽기 유창성 검사 35

2) 읽기이해 검사 35

4. 자료 분석 36

1) 문단글 읽기 유창성 검사 36

2) 읽기이해 검사 38

5. 자료의 통계 처리 40

6. 신뢰도 40

IV. 결과 41

1. 구문 난이도와 문화 집단에 따른 읽기 유창성 비교 41

1) 분당 정확하게 읽은 음절수 41

2) 읽기 오류 유형 빈도 및 비율 47

2. 구문 난이도와 문화 집단에 따른 읽기이해 능력 비교 57

V. 결론 및 논의 59

1. 구문 난이도와 문화 집단에 따른 읽기 유창성 비교 59

2. 구문 난이도와 문화 집단에 따른 읽기이해 능력 비교 64

참고문헌 66

ABSTRACT 76

부록 80

〈부록-1〉 다문화가정 아동의 읽기 유창성 문단글 구문 난이도 '상' - 선물 80

〈부록-2〉 비다문화가정 아동의 읽기 유창성 문단글 구문 난이도 '하' - 선물 81

〈부록-3〉 비다문화가정 아동의 읽기 유창성 문단글 구문 난이도 '상' - 이가 썩었어요 82

〈부록-4〉 다문화가정 아동의 읽기 유창성 문단글 구문 난이도 '하' - 이가 썩었어요 83

표목차

〈표-1〉 연구 대상 정보 32

〈표-2〉 문단글 특성 33

〈표-3〉 읽기 유창성 오류 유형 분석 기준 37

〈표-4〉 읽기이해 질문 유형 및 채점 39

〈표-5〉 구문 난이도와 문화 집단에 따른 읽기 유창성 점수의 기술통계 결과 41

〈표-6〉 구문 난이도와 문화 집단에 따른 읽기 시간(초)에 관한 이원분산 반복 측정 결과 42

〈표-7〉 구문 난이도와 문화 집단에 따른 정확하게 읽은 음절수에 관한 이원분산분석 결과 44

〈표-8〉 구문 난이도와 문화 집단에 따른 분당 정확하게 읽은 음절수에 관한 이원분산분석 결과 45

〈표-9〉 구문 난이도와 문화 집단에 따른 읽기 오류 유형 빈도의 기술통계 결과 47

〈표-10〉 구문 난이도와 문화 집단에 따른 총 읽기 오류 유형 수 이원분산분석 결과 49

〈표-11〉 구문 난이도와 문화 집단에 따른 대치 오류 유형 빈도의 이원분산석 결과 50

〈표-12〉 구문 난이도와 문화 집단에 따른 반복 오류 유형 빈도의 이원분산분석 결과 51

〈표-13〉 구문 난이도와 문화 집단에 따른 생략 오류 유형 빈도의 이원분산분석 결과 52

〈표-14〉 구문 난이도와 문화 집단에 따른 첨가 오류 유형 빈도의 이원분산분석 결과 53

〈표-15〉 구문 난이도와 문화 집단에 따른 수정 오류 유형 빈도의 이원분산분석 결과 54

〈표-16〉 구문 난이도와 문화 집단에 따른 읽기 오류 유형별 비율(%) 분석 결과 55

〈표-17〉 구문 난이도와 문화 집단에 따른 읽기이해 능력 기술통계 결과 57

〈표-18〉 구문 난이도와 문화 집단에 따른 읽기이해 점수에 대한 이원분산분석 결과 58

그림목차

〈그림-1〉 구문난이도와 문화 집단에 따른 분당 정확하게 읽은 음절수 46

〈그림-2〉 구문 난이도와 문화 집단에 따른 읽기 오류 유형별 비율 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