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요약

목차

I. 서론 9

II. 재료 및 방법 12

1. 재료의 채집 12

2. DNA 분석 13

2.1. DNA 추출 13

2.2. 중합효소연쇄반응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13

2.3. PCR 산물의 정제 14

2.4. 염기서열의 자동분석 14

2.5. 염기서열의 정렬 및 자료의 분석 15

III. 결과 24

1. 형태 관찰 24

2. cox1와 cob의 염기서열의 정렬 25

3. Haplotype network 25

4. 유전적 다양성 비교 28

IV. 토의 38

1. 막우뭇가사리의 분포 38

2. 막우뭇가사리의 종내 변이와 집단 구조 39

3. 다른 홍조류와 막우뭇가사리의 유전적 다양성 비교 41

V. 결론 46

VI. 참고문헌 48

ABSTRACT 54

표목차

Table 1. Collection information, voucher number, GenBank accession number, and haplotypes for... 16

Table 2. Oligonucleotide primers used for amplification of cox1 and cob regions (R=A or G;... 21

Table 3. Reaction mixture for PCR amplification 22

Table 4. Thermal cycling condition for polymerase chain reaction 23

Table 5. Genetic information of the cox1, cob, and cox1 + cob 32

Table 6. Diversity measures of cox1, cob, and cox1 + cob datasets for Gelidium vagum. Abbreviations: n, Number of individuals; S, Number... 36

Table 7. Diversity measures of cox1, cob, and cox1 + cob datasets for Gelidium vagum in Korea and Russia. Abbreviations: n, Number of... 37

Table 8. Genetic diversity of red algae originated from Asia within Korea.... 45

그림목차

Fig. 1. Habit of Gelidium vagum in different locations 30

Fig. 2. Habitat of Gelidium vagum in difference locations 31

Fig. 3. Statistical parsimony network for 17 cox1 haplotypes for Gelidium vagum,... 33

Fig. 4. Statistical parsimony network for 11 cob haplotypes for Gelidium vagum,... 34

Fig. 5. Minimum spanning network for 28 combined cox1 and cob haplotypes for... 35

Fig. 6. Geographical distribution of combined cox1 + cob haplotypes in Korea 43

Fig. 7. Geographical distribution of combined cox1 and cob haplotypes in the... 44

초록보기

홍조류 막우뭇가사리(Gelidium vagum Okamura)는 우리나라의 서해안과 남해안의 조간대나 조하대에서 흔히 분포하고 있으며, 북아메리카와 유럽에서 보고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첫째, 한국산 막우뭇가사리의 미토콘드리아 cox1 (cytochrome c oxidase subunit I)과 cob (cytochrome b)의 유전적 다양성을 분석하는 것이다. 둘째, 한국산 막우뭇가사리의 haplotype 분포 패턴을 알아보는 것이다. 셋째, 막우뭇가사리의 invasive haplotype을 찾는 것이다. cox1 분석을 통한 막우뭇가사리의 haplotype은 17개로 나타났고, cob 분석을 통한 막우뭇가사리의 haplotype은 11개로 나타났다. cox1과 cob의 유합분석 결과에서 28개의 haplotype이 나타났다. 한국의 서해안 21개, 남해안 4개, 동해안 3개, 제주 1개, 중국 1개, 러시아 1개, 네덜란드 1개, 미국 1개의 haplotype이 나타났다. cox1의 haplotype network에서 haplotype CX15에서 한국, 미국, 네덜란드 집단이 공유하는 haplotype이 나타났다. Haplotype 다양성은 cox1 (0.809)이 cob (0.493) 보다 높았고, nucleotide 다양성은 cob (0.134)가 cox1 (0.109)보다 높았다. 유합분석 (cox1 + cob)의 결과 haplotype 다양성은 0.885±0.023, nucleotide 다양성은 0.118±0.009로 나타났다. Haplotype 다양성은 cox1에서 만리포 집단이 가장 높았고 (0.844), cob에서는 남해 집단이 가장 높았다 (0.711). Nucleotide 다양성 또한 cox1에서 만리포 집단이 가장 높았고 (0.173), cob에서는 남해 집단이 가장 높았다 (0.140). 유전적 다양성 패턴을 볼 때, cox1과 cob를 함께 사용함으로써 보다 정확한 정보를 제공하였다. 우리의 결과는 막우뭇가사리의 기원 중심지 집단의 높은 유전적 다양성을 통해 도입종의 전형적인 유전적 다양성 패턴을 보여주고 있다. 기원 중심지의 재료들을 추가 분석한다면 donor population을 찾을 수 있을 것이라 추정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