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국문초록

목차

I. 서론 9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9

2. 연구의 내용과 방법 9

3. 연구의 제한점 10

II. 이론적 배경 11

1. 유아기 아동의 음악 발달 특징 11

2. 고든의 음악학습이론 13

1) 오디에이션 13

2) 연계 학습 이론 15

3. 선행 연구의 고찰 21

III. 피아노 학습 지도안 개발 24

1. 음악학습이론의 적용 24

1) 학습 단계 활동 24

2) 피아노 연주 학습 활동 28

2. 피아노 학습 지도안 29

1) 로케트 30

2) 얼음낚시 33

3) Sugarfoot Rag 36

4) chim chim cher-ee 42

5) Singin' in the Rain 46

IV. 요약 및 제언 49

1. 요약 49

2. 제언 50

참고문헌 51

Abstract 53

표목차

〈표 1〉 모방과 오디에이션의 차이점 15

〈표 2〉 고든의 음악 기능 학습단계 16

악보목차

〈악보 1〉 로케트 32

〈악보 2〉 얼음낚시 35

〈악보 3〉 Sugarfoot Rag 41

〈악보 4〉 Chim Chim Cher-ee 45

〈악보 5〉 Singin' in the Rain 48

초록보기

 국내에서 대개의 기악 학습은 악기에 대한 소개를 시작으로 구조를 살피고 소리 내는 법과 운지법을 배운다. 유아들이 악기를 배우는데 있어 특히, 피아노는 누구나 쉽게 소리 낼 수 있고 손가락을 사용하므로 소 근육 발달과 두뇌 계발에 좋기 때문에 처음 배우는 악기로 종종 선택되지만 연주하기는 결코 쉽지 않다. 그 이유 중 하나는 열 손가락을 다 사용할 수 있는 화성적인 악기로 악보 보는 것이 복잡하고 까다로울 수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교사들은 악보 읽기를 쉽게 하기 위해 수업의 많은 시간을 계이름과 음표 학습에 할애 한다.

이렇듯 피아노 학습은 악보를 기초로 한 이론중심의 수업이 많다 보니 유아들은 악보읽기에 집중하느라 자신이 연주하는 소리를 듣기보다 악보에 맞춰 틀리지 않고 연주하는 것을 목표로 하곤 한다. 그러나 이러한 현상은 음악의 본질인 "듣고 즐기기"를 왜곡한다고 할 수 있다.

인간이 태어나서 교육을 통해 처음 학습하는 것은 언어습득이라고 할 수 있다. 말을 배우는 과정의 첫 걸음은 듣는 것으로부터 출발한다. 엄마에게 듣는 말을 어느 순간 따라 하는 것을 시작으로 의미를 담은 말을 하고 글자를 배워 글씨를 읽게 되며 어느덧 자신의 생각을 글로 써서 표현하는 단계에 이르게 된다.

이와 같이 음악 학습도 어린아이가 말을 배우는 과정과 같이 이루어져야 한다고 미국의 음악 교육 학자 에드윈 고든(Edwin E. Gordon, 1928~)은 주장했다. 언어를 배우는 처음이 글자 습득이 아니 듯 음악도 많은 청각적 자극으로부터 시작하여야 한다는 것이다. 그래서 고든은 배우는 과정을 언어습득의 과정처럼 오디에이션에 기초한 일정한 순서와 방법에 따르면 음악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는 음악 학습 이론을 주장하였다. 오디에이션(Audiation)이란, 실제로 들리지 않는 음악을 상상해서 마음속으로 듣고 이해하는 능력을 말한다.

아이가 처음 말을 배울 때는 단순한 모방으로 시작하지만 자라면서 자신의 생각을 표현할 수 있게 되는데 이때는 단순모방을 넘어 의미를 담고 말을 하게 된다. 음악도 마찬가지로 처음엔 모방으로 시작하지만 점차 음정과 리듬에 맞춰 노래 부를 수 있게 되는데 이때 오디에이션 한다고 말할 수 있다.

그 동안 고든의 이론을 적용한 연구가 국내에서도 많이 이루어졌는데 크게 고든이 개발한 검사를 적용한 학습효과의 유무에 대한 것과 그의 음악 학습 이론에 따른 수업모형을 제시한 연구로 분류된다. 본 연구자는 후자의 연구 방법과 같이 음악 학습 이론을 적용한 학습 지도안을 구안하였는데 기악 학습인 피아노를 위한 지도 방안 개발을 해보았다. 피아노 학습 지도안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연주하기 전에 음정 패턴과 리듬 패턴을 분리한 학습이 이루어진다.

둘째, 교사의 육성에 의한 청각적 접근으로부터 시작된다.

셋째, 고든의 음악 학습 이론 단계들을 순차적으로 거칠 수 있도록 했다.

이와 같은 특징을 바탕으로 한 피아노 학습 지도안을 부분적으로 적용을 했을 때 연주곡을 음정과 리듬에 맞게 노래할 수 있는 상태에서 시작하므로 집중할 수 있는 시간이 한정적인 유아의 관심을 비교적 길게 유지 시킬 수 있었고 악보를 읽고 연주할 때 자신이 기억하는 리듬과 소리를 내고자 했다. 또한 암보로 연주도중 잊어버리거나 틀리더라도 오랜 시간 걸리지 않고 다음 악구를 찾아가거나 고쳐서 칠 수 있었다.

이상의 효과를 보며 연령에 맞는 세분화, 체계화된 교재의 개발과 다양한 수업 방법의 연구의 필요성을 느꼈다. 또한 교사가 선창을 하거나 연주를 하는 경우가 많이 있으므로 교사에게 연주곡의 리듬, 음정, 악상 등을 정확하게 표현할 수 있는 능력이 요구되었다. 그리고 음악적 경험이 교사와 함께하는 시간에 국한되지 않고 가정과 연계되어 음악 활동이 일상에서 자연스러운 놀이가 되도록 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