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국문초록

목차

I. 서론 9

1. 연구의 목적과 의의 9

2. 연구의 방법 및 범위 10

II. 이론적 배경 11

1. 모차르트의 생애와 음악 11

2. 모차르트 〈바이올린 협주곡 5번〉 제 I악장의 개괄적 분석 14

III. 모차르트 〈바이올린 협주곡 5번〉 제 I악장의 연주에 관한 연구 17

1. 표기가 서로 다른 에디션들의 비교 17

2. 음악적 표현에 관한 제안 49

IV. 결론 57

참고문헌 59

Abstract 61

표목차

〈표 1〉 모차르트 〈바이올린 협주곡 5번〉 제 I악장의 형식 및 구조 16

〈표 2〉 갈라미안의 에디션에서 테누토 표기를 해석 할 때 유의해야할 점 19

〈표 3〉 마디54~58의 다이내믹 비교 24

〈표 4〉 마디91~97의 다이내믹 비교 35

〈표 5〉 마디108~112의 다이내믹 비교 37

〈표 6〉 마디118~125의 다이내믹 비교 41

〈표 7〉 마디133~139의 다이내믹 비교 45

악보목차

〈악보 1〉 마디40~42의 에디션 비교 18

〈악보 2〉 마디43~45의 에디션 비교 20

〈악보 3〉 마디46~53의 에디션 비교 22

〈악보 4〉 마디54~60의 에디션 비교 25

〈악보 5〉 마디62~69의 에디션 비교 27

〈악보 6〉 마디70~72의 에디션 비교 28

〈악보 7〉 마디74~80의 에디션 비교 30

〈악보 8〉 마디81~88의 에디션 비교 32

〈악보 9〉 마디89~97의 에디션 비교 35

〈악보 10〉 마디98~112의 에디션 비교 38

〈악보 11〉 마디118~125의 에디션 비교 42

〈악보 12〉 마디127~134의 에디션 비교 44

〈악보 13〉 마디135~139의 에디션 비교 46

〈악보 14〉 마디142~144의 에디션 비교 47

〈악보 15〉 마디40~45의 음악적 표현 50

〈악보 16〉 마디46~53의 음악적 표현 50

〈악보 17〉 마디54~60의 음악적 표현 51

〈악보 18〉 마디62~72의 음악적 표현 52

〈악보 19〉 마디74~80의 음악적 표현 52

〈악보 20〉 마디81~97의 음악적 표현 53

〈악보 21〉 마디98~112의 음악적 표현 54

〈악보 22〉 마디118~134의 음악적 표현 55

〈악보 23〉 마디135~139의 음악적 표현 56

〈악보 24〉 마디142~144의 음악적 표현 56

초록보기

 모차르트는 35세의 짧은 생애동안 다양한 장르의 600여 작품을 작곡하였다. 그 의 작품 중에는 '잘츠부르크 협주곡'이라고 불리우는 5개의 바이올린 협주곡이 있는데, 그 중 제일 마지막에 작곡된 〈바이올린 협주곡 5번〉은 완성도가 가장 높은 작품으로 평가받는다. 이 곡은 3악장으로 이루어져있는데, 제 I악장은 협주적 소나타 형식으로 되어있으며, 제 1주제의 제시 전에 독주 바이올린으로 시작되는 도입부가 있는 점이 특징이다.

이 연구에서는 모차르트 〈바이올린 협주곡 5번〉 제 I악장의 원본과 표기가 서로 다른 요아힘(Joseph Joachim, 1831~1907), 갈라미안(Ivan Galamian, 1903~1981), 로스탈(Max Rostal, 1905~1991)의 에디션을 운궁법, 운지법, 다이내믹과 아티큘레이션등으로 나누어 비교·서술하였는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세가지의 에디션 중, 갈라미안과 로스탈의 에디션은 전체적으로 원본과 유사하고, 요아힘의 에디션은 원본과 상당 부분이 다른데, 이는 그들이 활동했던 시기의 시대적 배경과 밀접한 관계를 갖는다.

19세기에는 과거의 작품을 작곡당시의 연주스타일에 따라 연주하기 보다는 개성있는 표현을 중시하는 낭만적인 방식으로 연주하는 것이 보편적이었기 때문에, 19세기의 음악가인 요아힘은 원본과 달리 프레이즈의 유연한 흐름을 중시하여 긴 프레이즈 안에서 이를 낭만적으로 처리하는 운궁법을 주로 제시하였으며, 다이내믹을 거의 제시하지 않은 원본보다 다이내믹을 더 구체적으로 제시함으로써 음색의 다채로운 변화를 낭만적으로 표현하고자 하였다.

한편, 20세기에 들어서면서 작곡당시의 연주스타일과 낭만적인 표현을 결합한 연주방식으로 발전했기 때문에, 20세기의 음악가인 갈라미안과 로스탈은 원본에 충실한 운궁법과, 셈여림과 음색의 변화 등 낭만적인 표현에 용이한 운지법을 제시하였다. 특히 로스탈의 에디션은, 세가지의 에디션들 중에서 가장 구체적인 다이내믹과 아티큘레이션을 제시함으로써 자신이 표현하고자 하는 바를 분명하게 보여주었다.

위의 세가지의 에디션들은 이와 같이 표기가 서로 다른 부분들이 있지만, 동형진행이 계속되는 부분에서는 앞의 음형과 뒤의 음형이 구분될 수 있도록 대조적으로 표현하는 다이내믹을 제시하는 공통점이 있다.

연주자는 한가지 에디션의 악보만 보고 연주하기 보다는, 표기가 서로 다른 여러 에디션을 비교하여 각자의 개성과 기호에 따라 여러 에디션을 부분적으로 선택하는 것이 보다 나은 연주에 도움이 된다.

이와 더불어 이 연구는, 모차르트 〈바이올린 협주곡 5번〉 제 I악장의 음악적 표현에 관한 의견을 제안함으로써, 이곡의 보다 나은 연주에 도움이 되도록 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