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목차

Abstract 10

I. 서론 14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14

2. 연구문제 20

II. 이론적 배경 21

1. 사회복지사와 소진 21

(1) 사회복지사의 소진실태 21

(2) 소진의 개념 25

2. 사회복지사 소진 관련 선행연구 31

3. 사회복지사의 소진에 관련된 위험요인 37

(1) 조직요인 37

(2) 직무요인 45

(3) 클라이언트 요인 53

4. 사회복지사의 소진에 관련된 보호요인 57

(1) 개인요인 57

(2) 가족요인 62

(3) 조직요인 63

(4) 직무요인 71

III. 연구설계 78

1. 연구모형 78

2. 메타분석 79

(1) 메타분석의 개념 79

(2) 메타분석의 절차 79

3. 연구대상 선정 및 수집 84

4. 자료의 코딩 91

5. 자료의 분석방법 91

(1) 자료의 전산입력 91

(2) 효과크기의 산출 및 해석 91

(3) 이질성, 집단 간 분석 및 메타회귀분석 92

(4) 평가자 간 신뢰도 93

(5) 고정효과모형과 무선효과모형의 논의 94

(6) 다중결과분석(Multiple Outcomes Within a Study) 95

(7) 출판편의(Publication bias) 95

(8) 분석방법 97

IV. 연구결과 98

1. 위험요인군의 효과크기 98

(1) 소진 통합에 미치는 위험요인군의 효과크기 98

(2) 정서적 탈진에 미치는 위힘요인군의 효과크기 101

(3) 비인간화에 미치는 위험요인군의 효과크기 103

(4) 개인적 성취감 결여에 미치는 위험요인군의 효과크기 105

2. 보호요인군의 효과크기 108

(1) 소진 통합에 미치는 보호요인군의 효과크기 108

(2) 정서적 탈진에 미치는 보호요인군의 효과크기 111

(3) 비인간화에 미치는 보호요인군의 효과크기 113

(4) 개인적 성취감 결여에 미치는 보호요인군의 효과크기 115

3. 조절변인에 따른 소진의 효과크기 118

(1) 조사년도의 조절효과 118

(2) 여성 비율의 조절효과 127

(3) 기혼자 비율의 조절효과 129

(4) 현 직장 근무경력에 따른 소진의 효과크기 131

(5) 직무 유형의 조절효과 133

4. 분석결과 요약 137

(1) 위험요인의 효과크기 137

(2) 보호요인의 효과크기 139

(3) 조절효과 141

V. 논의 및 결론 145

1. 논의 145

2. 결론 및 제언 159

(1) 결론 159

(2) 제언 162

참고문헌 164

부록 186

부록 1. 코딩메뉴얼 186

부록 2. 분석대상 학회지 논문 187

부록 3. 분석대상 석·박사 논문 188

표목차

〈표 1〉 출판시기별 독립변수의 표집 수 88

〈표 2〉 출판시기별 종속변수의 표집 수 89

〈표 3〉 연구대상으로 선정된 독립변인 90

〈표 4〉 연구대상으로 선정된 종속변인 90

〈표 5〉 위험요인군이 소진 통합에 미치는 효과크기 100

〈표 6〉 위험요인군이 정서적 탈진에 미치는 효과크기 102

〈표 7〉 위험요인군이 비인간화에 미치는 효과크기 104

〈표 8〉 위험요인군이 개인적 성취감 결여에 미치는 효과크기 107

〈표 9〉 보호요인군이 소진 통합에 미치는 효과크기 110

〈표 10〉 보호요인군이 정서적 탈진에 미치는 효과크기 112

〈표 11〉 보호요인군이 비인간화에 미치는 효과크기 114

〈표 12〉 보호요인군이 개인적 성취감 결여에 미치는 효과크기 117

〈표 13〉 조사년도에 따른 민간부문 위험요인과 소진 하위영역 120

〈표 14〉 조사년도에 따른 공공부문 위험요인과 소진의 하위영역 122

〈표 15〉 조사년도에 따른 민간부문 보호요인과 소진 하위영역 124

〈표 16〉 조사년도에 따른 공공부문 보호요인과 소진 하위영역 126

〈표 17〉 여성 비율에 따른 위험요인과 소진 하위영역의 효과크기 127

〈표 18〉 여성 비율에 따른 보호요인과 소진 하위영역의 효과크기 128

〈표 19〉 기혼자 비율에 따른 위험요인과 소진 하위영역의 효과크기 129

〈표 20〉 기혼자 비율에 따른 보호요인과 소진 하위영역의 효과크기 130

〈표 21〉 현 직장 근무경력에 따른 위험요인과 소진 하위영역의 효과크기 131

〈표 22〉 현 직장 근무경력에 따른 보호요인과 소진 하위영역의 효과크기 132

〈표 23〉 직무 유형에 따른 위험요인과 소진 하위영역의 효과크기 134

〈표 24〉 직무 유형에 따른 보호요인과 소진 하위영역의 효과크기 136

〈표 25〉 위험요인군이 소진에 미치는 효과크기 138

〈표 26〉 보호요인군이 소진에 미치는 효과크기 140

〈표 27〉 조사년도의 조절효과 142

〈표 28〉 여성 비율, 기혼자 비율, 현 직장 근무경력의 조절효과 143

〈표 29〉 직무 유형의 조절효과 144

그림목차

〈그림 1〉 연구모형 78

〈그림 2〉 메타분석의 절차 80

〈그림 3〉 분석대상 논문 선별 과정 86

〈그림 4〉 출판시기에 따른 연구 수 분포(79편) 87

〈그림 5〉 연구대상의 효과크기 분포 96

수식목차

〈수식 1〉 Fisher's Z 83

〈수식 2〉 r 83

〈수식 3〉 Q 공식 92

〈수식 4〉 I² 공식 93

〈수식 5〉 Rosenthal's Fail-safe N 공식 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