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목차

Abstract 6

I. 서론 1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1

2. 연구문제 19

II. 이론적 배경 20

1. 농촌청소년의 학업성취와 삶의 만족도 20

(1) 학업성취와 농촌청소년 20

(2) 삶의 만족도와 농촌청소년 23

2. 자기효능감과 학업성취 및 삶의 만족도 27

(1) 자기효능감 27

(2) 자기효능감과 학업성취 29

(3) 자기효능감과 삶의 만족도 30

3. 가족 사회자본과 학업성취 및 삶의 만족도 31

(1) 가족 사회자본 31

(2) 가족 사회자본과 학업성취 36

(3) 가족 사회자본과 삶의 만족도 38

4. 사회관계와 학업성취 및 삶의 만족도 40

(1) 사회관계 40

(2) 사회관계와 학업성취 43

(3) 사회관계와 삶의 만족도 45

5. 문화자본과 학업성취 및 삶의 만족도 46

(1) 문화자본 46

(2) 문화자본과 학업성취 51

(3) 문화자본과 삶의 만족도 52

III. 연구방법 54

1. 연구대상 54

2. 측정도구 56

(1) 일반적 배경 56

(2) 자기효능감 57

(3) 가족 사회자본 57

(4) 사회관계 58

(5) 문화자본 59

(6) 학업성취 60

(7) 삶의 만족도 60

3. 자료 분석 62

IV. 결과 63

1. 지역규모에 따른 농촌청소년의 자기효능감, 가족사회자본과 사회관계, 문화자본, 학업성취 및 삶의 만족도 차이 68

2. 농촌청소년의 자기효능감, 가족사회자본과 사회관계 및 문화자본이 학업성취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70

(1) 주요 변수들의 상관관계 70

(2) 농촌청소년의 자기효능감, 가족 사회자본과 사회관계 및 문화자본이 학업성취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75

3. 지역규모에 따른 농촌청소년의 자기효능감, 가족사회자본과 사회관계 및 문화자본이 학업성취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83

(1) 지역수준에 따른 농촌청소년의 자기효능감, 가족사회자본과 사회관계 및 문화자본이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84

(2) 지역수준에 따른 농촌청소년의 자기효능감, 가족사회자본과 사회관계 및 문화자본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95

V. 논의 및 결론 106

1. 요약 및 논의 106

(1) 요약 106

(2) 논의 110

2. 결론 및 제언 121

(1) 결론 121

(2) 제언 및 연구의 한계 122

참고문헌 131

부록 157

〈부록 1〉 설문지 157

〈부록 2〉 지역(도)별 주요 변수 현황 166

표목차

〈표 1〉 가족 사회자본의 정의와 요인 35

〈표 2〉 문화자본의 정의와 측정 내용 48

〈표 3〉 표본 현황 55

〈표 4〉 측정도구와 신뢰도 61

〈표 5〉 지역 규모에 따른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배경 66

〈표 6〉 지역 규모에 따른 주요 변인들 차이 69

〈표 7〉 전체농촌지역에서 변인들 간의 상관관계(대규모읍/읍/면) 72

〈표 8〉 지역규모에 따른 변인들 간의 상관관계(대규모읍/읍/면) 73

〈표 9〉 주요 변인들이 전체 농촌청소년의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79

〈표 10〉 주요 변인들이 전체 농촌청소년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82

〈표 11〉 주요 변인들이 대규모읍지역 청소년의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86

〈표 12〉 주요 변인들이 읍지역 청소년의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89

〈표 13〉 주요 변인들이 면지역 청소년의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92

〈표 14〉 주요 변인들이 대규모읍지역 청소년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97

〈표 15〉 주요 변인들이 읍지역 청소년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100

〈표 16〉 주요 변인들이 면지역 청소년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1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