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목차
국문초록 7
ABSTRACT 9
Ⅰ. 서론 11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11
2. 연구 문제 15
3. 용어 정의 15
1) 여대생 15
2) 우울 16
3) DAS(Draw-A-Story) 16
Ⅱ. 여대생의 우울성향에 따른 DAS검사 반응 17
1. 대학생의 심리·사회적 특성 17
2. 여대생의 우울과 DAS검사 선행연구 19
Ⅲ. 연구방법 25
1. 연구대상 25
2. 연구도구 27
1) Beck의 우울 척도 (BDI : Beck Depression Inventory) 27
2) DAS검사 (DAS : Draw-a-Story) 28
3. 연구절차 30
4. 자료 분석 31
Ⅳ. 연구결과 32
1. 여대생의 우울성향에 따른 DAS 비교 32
1) 여대생의 우울성향 32
2) 우울성향에 따른 DAS 비교 33
3) 우울성향에 따른 DAS그림과 내용 33
2. 학년에 따른 우울정도 비교 38
1) 학년 간 우울정도 비교 38
2) 학년 간 DAS 점수 비교 38
3. 우울성향에 따른 DAS 그림자극 선택 비율 40
Ⅴ. 논의 및 결론 43
1. 논의 및 결론 43
2. 제언 및 제한점 46
참고문헌 47
부록 53
〈부록 1〉 동의서 54
〈부록 2〉 인구통계학적 특성 설문지 55
〈부록 3〉 DAS검사(DAS : Draw-a-Story) 및 그림자극 56
〈부록 4〉 Beck의 우울척도(BDI : Beck Depression Inventory) 59
〈부록 5〉 DAS점수에 해당하는 그림사례 62
〈표 1〉 여대생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26
〈표 2〉 우울 척도검사 규준표 27
〈표 3〉 DAS 점수 평가표 29
〈표 4〉 연구절차 30
〈표 5〉 여대생의 우울성향 32
〈표 6〉 우울, 비 우울집단에 따른 DAS 검사에 대한 차이검증 33
〈표 7〉 학년에 따른 BDI 점수 차이에 대한 일원배치 분산분석 38
〈표 8〉 학년에 따른 DAS 점수 차이에 대한 일원배치 분산분석 39
〈표 9〉 우울성향에 따른 DAS 그림자극 선택 비율 40
〈그림 1〉 칼에 맞아 날뛰는 아기공룡 34
〈그림 2〉 화산폭발로 인해 멸종한 공룡 35
〈그림 3〉 꽃박람회에서 가족과 사진 찍기 36
〈그림 4〉 행복한 여자와 남자 37
〈그림 5〉 우울성향: '낙하산'-'화산' 42
〈그림 6〉 비 우울성향: '낙하산'-'성' 42
본 연구는 여대생을 대상으로 DAS검사를 실시하여 우울성향에 따라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진행은 2013년 10월 21일부터 2014년 3월 10일까지 연구 대상자 선정 및 준비, 검사 실시, 자료 분석의 순으로 이루어졌다.
본 연구는 전라남도 M시의 M대학교에 재학 중인 여대생 167명을 대상으로 우울 및 DAS검사를 실시하였으며, 총 167명 중 학교행사로 참여하지 못했거나 연구에 동의하지 않은 5명을 배제한 159부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도구로는 Beck(1978)에 의해 개발된 것으로 한홍무 등에 의해 1986년 한국판 표준화 연구가 이루어진 우울척도(BDI)와 Silver의 DAS검사를 사용하였으며 연구의 자료 분석 방법은 SPSS 21.0 Program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T-test, 일원배치 분산분석을 실시하여 통계적 분석결과를 제시하였다. 또한 DAS검사의 신뢰성을 위하여 연구자 외 예술치료전문가 1명이 함께 채점하여 질적인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여대생의 우울성향에 따라 DAS검사의 결과가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여대생의 학년에 따른 우울정도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셋째. 여대생의 학년에 따른 DAS점수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넷째, 우울성향에 따른 DAS 그림자극 선택 비율에서는 우울집단과 비 우울집단 모두 '낙하산'그림자극을 가장 많이 선택하였으며 우울집단과 비 우울집단 간의 선택비율은 큰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하지만 동일한 자극유형을 선택하더라도 그 내용은 우울성향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본 연구의 결과에 따라 여대생들의 우울성향에 따라 DAS검사의 반응 특성이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DAS검사가 여대생의 우울성향을 파악하는데 유용한 진단도구로서의 활용가능성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