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전체메뉴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國文要旨

목차

第1章 序論 12

第1節 硏究의 背景과 目的 12

1. 硏究의 背景 12

2. 硏究의 目的 16

第2節 硏究의 範圍와 方法 19

1. 硏究의 範圍 19

2. 硏究의 方法 22

第2章 理論的 考察 24

第1節 親環境의 槪念과 親環境 建築의 事例 24

1. 親環境의 槪念 24

2. 親環境 建築의 事例 25

第2節 綠色建築認證制 28

1. 綠色建築認證制의 槪念 28

2. 綠色建築認證制의 特性 29

3. 綠色建築認證制의 海外 動向 40

第3節 先行硏究 42

1. 綠色建築認證 住居 관련 先行硏究 42

2. 住宅特性 및 價格 관련 先行硏究 44

第3章 分析模型과 資料 및 變數 58

第1節 分析模型 58

1. 適用函數 58

2. 分析模型 61

第2節 資料의 蒐集 및 變數選定 65

1. 資料의蒐集 65

2. 變數選定 74

第4章 實證分析 結果 76

第1節 技術統計量 및 相關係數 76

1. 技術統計量 76

2. 相關係數 78

3. 多重共線性의 檢證 79

4. 殘差分析 81

第2節 回歸分析 結果 83

1. 線形回歸分析 83

2. 準로그回歸分析 86

3. 二重로그回歸分析 88

第5章 結論 90

第1節 結論 90

第2節 向後 硏究課題 94

參考文獻 95

附錄 98

1. 녹색건축인증제(G-SEED) 공동주택 심사기준 및 배점 99

2. 다중회귀분석 결과(7변수) 106

3. 독립변수의 산점도 110

Abstract 113

〈표2-1〉 녹색건축인증제의 7개 전문분야에 대한 평가내용 34

〈표2-2〉 전국 년도별 녹색건축인증 실적 현황 35

〈표2-3〉 전국 용도별 녹색건축인증 실적 현황 36

〈표2-4〉 전국 공동주택 녹색건축인증 실적 현황 36

〈표2-5〉 선행연구에서 사용한 변수 50

〈표3-1〉 조사대상 아파트단지-1 (녹색건축인증단지) 68

〈표3-2〉 조사대상 아파트단지-2 (녹색건축인증단지) 69

〈표3-3〉 조사대상 아파트단지-3 (비인증단지) 70

〈표3-4〉 조사대상 아파트단지-4 (비인증단지) 71

〈표3-5〉 녹색건축인증 여부별 아파트 매매가격 평균값 74

〈표3-6〉 변수 선정 75

〈표4-1〉 주요변수들의 기술통계량 76

〈표4-2〉 상관계수 분석 78

〈표4-3〉 공선성 진단 80

〈표4-4〉 선형회귀분석 결과 85

〈표4-5〉 준로그회귀분석 결과 87

〈표4-6〉 이중로그회귀분석 결과 88

[그림1-1] 연구 과정 23

[그림3-1] 조사대상 아파트 단지 분포도 66

[그림4-1] 녹색건축인증여부 및 입지별 아파트 가격 평균값 77

[그림4-2] 회귀 표준화 잔차의 정규확률도(M²당 매매가격) 82

[그림4-3] 종속변수의 산점도(종속변수 : 매매가격) 83

챗봇 챗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