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0
학위논문 1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0)
일반도서 (0)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1)
학위논문 (1)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논문명/저자명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중급 읽기 능력 평가 구성 방안 연구 / 董洋 인기도
발행사항
경산 : 영남대학교 대학원, 2014.8
청구기호
TD 411.07 -14-606
형태사항
vii, 186 p. ; 26 cm
자료실
전자자료
제어번호
KDMT1201458921
주기사항
학위논문(박사) -- 영남대학교 대학원, 외국어로서의한국어교육학과 외국어로서의한국어교육전공, 2014.8. 지도교수: 이혁화
원문
미리보기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목차

I. 서론 11

1.1. 연구 목적과 의의 11

1.2. 연구 내용과 방법 16

1.3. 선행 연구 검토 19

1.3.1. 한국어 능력 평가에 관한 선행연구 19

1.3.2. 한국어능력시험(TOPIK) 읽기 영역에 관한 선행연구 21

II. 이론적 배경 27

2.1. 읽기의 개념과 읽기 능력 27

2.1.1. 읽기의 개념 27

2.1.2. 읽기 능력 28

2.2. 한국어 중급 읽기 평가의 범주 31

2.3. 한국어 중급 읽기 평가의 기준 38

III. 한국어능력시험과 외국어능력시험 문항 유형의 비교 41

3.1. 읽기 평가의 문항 유형 범주화 41

3.2. 한국어능력시험(TOPIK)의 문항 유형과 구성 44

3.2.1. TOPIK시험 중급 읽기 영역의 문항 유형 44

3.2.2. TOPIK 중급 읽기 영역의 문항 분류와 비율 54

3.3. 신 한어수평고시(신 HSK)의 문항 유형과 구성 59

3.3.1. 신 HSK 중급 읽기 영역의 문항 유형 59

3.3.2. 신 HSK 중급 읽기 영역의 문항 분류와 비율 67

3.4. 일본어능력시험(신 JLPT)의 문항 유형과 구성 70

3.4.1. 신 JLPT 중급 읽기 영역의 문항 유형 70

3.4.2. 신 JLPT 중급 읽기 영역의 문항 분류와 비율 77

3.5. 캠브리지(FCE)시험의 문항 유형과 구성 79

3.5.1. 캠브리지(FCE) 읽기 영역의 문항 유형 79

3.5.2. 캠브리지(FCE) 읽기 영역의 문항 분류와 비율 85

3.6. 각 시험 문항 유형의 비교 86

IV. 한국어능력시험과 외국어능력시험 텍스트 유형 및 종류의 비교 97

4.1. 텍스트 유형 및 종류의 분석 기준 97

4.2. 한국어능력시험(TOPIK) 중급 읽기 영역의 텍스트 유형 및 종류 104

4.3. 신 한어수평고시(HSK) 중급 읽기 영역의 텍스트 유형 및 종류 108

4.4. 일본능력시험(신 JLPT) 중급 읽기 영역의 텍스트 유형 및 종류 117

4.5. 캠브리지(FCE) 읽기 영역의 텍스트 유형 및 종류 121

4.6. 각 시험 텍스트 유형 및 종류의 비교 122

V. 한국어능력시험과 외국어능력시험 주제의 비교 126

5.1. 읽기 영역의 주제의 분석 기준 126

5.2. 한국어능력시험(TOPIK) 중급 읽기 영역의 주제 130

5.3. 신 한어수평고시(HSK) 중급 읽기 영역의 주제 131

5.4. 일본어능력시험(JLPT) 중급 읽기 영역의 주제 133

5.5. 캠브리지(FCE) 읽기 영역의 텍스트 주제 134

5.6. 각 시험 주제의 비교 135

VI. 한국어능력시험과 외국어능력시험 어휘의 비교 138

6.1. 읽기 영역에서 어휘의 분석 기준 138

6.2. 한국어능력시험(TOPIK) 읽기 영역의 어휘 140

6.3. 신 한어수평고시(HSK) 읽기 영역의 어휘 141

6.4. 한국어능력시험과 신 한어수평고시 어휘의 비교 142

VII. 한국어 중급 읽기 능력 평가의 구성 방안 144

7.1. 한국어 중급 읽기 평가의 설계 144

7.1.1. 평가의 기획 144

7.1.2. 평가의 목표와 내용 145

7.2. 평가 항목의 선정 146

7.2.1. 문항 유형 선정 146

7.2.2. 텍스트 유형, 종류, 주제 및 어휘 선정 148

7.3. 출제 구성표 작성 153

VIII. 결론 161

참고문헌 164

부록 169

〈부록 1〉 TOPIK시험 중급 읽기의 어휘 등급 분류 169

〈부록 2〉 신HSK 시험 읽기의 어휘 등급 분류 182

Abstract 192

中文摘要 195

〈표 1〉 읽기 능력의 요소 30

〈표 2〉 읽기 평가의 유형 및 급별 활용 가능성 34

〈표 3〉 읽기 평가의 유형 35

〈표 4〉 읽기 평가의 범주와 평가 목표 36

〈표 5〉 일반 한국어능력시험 등급별 평가의 기준 38

〈표 6〉 일반 한국어능력시험 영역별 평가의 기준 39

〈표 7〉 한국어능력시험 3급 읽기 영역 평가의 내용 40

〈표 8〉 한국어능력시험 4급 읽기 영역 평가의 내용 40

〈표 9〉 한국어능력시험(일반) 읽기 영역의 문항틀 유형 43

〈표 10〉 한국어능력시험 중급의 읽기 영역의 문항 유형과 문항 수 55

〈표 11〉 성취도 기준 56

〈표 12〉 문항 수와 비율 58

〈표 13〉 신 HSK 중급 읽기 영역의 구성 59

〈표 14〉 신 HSK 고시 등급의 기준 60

〈표 15〉 3급 5회 시험 기출문제의 문항 유형과 수 67

〈표 16〉 4급 5회 시험 기출문제의 문항 유형과 수 68

〈표 17〉 신 한어수평고시 3급과 4급 문항 수와 비율 69

〈표 18〉 신 한어수평고시 3급과 4급 시험 평균 문항 수와 비율 69

〈표 19〉 신 JLPT 평가의 분류 70

〈표 20〉 신 JLPT 중급 읽기 영역의 구성 70

〈표 21〉 신 JLPT 중급 읽기 영역의 인정 기준 71

〈표 22〉 일본어능력시험 중급(N4)(총5회)의 범주와 문항 수 77

〈표 23〉 일본어능력시험 중급(N3)(총5회)의 범주와 문항 수 78

〈표 24〉 일본어능력시험 중급(N3)(총5회)의 범주와 문항 유형 비율 79

〈표 25〉 FCE 시험 읽기 영역의 구성 80

〈표 26〉 FCE 읽기 영역의 문항 수 85

〈표 27〉 FCE 읽기 영역의 문항 분류와 비율 86

〈표 28〉 각 시험의 문항 분류와 문항 수 86

〈표 29〉 각 시험 인지 과정 문항 수와 비율 88

〈표 30〉 22회 읽기 영역의 문항 난이도 분포 91

〈표 31〉 22회 읽기 영역의 문항 변별도 분포 91

〈표 32〉 23회 읽기 영역의 문항 난이도 분포 91

〈표 33〉 23회 읽기 영역의 문항 변별도 분포 92

〈표 34〉 24회 읽기 영역의 문항 난이도 분포 92

〈표 35〉 24회 읽기 영역의 문항 변별도 분포 93

〈표 36〉 H1114회와 H1115회 4급 읽기 영역의 문항 난이도 분포 93

〈표 37〉 성취도 읽기 평가 도구들에서 학년별 읽기 범주의 비율 95

〈표 38〉 텍스트 유형과 종류의 분류 기준 103

〈표 39〉 22회 한국어능력시험 중급 읽기 텍스트 유형 및 종류 105

〈표 40〉 23회 한국어능력시험 중급 읽기 텍스트 유형 및 종류 105

〈표 41〉 24회 한국어능력시험 중급 읽기 텍스트 유형 및 종류 106

〈표 42〉 25회 한국어능력시험 중급 읽기 텍스트 유형 및 종류 106

〈표 43〉 26회 한국어능력시험 중급 읽기 텍스트 유형 및 종류 107

〈표 44〉 한국어능력시험 중급 읽기 텍스트 유형 및 종류 비율 107

〈표 45〉 3급 H31001회 읽기 텍스트 유형과 종류 109

〈표 46〉 3급 H31002회 읽기 텍스트 유형과 종류 109

〈표 47〉 3급 H31003회 읽기 텍스트 유형과 종류 110

〈표 48〉 3급 H31004회 읽기 텍스트 유형과 종류 110

〈표 49〉 3급 H31005회 읽기 텍스트 유형과 종류 111

〈표 50〉 4급 H41113회 읽기 텍스트 유형과 종류 112

〈표 51〉 4급 H41114회 읽기 텍스트 유형과 종류 112

〈표 52〉 4급 H41115회 읽기 텍스트 유형과 종류 113

〈표 53〉 4급 H41116회 읽기 텍스트 유형과 종류 114

〈표 54〉 4급 H41117회 읽기 텍스트 유형과 종류 115

〈표 55〉 신 한어수평고시 읽기 중급 텍스트의 유형과 종류 비율 (총 5회) 116

〈표 56〉 N4(3급) 1회 읽기 텍스트 유형과 종류 118

〈표 57〉 N3(4급) 1회 읽기 텍스트 유형과 종류 118

〈표 58〉 N4(3급) 총 5회 읽기 텍스트 유형 비율 119

〈표 59〉 N4(3급) 총 5회 읽기 텍스트 종류 비율 119

〈표 60〉 N3(4급) 총 5회 읽기 텍스트 유형과 비율 120

〈표 61〉 N3(4급) 총 5회 읽기 텍스트 종류 비율 120

〈표 62〉 N4와 N3 총 5회 읽기 텍스트 유형과 종류 비율 120

〈표 63〉 FCE 총 5회 읽기 텍스트 유형과 종류 비율 122

〈표 64〉 각 시험 텍스트 유형의 문항 수와 비율 122

〈표 65〉 한국어 교재 7종 유형별 텍스트 분석 결과 124

〈표 66〉 장문정(2007)은 텍스트의 주제를 대분류와 중분류 126

〈표 67〉 송우회(2009)는 한국어 교재의 읽기 텍스트 주제 분류 127

〈표 68〉 중급 교재의 텍스트 주제 분석 결과 128

〈표 69〉 텍스트의 주제 혹은 소재의 영역 128

〈표 70〉 중급 한국어 교재들의 주제 129

〈표 71〉 한국어능력시험과 외국어능력시험 읽기 영역 주제 분석의 기준 130

〈표 72〉 한국어능력시험 22회~26회 읽기 영역의 주제 분석 결과 131

〈표 73〉 신 한어수평고시 3급 H31001회~H31005회 주제의 분석 결과 131

〈표 74〉 신 한어수평고시 4급 H31001회~H31005회 주제 분석 결과 132

〈표 75〉 일본어능력시험 N4(3급) 총 5회 읽기 영역의 주제 분석 133

〈표 76〉 일본어능력시험 N3(4급) 총 5회 읽기 영역의 주제 분석 133

〈표 77〉 캠브리지(FCE) 총 5회 읽기 영역의 주제 비율 134

〈표 78〉 각 시험의 주제 및 소재의 숫자와 구성 비율 135

〈표 79〉 표준 교육과정 중급 주제 영역 136

〈표 80〉 한국어능력시험(22회~26회) 등급별 어휘 개수 140

〈표 81〉 신 한어수평고시 읽기 등급별 어휘 개수 142

〈표 82〉 TOPIK와 신 HSK 읽기 영역에 어휘 등급 분석 결과 143

〈표 83〉 중급 한국어 읽기 평가의 설계 144

〈표 84〉 중급 읽기 평가의 목표 및 내용 145

〈표 85〉 한국어 중급 읽기 문항 유형 148

〈표 86〉 텍스트 유형 및 종류 149

〈표 87〉 3급과 4급의 텍스트 유형 150

〈표 88〉 등급별 텍스트 종류 150

〈표 89〉 텍스트 주제 151

〈표 90〉 한국어 중급 읽기 출제구성표 154

〈표 91〉 한국어 중급 읽기 문항 유형 출제구성 비율 156

〈표 92〉 한국어 중급 읽기 텍스트 유형 및 종류 출제구성 비율 157

〈표 93〉 한국어 중급 읽기 텍스트 주제 출제구성 비율 159

초록보기 더보기

 Test of Proficiency in Korean (TOPIK) is a well known Korean language test tool offered to foreigners in Korea and to people studying Korean in other countries. Among several parts of TOPIK, reading test is for measuring of comprehension faculty, especially the intermediate level is different from the primary as for simple communication, the former is higher skill for academic researchers and professional workers. There are so many previous studies about the Korean language proficiency test, but there is no approach as a integrative and comparative research include: structures and varieties of test, text types, subjects and materials of topic, vocabulary classes in the reading evaluation part of TOPIK. This paper amis to set up an organization plan to access properly foreign language reading ability for the intermediate reading comprehension test through comparative analysis.

At the introductory part, this paper studied previous works and theoretical backgrounds about the reading comprehension test, and after that analysed the already given 5 tests of TOPIK as well as three countries including Chinese, Japanese and the United Kingdom's language assessment (new HSK, new JLPT, FCE). Through the comparison research, this paper remarked several matters about structure and variety of test, type and classification of text, subject and material of topic, vocabulary class in the intermediate reading comprehension test of TOPIK.

As a result, this paper analysed frameworks of the mentioned intermediate reading test, there classified by three categories ; 'access and retrieve', 'integrate and interpret', 'reflect and evaluate'. In the intermediate and advanced reading part, there are 9 item types respectively, among them only the 'finding the detail contents' type is belongs to 'access and retrieve' category, and the other 8 item types belongs to 'integrate and interpret' but there no 'reflect and evaluate' type, it means that requiring the supplement of categories. And two other categories are increasingly found at the frameworks as depend on the higher proficiency levels. Also there are required review the tendency rate of two categories which are 'access and retrieve' and 'integrate and interpret'.

Next, according to the comparison on the matter of text classification there were found variety subjects including the intimate communication thema such as human life and relationship, campus life related topics etc. in new HSK, new JLPT, FCE, but especially insufficient in TOPIK. Afterwards, it is necessary to diversify text subject in the intermediate reading comprehension test of TOPIK. The rest on the part of vocabulary, there need to be balanced selection according to the range of difficulty for intermediate learners level.

Finally, this paper analysed and suggested with a view to improving the organization plan for the intermediate reading comprehension test of TOPIK, it focused on made up a configuration draft but not completed. Afterwords, I hope to continue further studies on the related subjects.

참고문헌 (72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더보기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2006), 한국어 평가론. 태학사, 215-229. 미소장
2 (2009), 한국어 이해교육론. 형설출판사, 미소장
3 (2012),「중등교과서의 대명사 관련 교육 내용 분석 연구」, 국어교육연구 제50호, 국어교육학회. 미소장
4 (2012), 2011년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 분석 –국어-. 한국교육과정평가원. 미소장
5 Studies for the Establishment of Evaluation Standard in Korean Language Speaking Ability 네이버 미소장
6 국립국어원 (2010),「국제 통용 한국어교육 표준 모형 개발」. 미소장
7 국립국제교육원 (2012),「한국어능력시험 구인 분석 연구」. 미소장
8 한국어능력시험 읽기 영역의 텍스트 분석 연구 소장
9 국가 수준 학업 성취도 평가 개선을 위한 '읽기' 평가의 비판적 검토 소장
10 Tests and Measurements of Korean as a Second Language 네이버 미소장
11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 평가 소장
12 한국어능력시험의 읽기 문항 분석을 통한 읽기 평가 틀 점검 소장
13 (2012), 「한국어 능력 시험 읽기 영역 분석과 효율적인 읽기 교육 방안 –중급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청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14 Content analysis and improvement plan of the reading assessment in TOPIK 소장
15 한글-중국어 병음 체계의 연구 소장
16 국어 대명사의 체계화 재고 소장
17 읽기 능력 검사 개발 연구,1 :읽기 능력 검사의 하위 영역 설정 연구 소장
18 한국어 읽기 교육의 텍스트 유형 연구 소장
19 한국어 교재의 읽기 텍스트 분석 및 개선 방안 연구 소장
20 (2010),「외국어 평가의 이론과 실제」, 한국문화사. 미소장
21 (2009),「한국어 읽기 텍스트 유형에 따른 효율적인 읽기 전략 배양 연구」,배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22 (2012). 한국어능력시험 구인 분석 연구. 국립국제교육원. 미소장
23 유럽평의회 편 (2001), 김한란 외 역, 언어 학습, 교수, 평가를 위한 유럽공통참조기준.한국문화사. 미소장
24 국어과 교육과정에 나타난 텍스트 유형에 대한 비판적 검토 소장
25 읽기 수행평가의 평가 요소와 방법 고찰 소장
26 (2011), 「한국어능력시험 읽기 영역에 대한 연구 –제20회~제22회 고급 수준을 중심으로-」, 교육종합연구 9-2, 218-240. 미소장
27 The critical study on the criterion of the evaluation in reading domain of TOPIK 소장
28 중급 한국어 교재의 읽기 텍스트 분석 : 텍스트 의미 구조 분석을 중심으로 소장
29 설득 텍스트의 본질 및 특성과 교수-학습 네이버 미소장
30 (2005),「한국어 이해능력 평가의 원리 및 실제」, 한국어교육, 16-3.275-304. 미소장
31 한국어능력시험(TOPIK) 중급과 고급 읽기영역의 문항 유형과 구성 소장
32 한국어능력시험(TOPIK) 초급 읽기 영역의 문항 유형과 분류 네이버 미소장
33 (2011),「한국어 일기 교육을 위한 텍스트 난이도 평가 방안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미소장
34 한국어 교육의 읽기 텍스트 분석 연구 : 초·중급 단계를 중심으로 소장
35 (2014),「한·중 중급 한국어 교재의 읽기 영역의 어휘 연구」, 대구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36 (2014),「한국어능력시험 읽기 문항 유형 개선 방안 연구-TOPIK, HSK, JLPT의 고급 문항 유형 비교를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37 한국어능력시험(TOPIK) 읽기 영역 평가 문항의 내용 타당도 분석 : 21회∼25회 중급을 중심으로 소장
38 (1994), 「한국어 능력 평가 방안 연구-언어 숙달도의 측정을 중심으로」.한국어학 1. 한국어학연구회. 미소장
39 (2003), 「한국어 학습용 어휘 선정 결과 보고서」. 국립국어연구원 연구보고.2003-1-4. 미소장
40 Analysis of question types and topic of reading section of S-TOPIK : focus on reading section of S-TOPIK for beginners 소장
41 (2012), OECD 국제 학업성취도 평가 연구: PISA 2012 본 검사 시행 보고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미소장
42 (2013),「문법능력과 읽기능력의 상관관계에 대한 연구」, 한국교원 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43 (A)study on methods of selection the text for Korean intermediate-level reading textbook 소장
44 한국교육과정평가원 편 (2007), 2008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행동 영역별 예시 문항 –외국어(영어) 영역-. 한국교육과정평가원. 미소장
45 한국교육과정평가원 편 (2007), 2008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행동 영역별 예시 문항 –언어 영역-. 한국교육과정평가원. 미소장
46 (옮긴이: 전병만, 송해성, 전은영, 양수헌, 전성애)(2012), 『언어교사를 위한 평가 이론과 실제』, 출판사: 케임브리지. 미소장
47 (2013),「新汉语水平考试HSK(五级)效度问题研究」[A], 考试研究, 第3期, 66-69. 미소장
48 国家汉办/孔子学院总部 (2009),『新汉语水平考试大纲HSK三级』[s],北京商务印书馆. 미소장
49 国家汉办/孔子学院总部 (2009),『新汉语水平考试大纲HSK四级』[s],北京商务印书馆. 미소장
50 国家汉办/孔子学院总部 (2010),『新汉语水平考试真题集』,HSK三级,北京华语教学. 미소장
51 (2012),『新汉语水平考试真题集』,HSK四级,北京华语教学. 미소장
52 (2006),『现代汉语』(增订三版)[M],北京高等教育出版社. 미소장
53 (2013),「新HSK3,4级真题试卷阅读部分选测填空题型研究」,广西大学,硕士学位论文 미소장
54 (1998),『汉语水平测试研究』[C], 北京语言大学出版社. 미소장
55 (1997),『汉语水平考试的性质和特点』[C],汉语水平测试研究,北京语言大学出版社. 미소장
56 (2012),「新汉语水平考试(HSK)阅读理解型试题的研究与教学」, 黑龙江大学,汉语国际教育, 硕士论文. 미소장
57 (2013),「新汉语水平考试(HSK)效度问题研究」,吉林大学,硕士学位论文. 미소장
58 (2011),「蒙古国留学生HSK考试成绩的量化分析报告」 [A], 内蒙古师范大学学报(教育科学版), 26-27. 미소장
59 中国国家对外汉语教学领导小组办公室教育部社科目... 미소장
60 (2000). Assessing reading.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미소장
61 (1992), Reading in Two Languages: A Study of Reading Comprehension in Duth as a Second Language and In Turkish as a First... 미소장
62 (2004). 『텍스트 언어학의 이해』, 도서출판 역락. 미소장
63 (1943), Sprachtheorie. Darstellungsfunktionen der Sprache. Frankfurt/M. 미소장
64 THEORETICAL BASES OF COMMUNICATIVE APPROACHES TO SECOND LANGUAGE TEACHING AND TESTING* 네이버 미소장
65 (2008). Reading in a second language: Moving from Theory to Practice. Cambridge University Press. 미소장
66 (2009). Reading in a second language: Moving from Theory to Practice. Cambridge University Press. 미소장
67 (2007). “Construct validity in the IELTS academic reading test: A comparison of reading requirements in IELTS test items and in... 미소장
68 (2009). PIRLS 2011 Assessment Framework. Amsterdam: TIMSS & PIRLS International Study Center. 미소장
69 (1978), Communicative syllabus design, Cambridge University Press. 미소장
70 NAGB(2010). Reading Framework for the 2011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Progress. National Assessment Governing Board. 미소장
71 Higher–Level and Lower–Level Text Processing Skills in Advanced ESL Reading Comprehension 네이버 미소장
72 Mathematics—An Open Access Journal 네이버 미소장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