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목차

논문개요 5

I. 들어가는 글 7

II. 곰리 작업의 미술사적 배경 14

A. 서구 인체조각의 역사와 곰리의 작업 14

B. 1960년대 이후의 조각과 곰리의 작업 23

III. 작업을 통한 다양한 인간개념의 구현 31

A. 주체와 객체의 상호관계 속의 인간 31

B. 사회적 관계 속의 인간 41

C. 공동 작업을 통한 사회적 관계의 실천 54

IV. 나오는 글 63

참고문헌 68

도판 81

Abstract 116

1. 안토니 곰리, 〈또 다른 장소〉, 1997.... 81

2. 안토니 곰리, 〈틀〉, 1981, 납, 유리섬유, 석고, 60x98x50㎝ 81

3. 〈아나비소스의 쿠로스〉 기원전 525년경, 대리석, 높이 194㎝,... 81

4. 미론, 〈원반 던지는 사람〉, 기원전 450년경, 로마시대 청동 모작,... 82

5. 폴리클레이토스, 〈창을 든 남성의 상〉,... 82

6.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기마상〉, 166-180,... 82

7. 오튄 대성당 정문 팀파늄, 〈최후의 심판〉, 1130-1140, 프랑스 83

8. 랭스 대성당 서쪽 정문 문설주, 〈수태고지〉, 1220년경, 프랑스 83

9. 〈수태고지〉 세부 83

10. 레오나르도 다 빈치, 〈비트루비우스의 비례론에 대한... 84

11. 도나텔로, 〈헤롯의 향연〉, 1423-1427, 청동 부조, 60x60㎝,... 84

12. 도나텔로, 〈다윗상〉, 1428년경-1430, 청동, 높이 158.1㎝,... 84

13. 미켈란젤로, 〈피에타〉, 1498-1499, 대리석, 174x195㎝, 바티칸미술관, 이탈리아 84

14. 지안로렌조 베르니니, 〈성녀 테레사의 황홀경〉, 1645-1652,... 85

15. 지안로렌조 베르니니, 〈다윗상〉, 1623, 대리석, 높이 170㎝,... 85

16. 안토니오 카노바, 〈비너스 모습을 한 파올린 보르게제〉, 1808, 대리석,... 85

17. 자크 루이 다비드, 〈알프스를 넘는 나폴레옹〉, 1800, 캔버스에 유화,... 85

18. 프랑스와 뤼드, 〈라 마르세이예즈〉, 1833-1836,... 86

19. 오귀스트 로댕, 〈청동시대〉, 1876, 청동, 높이 115㎝, 리옹미술관, 프랑스 86

20. 오귀스트 로댕, 〈발자크〉, 1898, 청동, 높이 300㎝, 로댕미술관, 프랑스 86

21. 헨리 무어, 〈누워있는 인물〉, 1951, 청동, 길이 228.5 ㎝, 스코틀랜드... 86

22. 로버트 모리스, 〈무제: L자형 기둥들〉, 1965, 합판,... 87

23. 로버트 모리스, 〈무제: 기립을 위한 상자〉, 1961,... 87

24. 월터 드 마리아, 〈번개 치는 들판〉, 1977, 뉴멕시코, 미국 87

25. 안토니 곰리, 〈재배열된 사막〉, 1979, 퍼포먼스, 애리조나, 미국 88

26. 안토니 곰리, 〈스킨〉, 1979, 돌, 91x121x45㎝ 88

27. 안토니 곰리, 〈가득찬 그릇〉, 1977-1978, 납, 6x17x17㎝ 88

28. 안토니 곰리, 〈땅, 바다 그리고 공기I〉, 1977-1979, 납, 돌, 물,... 89

29. 안토니 곰리, 〈세 개의 몸〉, 1981, 납, 유리섬유, 흙, 돌, 돌:96x60x54㎝,... 89

30. 자콥 엡스타인, 〈요소〉, 1932, 석고, 높이 81㎝ 89

31. 조지 시걸, 〈저녁식사〉, 1964-1966, 가변설치, 석고, 나무, 크롬 등 89

32. 안토니 곰리, 〈방〉, 1980, 양말, 신발, 바지, 셔츠 등, 가변설치,... 90

33. 안토니 곰리, 〈침대〉, 1980-1981, 빵, 왁스, 28x220x168㎝ 90

34. 라이프캐스팅 기법을 이용한 인체조각 제작 과정 90

35. 안토니 곰리, 〈순간〉, 1985, 납, 유리섬유, 석고, 206x67x30㎝ 91

36. 안토니 곰리, 〈세 개의 길: 틀, 구멍, 통로〉, 1981, 납, 유리섬유, 석고,... 91

37. 안토니 곰리, 〈땅, 바다 그리고 공기II〉, 1982,... 91

38. 안토니 곰리, 작업노트 드로잉, 1979 92

39. 안토니 곰리, 〈육체〉, 1990, 콘크리트, 36x198x174㎝ 92

40. 안토니 곰리, 〈통로〉, 1993, 콘크리트, 36x44x229㎝ 92

41. 안토니 곰리, 〈압박〉, 1993, 콘크리트, 134x68x55㎝ 92

42. 안토니 곰리, 〈거대한 오스트레일리아 사막을 위한 방〉,... 93

43. 안토니 곰리, 〈뉴사우스웨일스 미술관을 위한 필드〉, 1989,... 93

44. 안토니 곰리, '세계관 탐색하기' 전, 1993, 철, 5개 인체조각, 각... 93

45. '세계관 탐색하기' 전시 전경 세부 93

46. 안토니 곰리, 〈끌려진〉, 2000, 철, 8개의 인체조각, 각 154x133x187㎝, 화이트큐브 갤러리, 런던, 영국 94

47. 〈끌려진〉, 세부 94

48. 〈끌려진〉, 세부 94

49. 안토니 곰리, 〈상실된 지평선〉, 2008, 철, 32개의 인체조각, 각 189x53x29㎝ 95

50. 안토니 곰리, 〈제거I〉, 2004, 알루미늄 관 10㎝, 면적 1.27x1.27㎝, 가변설치, 화이트큐브 갤러리, 런던, 영국 95

51. 안토니 곰리, 〈제거III〉, 2004, 노르덴하케(Nordenhake) 갤러리, 베를린, 독일 96

52. 안토니 곰리, 〈숨 쉬는 방I〉, 2006,... 96

53. 안토니 곰리, 〈숨 쉬는 방II〉, 2010,... 97

54. 〈숨 쉬는 방I〉, 낮과 밤의 전시 장면, 타데우스 로곽 갤러리 97

55. 안토니 곰리, 〈숨 쉬는 방III〉, 2010,... 98

56. 안토니 곰리, 〈데리 성벽을 위한 조각〉, 1987, 철, 3개의 이중... 98

57. 안토니 곰리, 〈데리 성벽을 위한 조각〉, 1987 98

58. 〈데리 성벽을 위한 조각〉, 세부 99

59. 〈데리 성벽을 위한 조각〉, 지역 주민들에 의해 훼손된 모습 99

60. 옛 도시감옥 내부 구조, '과거를 가진 장소: 새로운 장소 특정적... 99

61. 안토니 곰리, 〈생각하는 법 배우기〉, 1991, 납, 유리섬유, 5개의 인체조각,... 99

62. 안토니 곰리, 〈생각하는 법 배우기〉 100

63. 안토니 곰리, 〈북방의 천사〉, 1955-1998,... 100

64. 안토니 곰리, 〈북방의 천사〉, 1995-1998 101

65. 안토니 곰리, 〈경작 대여지II〉, 1995, 300개의 인체 캐스팅,... 101

66. 〈경작 대여지II〉, 부분 101

67. 안토니 곰리, 〈위기의 군중II〉, 1995,... 102

68. 〈위기의 군중II〉, 부분, 기둥에 매달려 있는 인체조각 102

69. 〈위기의 군중II〉, 부분 102

70. 안토니 곰리, 〈위기의 군중II〉, 1996, 60개의 인체조각, 가변설치... 103

71. 〈위기의 군중II〉, 부분 103

72. 〈위기의 군중II〉, 거꾸로 매달린 인체조각 103

73. 안토니 곰리, 〈사건 지평선〉, 2007,... 104

74. 안토니 곰리, 〈사건 지평선〉, 2007,... 104

75. 안토니 곰리, 〈사건 지평선〉, 2007, 32개의 인체조각,... 105

76. 안토니 곰리, 〈사건 지평선〉, 인체조각을 바라보는 런던 시민 105

77. 〈사건 지평선〉, 건물 위에 설치된 인체조각, 뉴욕 105

78. 〈사건 지평선〉, 건물 위 인체조각을 바라보는 행인, 뉴욕 105

79. 〈사건 지평선〉, 길거리에 설치된 인체조각, 뉴욕 106

80. 〈사건 지평선〉, 길거리에 설치된 인체조각을 바라보는... 106

81. 안토니 곰리, 〈오스트레일리아 안에서〉, 2002-2003,... 106

82. 안토니 곰리, 〈오스트레일리아 안에서〉 107

83. 안토니 곰리, 〈내부자V〉, 1998, 철, 195x51x28㎝, 뉴아트센터, 영국 107

84. 〈오스트레일리아 안에서〉 세부 107

85. 〈오스트레일리아 안에서〉 제작 과정:... 108

86. 〈오스트레일리아 안에서〉 제작 과정... 108

87. 안토니 곰리, 〈바다에서 온 사람〉, 1994,... 109

88. 안토니 곰리, 〈또 다른 장소〉, 밀물, 썰물시의 모습, 크로스비 해변, 영국 109

89. 〈또 다른 장소〉의 인체조각에 옷을... 110

90. 〈또 다른 장소〉의 인체조각과 함께... 110

91. 산 마티아스의 원주민들이 인체 토기를 제작하는 모습 110

92. 인체 토기 제작과정 110

93. 완성된 인체 토기 모습 111

94. 안토니 곰리, 〈필드II〉, 1789, 테라코타, 가변설치, 약 20개 인체 토기,... 111

95. 안토니 곰리, 〈아메리칸 필드〉, 1991, 테라코타, 가변설치,... 111

96. 안토니 곰리, 〈유러피안 필드〉, 1993, 테라코타, 가변설치,... 111

97. 안토니 곰리, 〈영국 제도를 위한 필드〉, 1993, 테라코타, 가변설치,... 112

98. 안토니 곰리, 〈아시안 필드〉, 2003, 테라코타, 가변설치,... 112

99. 안토니 곰리, 〈아시안 필드〉, 제작 현장, 시앙샨, 광주, 중국 112

100. 안토니 곰리, 〈아시안 필드〉, 제작 현장 112

101. 주민들과 함께 〈아시안 필드〉를 제작하고 있는 곰리 113

102. 〈아시안 필드〉에 참여한 340명의 어린이들 명단 전시 모습,... 113

103. 안토니 곰리, 〈진흙과 집단 신체〉, 2009, 돔의 외부 모습, 헬싱키, 핀란드 113

104. 안토니 곰리, 〈진흙과 집단 신체〉, 돔의 내부 모습, 진흙 270x400x400㎝ 113

105. 안토니 곰리, 〈진흙과 집단 신체〉,... 114

106. 안토니 곰리, 〈눈먼 빛〉, 2007, 형광등, 물, 초음파 가습기, 강화철유리,... 114

107. 〈눈먼 빛〉을 체험하는 관람자들 114

108. 안토니 곰리, 〈눈먼 빛II〉, 2007, 유리방 외부에서 안을 들여다보는 모습,... 114

109. 안토니 곰리, 〈눈먼 빛〉, 유리방 벽에서 보이는 손의 흔적 115

110. 안토니 곰리, 〈차례로〉, 2009, 트라팔가 광장, 런던, 영국 115

111. 안토니 곰리, 〈차례로〉, 퍼포먼스 모습 115

112. 안토니 곰리, 〈차례로〉, 퍼포먼스 모습 115

초록보기

본 논문은 안토니 곰리(Antony Gormley, 1950-)의 조각 작품에 나타난 인간개념에 대한 연구이다. 인간 형상을 주제로 하는 조각 작품은 고대로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시대적 맥락과 사회적 필요에 따라 그 형태와 의미가 변모하여 왔다. 고대 그리스 시대에는 인간의 이상을 상징하는 대상으로, 중세에는 기독교적 도상의 역할을 하였으며, 인간중심적인 세계관이 고조되었던 르네상스 시대에는 독립적인 인간존재에 대한 관심이 반영되었다. 근대에서는 대중을 교육하고 시민의식을 고취시키는 수단이 되기도 하였다.

그러나 1960년대 이후의 모더니즘 미술이 재료의 물성 및 자기지시성을 강조함에 따라 조각에서도 인체의 형상이 사라지게 되었다. 이러한 예술적 토대 위에서 1970년대 후반에 재료분석적 성격 위주의 작업을 진행하던 곰리는 라이프캐스팅 인체조각으로 작업의 방향을 전환하였다. 캐스팅 방식으로 인체라는 주제를 선택한 것은 당시 미술계에서 전통 미술로의 회귀로 읽혀질 소지가 있으나, 곰리의 조각은 인체의 재현이나 특정한 내러티브를 표방하는 전통적인 인체조각과 뚜렷이 구별된다. 그는 자신의 신체적 경험을 전달하고 관람자로부터의 상호소통을 이끌어 내며 실제 인간의 삶과 경험을 담는 매체로 인체를 선택하였던 것이다. 그러나 그간 곰리의 작업에 대한 논의는 성공적인 공공조각과 대규모 협업 프로젝트 및 공공 퍼포먼스 작업 등에 의거하여 대부분 공공미술의 범주 내에서 이루어졌다. 이외에도 곰리의 자신의 몸으로 인체조각을 제작하는 것에 의거하여 그의 작품을 자전적인 내러티브를 담은 자아실현의 결과물로 파악하는 논의들도 발견된다.

이에 본 연구는 곰리 작업에 나타나는 인간개념을 다양한 국면에서 살펴보고자 했다. 우선, 곰리의 조각은 일대일로 대면하는 관람자가 이를 자신의 몸으로 인식하고 자신의 존재를 구별해내는 주체와 객체의 상호관계 속의 인간개념을 구현한다. 특히 동일한 인체조각이 반복적으로 나타나는 작업이나, 내부의 인체가 형상화된 콘크리트 입방체 작업은 인간 형상, 나아가 자기 자신을 지각하는 다양한 시점을 제시한다. 아울러 인체 형상이 완전히 사라진 설치작품에서는 관람자가 신체를 전제로 자신과 타인을 관찰하며 또 관찰되는 양상으로 그 의미가 확장된다.

또한, 공공 공간 및 자연환경에 설치된 곰리의 조각은 장소의 특성, 환경, 역사적 맥락을 반영함으로써 사회적 관계 속 인간의 의미를 창출한다. 이러한 작업은 특정 지역이 처해있는 사회적, 경제적인 상태를 보여주면서, 그 속에서 지속되거나 또는 변화되는 인간 공동체를 부각시킨다. 사막, 바닷가 등의 자연환경에 설치된 인체조각 역시 특수한 환경 속의 인간의 삶을 반영하고 있다. 따라서 곰리의 공공 작품은 단순히 공공장소에 설치되어 공공의 관심을 이끌어내는 미술조형물의 의미를 뛰어 넘는다고 볼 수 있다.

한편, 곰리와 참여자들과의 협업 및 퍼포먼스 작업을 통해서 이러한 사회적 인간관계가 실천되는 양상을 발견할 수 있다. 여기서는 대규모 인체 토기 공동제작, 타인의 존재를 인식하기 위한 관람자들의 신체 접촉, 대중의 자발적인 퍼포먼스와 같은 실질적인 행위 자체가 작품의 내용이 된다. 이를 통해 인간관계와 상호소통의 다양한 의미가 개념적 도상이 아닌 실천적인 차원에서 조명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곰리의 작업은 결국 '인간'의 의미가 무엇이며, 그것이 어떻게 형성되었는지를 탐구해 온 과정이었다고 볼 수 있다. 즉, 관람자와 대면하며 내적 자아를 이끌어 내는 인체조각에서 지역적 특성을 반영하며 인간 사회와 소통하는 공공 조각, 그리고 지역민들의 참여로 이루어진 협업 작업과 대중이 만드는 공동 퍼포먼스에 이르기까지, 그의 조각은 현대조각에서 넓은 스펙트럼을 확보하고 있다. 이처럼 미술사적으로는 인체조각의 역사를 계승하는 동시에, 동시대 인간개념을 다층적인 의미로 구현하고 있다는 점에서 곰리 작업은 조각의 가능성을 확장하였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