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목차

국문 요약 8

제1장 서론 10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0

1.2. 연구 문제 16

제2장 이론적 배경 17

2.1. 영아의 사회적 유능성 17

2.1.1. 사회적 유능성의 개념 17

2.1.2. 영아의 사회적 유능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19

2.2. 영아의 기질 21

2.2.1. 기질의 개념 21

2.2.2. 기질과 영아의 사회적 유능성 24

2.3. 교사가 지각한 영아-교사 관계 26

2.3.1. 교사가 지각한 영아-교사 관계 개념 26

2.3.2. 교사가 지각한 영아-교사 관계와 영아의 사회적 유능성 29

제3장 연구 방법 31

3.1. 연구 대상 31

3.2. 연구 도구 31

3.2.1. 영아의 사회적 유능성 32

3.2.2. 영아 기질 33

3.2.3. 교사가 지각한 영아-교사 관계 34

3.3. 연구 절차 36

3.3.1. 예비조사 36

3.3.2. 본 조사 36

3.4. 자료 분석 37

제4장 연구 결과 및 해석 38

4.1. 측정 변인들의 일반적 경향 38

4.2. 영아 기질과 교사가 지각한 영아-교사 관계가 영아의 사회적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 39

제5장 논의 및 결론 42

5.1. 논의 42

5.1.1. 측정 변인들의 일반적인 경향 42

5.1.2. 영아 기질과 교사가 지각한 영아-교사 관계가 영아의 사회적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 44

5.2. 결론 49

참고문헌 50

부록 55

〈부록 1〉 영아 기질 (어머니용 질문지) 56

〈부록 2〉 영아의 사회적 유능성 (교사용 질문지) 61

〈부록 3〉 교사가 지각한 영아-교사 관계 (교사용 질문지) 64

ABSTRACT 66

표목차

〈표 1〉 영아기 사회적 유능성 척도의 문항 구성 및 신뢰도 32

〈표 2〉 영아 기질 척도 문항 구성 및 신뢰도 34

〈표 3〉 교사가 지각한 영아-교사 관계 척도 문항 구성 및 신뢰도 35

〈표 4〉 측정 변인들의 일반적 경향 38

〈표 5〉 측정 변인들의 상관관계 40

〈표 6〉 영아의 사회적 유능성에 대한 관련 변인들의 중다회귀분석 결과 41

초록보기

 본 연구는 영아 기질과 교사가 지각한 영아-교사 관계가 영아의 사회적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서울, 경기지역에 위치한 보육시설 22곳에 재원중인 24개월에서 36개월의 영아 117명(남아 64명, 여아 53명)이었다. 영아의 사회적 유능성을 측정하기 위해 Briggs-Gowan과 Carter(2001)의 영아의 사회·정서 측정도구(Infnat-Todder Social-Emotional Assessment: ITSEA)를 신지연(2004)이 번안·수정한 질문지를 교사가 평정하였다. 영아 기질은 Fullard, Carey와 McDevitt(1984)의 TTQ(Toddler Temperament Questionnaire)를 최영희(1991)가 번안·수정한 질문지를 어머니가 평정하였으며, 교사가 지각한 영아-교사 관계는 Pianta(2001)의 영아-교사 관계척도(Student-Teacher Relationship Scale: STRS)를 정미조(2009)가 번안한 질문지를 교사가 평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각 변인에 대한 기술적 통계치를 산출하였고, 영아의 기질과 교사가 지각한 영아-교사 관계가 영아의 사회적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기초분석으로 Pearson 적률상관계수를 산출한 후,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대상 영아는 생리적 주기가 규칙적인 편이고 긍정적인 기분을 지니고 있었으며, 새로운 상황이나 자극에 대하여 접근하기를 꺼려하며 반응표현이 격렬한 편이고 새로운 상황을 접한 이후에 점차 적응하는 기질적 특성을 지녔다. 영아-교사 관계에서 교사는 영아와 전반적으로 긍정적인 관계를 맺고 있다고 지각하고 있었으며, 본 연구대상 영아는 대체로 사회적으로 유능하였다.

둘째, 영아 기질과 교사가 지각한 영아-교사 관계가 영아의 사회적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영아 기질은 영아의 사회적 유능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는 못하였다. 한편, 교사가 지각한 영아와의 관계는 영아의 사회적 유능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쳐 교사가 영아와의 관계를 친밀하고 의존성이 낮다고 지각할수록 영아는 사회적으로 유능하였다.

결론적으로 교사가 지각한 영아-교사 관계는 영아의 사회적 유능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