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목차

Abstract 6

Ⅰ. 서론 10

Ⅱ. 재료 및 방법 12

1. 실험재료 12

2. 콩나물콩의 특성 조사 12

3. 재배수의 제조 12

4. 콩의 수분 흡수율 및 발아율 조사 12

5. 콩나물의 재배방법 13

6. 콩나물의 생육특성 조사 13

7. 재배수의 pH, EC 측정 14

8. 재배수와 콩나물의 무기물 분석 14

9. 통계처리 15

Ⅲ. 결과 및 고찰 16

1. 콩나물콩의 특성 16

2. 재배수의 특성 17

3. 콩나물 콩의 수분 흡수율 및 발아특성 19

4. 콩나물 재배 특성 22

가. 콩나물 길이의 변화 22

나. 콩나물 무게의 변화 25

다. 콩나물 배축의 길이와 두께, 잔뿌리 특성 28

라. 콩나물의 수율 및 구성비율 31

마. 콩나물의 무기물 변화 34

Ⅳ. 적요 36

Ⅴ. 참고문헌 38

표목차

Table 1. Conditions of the analysis of minerals in the magma seawater and soybean by using an inductively coupled plasma-optical emission... 15

Table 2. The characteristics of soybean sprouts. 16

Table 3. Inorganic element contents, pH and EC of used water. 18

Table 4. Germination of soybean sprouts grown in magma seawater. 20

Table 5. Equations to predict soybean sprouts whole length grown by magma seawater. 24

Table 6. Equations to predict soybean sprouts weight grown by magma seawater. 27

Table 7. Growth characteristics of soybean sprouts cultivated with different cultivation water. 29

Table 8. Comparison of inorganic contents on soybean sprouts cultivated by magma seawater. 35

그림목차

Fig. 1. A diagram of growth chamber for soybean sprout. 13

Fig. 2. Schematic diagram of soybean sprout. 14

Fig. 3. Effect of soaking time on the water absorption of soybean seeds. 19

Fig. 4. Soybean sprouts germinated after 32 hours. 21

Fig. 5. Effect of magma seawater treatment on the elongation of whole length of soybean sprouts by each days. 23

Fig. 6. Effect of magma seawater treatment on the weight of soybean sprouts by each cultivation period. 26

Fig. 7. Shapes of soybean sprouts cultivated by magma seawater treatment (5days). 30

Fig. 8. Yield of soybean sprouts cultivated by magma seawater treatment. 32

Fig. 9. The weight ration of soybean sprout grown in magma seawater. 33

초록보기

 본 연구는 우리나라 전통식품으로서 콩나물의 고급화와 기능성 강화를 위하여 용암 해수를 이용한 무기물 강화 콩나물의 재배특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콩나물 재료로 사용한 풍산나물 콩은 100립중이 8.93g, 장경 6.19mm, 단경 4.46mm, 두께가 5.33mm로 콩나물콩으로 적합하였다.

재배용수로 사용한 용암해수와 전기투석한 용암해수는 pH 7.51~7.57로 수돗물 pH 7.13과 비슷하였으나, EC는 67.5~253배 높았다. 무기물은 용암해수는 Cl가 18,950mg/100g으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Na 9,616mg/100g, SO₄ 2,475.5, K 393.5, Ca 384.3 순이었으며, 전기투석한 용암해수는 Na 및 Cl함량이 낮았다.

용암해수로 재배한 콩나물은 침지 후 8시간까지 수분 흡수율이 급격히 증가하였는데 전기투석한 용암해수 12.5%에서 156.2%로 가장 높았으며 재배수의 농도가 짙을수록 수분 흡수율은 낮았고, 발아율은 수돗물, 전기투석한 용암해수 12.5%, 25%, 50%, 용암해수 12.5%에서 발아율이 99% 이상이었으나 용암해수 50%이상에서는 발아율이 매우 저조하여 용암해수 농도가 삼투압 현상 등에 의하여 발아가 불량한 것으로 판단된다.

5일 재배한 콩나물의 길이는 수돗물이 16.7cm로 가장 길었고 전기투석한 용암해수 25%에서 14.6cm이며, 무게에서도 수돗물이 0.52g으로 가장 무거웠고, 전기투석한 용암해수 25%는 0.50g이었다. 콩나물 배축의 길이는 수돗물이 77.8mm로 가장 길었으며 ED 25%에서는 69.5mm었으며, 잔뿌리는 수돗물과 전기투석한 용암해수에서 가장 많았다. 이처럼 재배수의 농도가 짙을수록 길이는 짧고, 무게는 가벼워지는 등 콩나물 발육이 부진하였다.

용암해수로 재배한 콩나물의 수율은 전기투석한 용암해수 25%에서 562.0%로 수돗물 599.7%보다 낮았으며 재배수의 농도가 짙을수록 수율이 낮았다. 그리고 자엽의 비율 또한 높아 품질이 낮았다.

용암해수로 재배한 콩나물의 무기물중 P과 K은 재배수의 농도에 따라 함량의 차이가 없었으나, Mg, Na, B는 재배수의 농도가 짙을수록 콩나물에서의 함량도 많았다. 하지만, Ca은 재배수의 농도가 짙을수록 콩나물에서의 함량은 적었으며, 재배수의 농도가 짙을수록 콩나물에서 자엽에 함유된 무기물의 비율이 배축의 함량보다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콩나물의 전체 무기물의 함량은 용암해수의 농도가 짙을수록 많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