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목차

국문초록 8

제1장 서론 9

제2장 영화의 스토리 및 표현방식 15

제1절 영화의 스토리 15

1. 〈금년하천〉 15

2. 〈핑궈〉 18

제2절 영화의 표현방식 22

1. 내레이션 22

2. 색채의 표현 27

제3장 영화 시각기호 및 공간 환경 31

제1절 시각기호 및 상징의미 31

1. 물고기: 방황, 벗어날 수 없는 상황 32

2. 코끼리: 폭력과 반항 38

3. 배두렁이/빨간 상의 : 남성의식에서 벗어날 수 없다 41

4. 다리(橋): 이해와 관용 46

5. 북경거리의 사람들: 사람들의 각가지 모습 49

제2절 인물과 공간 환경의 융합 51

1. 의류상점/화장실/발마사지업소: 공공 공간 여성에 압출 51

2. 찻집: 전통사회 여성에 대한 태도 55

3. 침실: 여성 개인 공간 56

4. 욕실: 남자의 '보기'와 여자의 '보이기' 58

5. 자동차: 개인 공간의 확장 60

6. 북경: 현대화 도시 62

제4장 '벗어나다'식 결말 - 여성 인식의 각성 64

제5장 결론 67

참고문헌 71

ABSTRACT 74

그림목차

〈그림 2-1〉 〈금년하천〉 포스터 감독/극작가: 리옥 (李玉) 주인공 : 潘怡, 石頭, 張継蓮, 張淺潛 15

〈그림 2-2〉 〈핑궈〉 포스터 감독: 리옥 주인공: 판빙빙 (范冰冰), 통다웨이(佟大爲), 양가휘 (梁家輝) 19

〈그림 3-1〉 자유롭게 헤엄쳐 다니는 물고기 〈금년하천〉 장면 중에서 33

〈그림 3-2〉 비늘 벗기고 난도질당하다 〈금년하천〉 장면 중에서 33

〈그림 3-3〉 떠있는 죽은 물고기 〈금년하천〉장면 중에서 34

〈그림 3-4〉 판매되는 물고기 〈금년하천〉장면 중에서 34

〈그림 3-5〉 사랑 상징하는 물고기 〈금년하천〉장면 중에서 36

〈그림 3-6〉 사랑 증명하는 물고기 〈금년하천〉장면 중에서 36

〈그림 3-7〉 물고기 독살하다 〈금년하천〉장면 중에서 37

〈그림 3-8〉 물고기 요리하다 〈금년하천〉장면 중에서 37

〈그림 3-9〉 군군 발각되다 〈금년하천〉장면 중에서 40

〈그림 3-10〉 여성의 욕망 〈금년하천〉장면 중에서 40

〈그림 3-11〉 남자와 여자의 대립 〈금년하천〉장면 중에서 41

〈그림 3-12〉 코끼리 처량한 비명소리 〈금년하천〉장면 중에서 41

〈그림 3-13〉 배두렁이 입는 소령 〈금년하천〉장면 중에서 43

〈그림 3-14〉 배두렁이 입는 소령을 훔쳐보다 〈금년하천〉장면 중에서 43

〈그림 3-15〉 매춘부의 옷차림 〈금년하천〉장면 중에서 44

〈그림 3-16〉 배두렁이 다시 업어보다 〈금년하천〉장면 중에서 44

〈그림 3-17〉 남자 취향에 맞추다 〈금년하천〉장면 중에서 46

〈그림 3-18〉 재혼연회 〈금년하천〉장면 중에서 46

〈그림 3-19〉 다리위에 서있는 소군 〈금년하천〉장면 중에서 48

〈그림 3-20〉 어울리지 않는 노란색 겉옷 〈금년하천〉장면 중에서 48

〈그림 3-21〉 다리위에 서있는 핑궈와 소매 〈핑궈〉장면 중에서 49

〈그림 3-22〉 도망치는 안곤 〈핑궈〉장면 중에서 49

〈그림 3-23〉 남자 비웃는 말과 행위 〈금년하천〉장면 중에서 54

〈그림 3-24〉 무리한 에누리 〈금년하천〉장면 중에서 54

〈그림 3-25〉 여자 화장실 홈쳐보다 〈금년하천〉장면 중에서 54

〈그림 3-26〉 첫 번째 같이 나타나는 장면 〈금년하천〉장면 중에서 54

〈그림 3-27〉 뒤 배경에 놓여 있는 침대 〈금년하천〉장면 중에서 57

〈그림 3-28〉 소군 자신 이야기 서술하다 〈금년하천〉장면 중에서 57

〈그림 3-29〉 군군 자신 이야기 서술하다 〈금년하천〉장면 중에서 58

〈그림 3-30〉 특수한 담배 불 붙여주는 방식 〈금년하천〉장면 중에서 58

〈그림 3-31〉 목욕하는 핑궈 홈쳐보다 〈핑궈〉장면 중에서 60

〈그림 3-32〉 핑궈의 신체 거울에서 건지다 〈핑궈〉장면 중에서 60

〈그림 3-33〉 부부와 베츠 함께 등장 〈핑궈〉장면 중에서 62

〈그림 3-34〉 두 쌍 부부 동시 차에 앉다 〈핑궈〉장면 중에서 62

초록보기

근년래 여성감독이 여성을 소재로 하여 촬영한 영화가 아주 많지만 중국에는 진정한 의미의 여성영화가 아주 적다. 비록 리옥(李玉)는 신인 감독이지만 홀시할 수 없는 지극히 개성적인 여성감독이다. 또한 작품은 적지만 세계상에서 연이어 상을 받았으며 관심도 함께 받고 있다.

리옥의 영화는 인간의 생존환경에 대한 재현이자 현시대 사회현상에 대한 투시이다. 잔혹한 청춘 및 길 잃은 령혼과 여성의 생존환경에 대한 묘사를 통해 남권사회에서 생활하는 여성에 대해 냉정히 생각해보게 하였으며 생활에 대한 태도를 분명히 인지하도록 하였다. 그녀는 예리한 시각적 선택과 짙은 색의 화면 영상 및 힘이 넘치는 사실로 생존 곤경에 처한 여성의 비참함과 즐거움을 표현하였다. 그녀의 작품은 변화하는 사회에 대한 일종의 사고이며 급류처럼 변화하는 사회에서의 여성의 운명 및 그 운명 배후의 즐거운 노래 혹은 흐느낌에 대한 표현이다.

본문은 리옥의 영화 〈금년하천(今年夏天)〉과 〈핑궈(苹果)〉를 문헌으로 하여 영화 속 여성 이미지의 표현과 공간의 선택을 분석하였다. 또한 리옥 영화를 연구함에 있어 스타일이 다른 두 편의 영화를 함께 놓고 연구한 적이 없다. 본문은 두 편의 영화를 문헌으로 하여 영화 속 여성의 이미지와 공간 선택의 관계에 대한 논의를 시도함으로써 여성영화로서의 리옥 영화의 근본적인 것들을 지적함과 동시에 남권사회와 남권인식에 대해 냉정하고도 심중하게 반영 및 분석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