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0
학위논문 1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0)
일반도서 (0)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1)
학위논문 (1)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논문명/저자명
지역 산업 유휴시설의 창작·문화 공간 활용 계획에 관한 연구 = (A)study of the plan for the creative and cultural space using the abandon industrial facilities / 홍분선 인기도
발행사항
서울 : 홍익대학교 건축도시대학원, 2015.2
청구기호
TM 692.1 -15-15
형태사항
xi, 103 p. ; 26 cm
자료실
전자자료
제어번호
KDMT1201506811
주기사항
학위논문(석사) -- 홍익대학교 건축도시대학원, 건축설계전공, 2015.2. 지도교수: 김동훈
원문
미리보기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국문초록

목차

제1장 서론 16

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6

1.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18

제2장 근/현대 문화유산으로서의 산업 유휴시설 20

2.1. 산업유휴시설의 개념 20

2.1.1. 유휴 공간의 개념 20

2.1.2. 산업 유휴 시설의 정의 20

2.2. 산업 유휴 시설의 원인과 유형 20

2.2.1. 산업 유휴 시설의 원인 20

2.2.2. 산업 유휴 시설의 유형 22

2.3. 산업 유산 23

2.3.1. 산업 유산의 개념 23

2.3.2. 산업 유산의 재생 방식 25

2.4. 산업 유산의 가치와 잠재성 28

제3장 창작·문화공간에 대한 고찰 31

3.1. 창작 공간의 의미와 현황 31

3.1.1. 창작 공간의 의미 31

3.1.2. 창작 공간의 현황 32

3.1.3. 창작공간 유형별 공간구성 사례 34

3.1.4. 분석 46

3.2. 문화의 의미와 문화적 활용 범위 47

3.3. 문화예술 공간 이용 현황 48

제4장 사례조사 및 분석 52

4.1. 사례조사의 범위 및 방법 52

4.2. 국내 사례조사 53

4.2.1. 삼탄 아트 마인 53

4.2.2. 삼례 문화 예술촌 56

4.2.3. 인천 아트 플랫폼 59

4.3. 해외 사례조사 63

4.3.1. 더 와핑 프로젝트 63

4.3.2. 가나자와 시민 예술촌 66

4.3.3. Sugar house studio 70

4.4. 소결 73

제5장 산업 유휴시설을 이용한 창작·문화 공간 계획 75

5.1. 대상지 선정 및 분석 75

5.1.1. 대지 개요 75

5.1.2. 대지 분석 76

5.2. 계획의 프로세스 86

5.2.1. 활용의 전제 86

5.2.2. 계획의 개념 87

5.2.3. 프로그램의 설정 88

5.3. 건축 계획 89

5.3.1. 건축 개요 89

5.3.2. 건축 계획 89

5.4. 계획 도면 95

5.4.1. 배치도 95

5.4.2. 평면도 96

5.4.3. 입면도 98

5.4.4. 단면도 100

5.5. 조감도 및 투시도 101

5.6. 모형 사진 105

5.7. 패널 이미지 106

제6장 결론 109

참고문헌 111

ABSTRACT 114

〈표 2-1〉 산업 유산의 보존유형과 방법 27

〈표 3-1〉 창작 공간 운영 주체별 사례 34

〈표 3-2〉 창작 공간 사례 1 개요 35

〈표 3-3〉 창작 공간 사례 2 개요 36

〈표 3-4〉 창작 공간 사례 3 개요 37

〈표 3-5〉 창작 공간 사례 4 개요 38

〈표 3-6〉 창작 공간 사례 5 개요 39

〈표 3-7〉 창작 공간 사례 6 개요 40

〈표 3-8〉 창작 공간 사례 7 개요 41

〈표 3-9〉 창작 공간 사례 8 개요 42

〈표 3-10〉 창작 공간 사례 9 개요 43

〈표 3-11〉 창작 공간 사례 10 개요 44

〈표 3-12〉 창작 공간 사례 11 개요 45

〈표 3-13〉 창작 공간 종합 분석 46

〈표 3-14〉 분야별 예술행사 관람률 변화 추이 49

〈표 3-15〉 응답 특성별 문화예술 공간 이용률 변화추이 50

〈표 4-1〉 삼탄 아트 마인 개요 53

〈표 4-2〉 삼탄아트마인 재생 유형과 공간 활용 54

〈표 4-3〉 삼례 문화 예술촌 개요 56

〈표 4-4〉 삼례 문화 예술촌 재생 유형과 공간 활용 57

〈표 4-5〉 인천 아트 플랫폼 개요 59

〈표 4-6〉 인천 아트 플랫폼 재생 유형과 공간 활용 60

〈표 4-7〉 더 와핑 프로젝트 개요 63

〈표 4-8〉 더 와핑 프로젝트 재생 유형과 공간활용 64

〈표 4-9〉 가나자와 시민 예술촌 프로젝트 개요 66

〈표 4-10〉 가나자와 시민 예술촌 재생 유형과 공간 활용 67

〈표 4-11〉 Sugar house Studio 프로젝트 개요 70

〈표 4-12〉 Sugar house Studio 재생 유형과 공간 활용 71

〈표 4-13〉 재생 유형 종합 분석 73

〈표 4-14〉 재생 공간의 활용 종합 분석 74

〈표 5-1〉 대지 개요 75

〈표 5-2〉 공간 프로그램 88

〈표 5-3〉 건축 개요 89

〈그림 1-1〉 연구의 목적 18

〈그림 1-2〉 연구의 흐름도 19

〈그림 2-1〉 산업 유휴 시설의 유형 22

〈그림 3-1〉 창작 공간 사례 1 사진 35

〈그림 3-2〉 창작 공간 사례 2 사진 36

〈그림 3-3〉 창작 공간 사례 3 사진 37

〈그림 3-4〉 창작 공간 사례 4 사진 38

〈그림 3-5〉 창작 공간 사례 5 사진 39

〈그림 3-6〉 창작 공간 사례 6 사진 40

〈그림 3-7〉 창작 공간 사례 7 사진 41

〈그림 3-8〉 창작 공간 사례 8 사진 42

〈그림 3-9〉 창작 공간 사례 9 사진 43

〈그림 3-10〉 창작 공간 사례 10 사진 44

〈그림 3-11〉 창작 공간 사례 11 사진 45

〈그림 3-12〉 문화의 의미와 문화적 활용의 범위 48

〈그림 3-13〉 분야별 예술행사 관람률 변화 추이 49

〈그림 3-14〉 도시 규모별 문화예술 공간 이용률 변화 추이 51

〈그림 4-1〉 삼탄 아트 마인 전경 53

〈그림 4-2〉 삼탄 아트 마인 이미지 54

〈그림 4-3〉 삼례 문화 예술촌 배치도 56

〈그림 4-4〉 삼례 문화 예술촌 이미지 57

〈그림 4-5〉 인천 아트 플랫폼 전경 59

〈그림 4-6〉 인천 아트 플랫폼 이미지 61

〈그림 4-7〉 더 와핑 프로젝트 전경 63

〈그림 4-8〉 더 와핑 프로젝트 이미지 65

〈그림 4-9〉 가나자와 시민 예술촌 전경 66

〈그림 4-10〉 가나자와 시민 예술촌 이미지 68

〈그림 4-11〉 Sugar house Studio 전경 70

〈그림 4-12〉 Sugar house Studio 이미지 72

〈그림 5-1〉 위치도 75

〈그림 5-2〉 도시발전 개념도 76

〈그림 5-3〉 광역 교통 환경 분석도 77

〈그림 5-4〉 인근 교통 환경 분석도 77

〈그림 5-5〉 대지 환경 분석도 78

〈그림 5-6〉 주변 문화시설 현황도 79

〈그림 5-7〉 인구 분석 그래프 80

〈그림 5-8〉 주변 관광 자원 현황도 80

〈그림 5-9〉 주변지역 용도구분도 81

〈그림 5-10〉 나주잠사 주식회사 82

〈그림 5-11〉 2014년 대상지 현황도 83

〈그림 5-12〉 대상지 현황 분석 84

〈그림 5-13〉 대상지 이미지 85

〈그림 5-14〉 활용의 전제 86

〈그림 5-15〉 재생 개념도 87

〈그림 5-15〉 계획 개념도 87

〈그림 5-16〉 배치도 90

〈그림 5-17〉 영역 구분 90

〈그림 5-18〉 동선 계획 90

〈그림 5-19〉 외부 공간 계획 90

〈그림 5-20〉 1층 평면도 91

〈그림 5-21〉 2층 평면도 91

〈그림 5-22〉 남측 입면도 92

〈그림 5-23〉 동측 입면도 92

〈그림 5-24〉 북측 입면도 93

〈그림 5-25〉 횡 단면도 94

〈그림 5-26〉 종 단면도 94

〈그림 5-27〉 배치도 95

〈그림 5-28〉 1층 평면도 96

〈그림 5-28〉 2층 평면도 97

〈그림 5-29〉 입면도 1 98

〈그림 5-30〉 입면도 2 98

〈그림 5-31〉 입면도 3 99

〈그림 5-32〉 입면도 4 99

〈그림 5-33〉 종 단면도 100

〈그림 5-34〉 횡 단면도 100

〈그림 5-35〉 조감도 101

〈그림 5-36〉 조감도 (서측에서 바라본 모습) 101

〈그림 5-37〉 조감도 (북측에서 바라본 조감도) 102

〈그림 5-38〉 투시도 (주출입구에서 바라 투시도) 102

〈그림 5-39〉 투시도 (나주천에서 바라본 조각공원) 103

〈그림 5-40〉 투시도 (주차장에서 바라본 창작 공간) 103

〈그림 5-41〉 실내 투시도 (전시 공간) 104

〈그림 5-42〉 모형 사진 105

〈그림 5-43〉 패널 1 (size 900x1800) 106

〈그림 5-44〉 패널 2 (size 900x1800) 107

〈그림 5-45〉 전시 패널 (size 1800x1800) 108

초록보기 더보기

 도시의 팽창과 산업구조의 변화는 우리의 생활에 많은 변화를 가지고 왔다.

과거 도심의 한 가운데에서 삶의 중심에 있었던 산업시설들은 산업구조의 재편, 시설의 노후화, 도심의 지가상승, 교통의 발달로 경제성에 있어서의 경쟁력 저하 등의 이유로 도심의 외곽이나, 국외로 옮겨가게 되고, 용도가 없는 산업유휴 시설들의 처리 방법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과거 재개발이라는 명분 아래 새로운 건축에만 집중하던 방식은 산업유휴시설의 유산적 가치, 그 지역에서의 주민들의 정서, 환경에 대한 고려, 경제성 등의 이유로 산업 유휴시설의 재활용에 대한 계획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지역의 특수성과 필요성에 의해 생겨난 산업시설들은 그 자체로 지역민들에게 기억과 이야기의 요소가 되며, 외지인에게는 그 지역의 역사와 특성을 알릴 수 있는 문화, 관광요소로서의 역할이 가능하다. 따라서 지역 산업 유휴시설들의 재생은 지역성과 지역주민들과의 사회성, 지역 경제 활성화의 관점에서 이해하고 접근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과거 지역경제의 한 축을 담당했던 산업 유휴 시설을 활용하여 과거의 기억을 담고 있으면서, 주민들이 참여하고, 향유 할 수 있는 창작/문화공간 계획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산업유휴시설의 의미와 발생원인, 유형들에 대하여 조사, 분석하였다. 또한 산업 유휴시설들의 산업 유산으로서의 가치를 연구하고, 그 가치를 유지, 보존하기 위한 개발 방식에 대하여 조사, 분석하였다.

창작 공간의 의미와 국립·공립·사립으로 구분 되어지는 창작 스튜디오들에 대한 공간 프로그램을 조사였고, 이를 분석하여 소결하였다.

또한, 국민들의 문화예술 공간 이용률과 분야별 예술행사 관람률을 조사·분석하여 공간 프로그램의 기본 데이터와 방향을 계획하는데 사용하였다.

산업유휴시설을 재생하여 지역 사회 활성화와 지역민의 삶의 질 향상을 가져온 국내·외 문화공간들의 사례들을 조사하고 분석하여 소결에 기술하였다.

이러한 자료들을 기초로 하여 주민들이 향유하면서 미래 가치를 가지고 있는 창작·문화 공간 계획안을 제시하는데, 나주 원도심 중심지에 공가로 남아 있는 나주잠사 주식회사를 대상지로 하였다.

앞으로 산업 유휴 시설의 재생계획에 있어서 지역성과 사회성을 고려하면서 지역 경제의 활성화가 이루어질 수 있는 계획과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어지길 기대한다.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