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0
학위논문 1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0)
일반도서 (0)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1)
학위논문 (1)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논문명/저자명
고려시대 청자화분 연구 / 김소영 인기도
발행사항
서울 : 홍익대학교 대학원, 2015.2
청구기호
TM 709.51 -15-1
형태사항
ii, 131 p. ; 26 cm
자료실
전자자료
제어번호
KDMT1201507042
주기사항
학위논문(석사) -- 홍익대학교 대학원, 미술사학과 한국미술사전공, 2015.2. 지도교수: 한정희, 전승창
원문
미리보기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國文抄錄

목차

I. 머리말 8

II. 청자화분의 조형계통과 제작배경 11

1. 조형의 원류(源流) 11

1) 화분의 연원(淵源) 11

2) 고려시대 문헌기록을 통해 본 화분 17

3) 도기와의 연관성 21

2. 청자화분의 제작배경 26

1) 고려 지배층의 화훼 애호(愛好) 취미 26

2) 성리학적 문인 취향의 형성 30

3) 송대 화보(花譜)의 제작과 전파 36

III. 유적출토 청자화분과 소비자(消費者) 분석 42

1. 제작지 출토 청자화분 44

1) 강진 지역 44

2) 부안 지역 47

3) 지방요 51

2. 소비지와 청자화분 53

1) 왕실관련 유적 53

2) 사찰유적 56

3) 기타유적 58

3. 운송로에서 출토된 청자화분 59

4. 소비자에 따른 질의 차이 62

IV. 청자화분의 조형과 변화양상 64

1. 기형 65

1) 원통형 65

2) 항아리형 67

3) 하중형(下重形) 70

4) 발형(鉢形) 화분 71

2. 문양 72

1) 주문양 73

2) 최상부 보조문양 80

3) 상부 보조문양 82

4) 하단부 보조문양 87

3. 장식 89

1) 돌대 89

2) 이중 방형틀 93

4. 화분대 95

5. 청자화분의 제작시기와 변화양상 100

1) 제1기 : 12세기 초 ~ 12세기 4/4분기 100

2) 제2기 : 13세기 초 ~ 13세기 3/4분기 101

3) 3시기 : 13세기 4/4분기 ~ 14세기 4/4분기 102

V. 맺음말 103

參考文獻 107

附錄 : 기형에 따른 청자화분의 시기별 변화양상 137

Abstract 138

표 1. 고려시대 문헌기록에 나오는 화분의 명칭 17

표 2. 도기화분과 도기시루의 비교 22

표 3. 청자화분의 제작방식과 장식 24

표 4. 청자에 표현된 분재문 47

표 5. 용인 보정리 요지 출토 청자화분의 형식 분류 52

표 6. 진도 용장성 출토 청자화분 56

표 7. 강화도 관청리 출토 청자화분 59

표 8. 태안 마도1호선 출토 청자화분의 형식 분류 61

표 9. 원통형 청자화분 66

표 10. 항아리형 청자화분의 최소 동폭지점(A형, B형) 67

표 11. 항아리형 청자화분 69

표 12. 하중형 청자화분 70

표 13. 발형 청자화분 71

표 14. 청자화분의 문양 시문 위치 72

표 15. 청자화분에 나타난 모란문의 표현 73

표 16. 청자화분에 나타난 국화문의 표현 75

표 17. 청자화분에 다양한 기법으로 표현된 연화문 76

표 18. 부안 유천리 제작 청자퇴화화분 77

표 19. 미술품에 다양하게 표현된 귀갑문 80

표 20. 청자화분에 나타난 뇌문의 표현 81

표 21. 청자화분에 표현된 운학문의 시기별 변천양상 82

표 22. 연화당초문의 비교 85

표 23. 청자화분의 보조문양으로 등장하는 연판문 87

표 24. 청자화분에 나타난 돌대와 이중 방형틀 89

표 25. 청자에 나타난 돌대문 91

표 26. 청자에 보이는 방형틀 94

표 27. 다양한 형태의 청자 기대 97

도 1. 하북성 망도 벽화, 후한 124

도 2. 장회태자 묘 벽화, 706년 124

도 3. 〈자홍유능화화분〉, 북송, 균요 124

도 4. 〈청자화분〉, 송, 가요 124

도 5. 〈천청유타원형수선분〉 125

도 6. 〈사두형화분〉, 남송 125

도 7. 〈청자화분〉, 원, 용천요 125

도 8. 작자미상, 〈감서도〉, 송 125

도 9. 작자미상, 〈십팔학사도〉, 송 126

도 10. 〈부여 석조〉, 보물 제194호 126

도 11. 유송년, 〈금서악지도〉, 남송 126

도 12. 〈청자화분편〉 126

도 13. 〈청자양각연판문화분편〉 127

도 14. 〈청자상감모란문화분편〉 127

도 15. 〈청자화분편〉 127

도 16. 〈청자음각연판문화분편〉 127

도 17. 〈청자화분편〉 128

도 18. 〈청자소태화분〉 128

도 19. 〈삼채화분문배게〉, 송 128

도 20. 〈청자상감화문화분초벌편〉 128

도 21. 〈청자상감화분편〉 129

도 22. 〈청자음각연화문화분〉 129

도 23. 〈청자상감모란국충문화분편〉 129

도 24. 〈청자상감동화모란운학문화분편〉 129

도 25. 〈청자상감동화모란문편〉 130

도 26. 〈청자화분편〉 130

도 27. 〈청자화분편〉 130

도 28. 〈청자화분편〉 130

도 29. 〈청자화분편〉 131

도 30. 〈청자화분〉 131

도 31. 〈청자화분〉 131

도 32. 〈청자상감국류문병〉, 고려 14세기 131

도 33. 〈청자철화초문화형항아리〉 132

도 34. 〈청자철화초화문반구병〉 132

도 35. 〈자홍유화분〉, 북송, 균요 132

도 36. 〈청자모란국화문화분편〉, 고려 14세기 132

도 37. 〈청자상감운학유문화분편〉, 고려 14세기 133

도 38. 〈청자상감용봉모란문개합〉, 국보 제220호 133

도 39. 〈청자상감운학문「임신」명 고족배 133

도 40. 〈도기대호〉, 고려 11~12세기 133

도 41. 〈청자표형병〉, 고려 134

도 42. 〈청자음각연화절지문퇴주기〉, 고려 12세기 134

도 43. 〈청자상감매국문화분편〉 134

도 44. 〈청자상감국화문화분편〉 134

도 45. 〈청자상감화분〉, 15세기 135

도 46. 〈청자상감화분〉 135

도 47. 〈옹기〉, 일제강점기 135

도 48. 〈벽화〉 135

도 49. 〈청자투각퇴화접문기대〉, 고려 136

도 50. 〈청자첩화도철문기대편〉, 고려 136

도 51. 〈자홍유분탁〉, 북송, 균요 136

삽도 1. 〈녹유화분〉 12

삽도 2. 〈두꺼비·토끼문 수막새〉, 통일신라 14

삽도 3. 〈도기화분〉, 고려 22

삽도 4. 삽도 3의 바닥면 22

삽도 5. 〈도기시루〉, 고려 22

삽도 6. 삽도 5의 바닥면 22

삽도 7. 〈청자화분〉, 고려 24

삽도 8. 삽도 7의 내면 24

삽도 9. 〈청자화분〉, 고려 13세기 24

삽도 10. 삽도 7의 외면 24

삽도 11. 〈청자화분〉, 고려 24

삽도 12. 〈청자상감운학문화분〉, 보물 제1030호, 고려 12세기 24

삽도 13. 〈청자상감국모란문화분〉, 고려 13세기 24

삽도 14. 유적출토 청자화분 분포도 43

삽도 15. 〈청자화분편〉, 고려 44

삽도 16. 〈청자상감화분편〉, 고려 45

삽도 17. 〈청자상감국화문화분편〉, 고려 47

삽도 18. 〈청자상감유학연화유어문편호〉, 고려 13세기 47

삽도 19. 〈청자상감모란문호〉, 고려 13세기 47

삽도 20. 〈청자상감국화문합〉, 고려 13세기 47

삽도 21. 삽도 7과 동일 52

삽도 22. 〈청자화분편〉, 고려 52

삽도 23. 삽도 22의 바닥면 52

삽도 24. 〈청자화분편〉, 고려 52

삽도 25. 〈청자화분편〉, 고려 52

삽도 26. 〈청자화분편〉, 고려 52

삽도 27. 〈청자상감국화문화분편〉, 고려 13세기 56

삽도 28. 〈청자상감국모란문화분편〉, 고려 13세기 56

삽도 29. 삽도 27의 문양(세부) 56

삽도 30. 삽도 27의 문양(세부) 56

삽도 31. 삽도 27의 문양(세부) 56

삽도 32. 삽도 28의 문양(세부) 56

삽도 33. 삽도 9와 동일 59

삽도 34. 〈청자화분편〉, 고려 13세기 59

삽도 35. 삽도 34의 문양(세부) 59

삽도 36. 삽도 34의 문양(세부) 59

삽도 37. 〈청자화분편〉, 고려 13세기 초 61

삽도 38. 〈청자철화초문화분〉, 고려 13세기 초 61

삽도 39. 삽도38의 바닥면 61

삽도 40. 〈청자화형화분〉, 고려 13세기 초 61

삽도 41. 삽도 40의 바닥면. 61

삽도 42. 〈청자발형화분〉, 고려 13세기 초 61

삽도 43. 삽도 42의 바닥면 61

삽도 44. 〈청자음각연화문화분〉, 고려 12세기 66

삽도 45. 〈청자음각버들가지문화분〉, 고려 12세기 66

삽도 46. 〈청자상감모란운봉문화분〉, 고려 14세기 66

삽도 47. 〈청자압인양각연당초문화분〉, 고려 13세기 66

삽도 48. 〈청자상감연당초귀갑문화분〉, 고려 14세기 66

삽도 49. 〈청자상감모란국화문화분〉, 고려 14세기 66

삽도 50. 삽도 12와 동일 66

삽도 51. 삽도 13과 동일 66

삽도 52. 〈청자상감모란국화문화분〉, 고려 14세기 66

삽도 53. 〈청자상감국모란문화분〉, 고려 14세기 67

삽도 54. 〈청자상감동채모란문화분〉, 고려 13세기 69

삽도 55. 〈청자상감동채모란봉문화분〉, 고려 13세기 69

삽도 56. 〈청자상감모란국화문화분〉, 고려 13세기 69

삽도 57. 〈청자퇴화연화문화분〉, 고려 13세기 69

삽도 58. 삽도 38과 동일 69

삽도 59. 〈청자상감동채모란문화분〉, 고려 13세기 69

삽도 60. 〈청자음각연판문화분〉, 고려 69

삽도 61. 삽도 40과 동일 69

삽도 62. 〈청자퇴화당초문화분〉, 고려 13세기 69

삽도 63. 〈청자화분〉, 고려 70

삽도 64. 삽도 11과 동일 70

삽도 65. 삽도 42와 동일 71

삽도 66. 삽도 42와 동일 71

삽도 67. 삽도 13의 문양(세부) 73

삽도 68. 삽도 55의 문양(세부) 73

삽도 69. 〈청자상감동화모란운학문화분편〉, 고려 73

삽도 70. 〈청자상감모란국충문화분편〉, 고려 75

삽도 71. 삽도 56의 문양(세부) 75

삽도 72. 삽도 53의 문양(세부) 75

삽도 73. 삽도 44의 문양(세부) 76

삽도 74. 삽도 47의 문양(세부) 76

삽도 75. 삽도 57의 문양(세부) 76

삽도 76. 〈청자백니철화문발〉, 고려13~14세기 77

삽도 77. 삽도 57과 동일 77

삽도 78. 삽도 12의 문양(세부) 79

삽도 79. 삽도 48의 문양(세부) 80

삽도 80. 〈청자귀형수병〉, 국보 제96호, 고려 12세기 80

삽도 81. 〈청자상감투각귀갑문화장상자〉 80

삽도 82. 작자미상, 〈수월관음도〉, 고려후기, 비단에 색 80

삽도 83. 삽도 44의 문양(도면) 81

삽도 84. 삽도 46의 문양(도면) 81

삽도 85. 삽도 48의 문양(도면) 81

삽도 86. 삽도 56의 문양 82

삽도 87. 삽도 54의 문양 82

삽도 88. 〈청자상감운학유문화분편〉, 고려 14세기 82

삽도 89. 삽도 46의 문양 84

삽도 90. 삽도 52의 문양 85

삽도 91. 삽도 48의 문양 85

삽도 92. 삽도 19와 동일 85

삽도 93. 〈청자상감용봉모란문개합〉, 국보 220호, 고려 85

삽도 94. 삽도 13의 도면 87

삽도 95. 삽도 57의 문양 87

삽도 96. 삽도 55의 문양 87

삽도 97. 삽도 46의 문양 87

삽도 98. 〈청자화분〉, 고려 87

삽도 99. 삽도 48의 문양 87

삽도 100. 삽도 55의 도면 89

삽도 101. 삽도 59의 도면 89

삽도 102. 삽도 56의 도면 89

삽도 103. 〈청자도철문방정형향로〉, 고려 12~13세기 91

삽도 104. 〈청자도철문원정형향로〉, 고려 12~13세기 91

삽도 105. 〈청자인화국화문대발〉, 고려 91

삽도 106. 〈청자상감국화문팔각접시〉, 고려 14세기 후반 94

삽도 107. 〈청자상감동화모란문도판〉, 고려 12~13세기 94

삽도 108. 〈청자상감와옥인물문편호〉, 고려 94

삽도 109. 〈청자투각기대〉, 고려 13세기 초 97

삽도 110. 삽도 109의 부감 97

삽도 111. 〈청자투각기대〉, 고려 12세기 97

삽도 112. 삽도 111의 바닥면 97

삽도 113. 〈청자기대〉, 고려 97

삽도 114. 삽도 113의 바닥면 97

삽도 115. 〈청자투각기대편〉, 고려 12세기 97

삽도 116. 〈청자상감국화당초문기대편〉, 고려 97

삽도 117. 〈청자투각연판문기대〉, 고려 13세기 97

초록보기 더보기

 본 연구는 고려시대 청자화분에 관한 연구로서 청자화분의 조형적 원류(源流)와 제작배경, 출토 유물의 분석, 조형적 특징, 제작시기와 선후관계를 살펴보는 종합적인 고찰을 목적으로 하였다.

화분의 연원은 중국 전한(前漢)시대로 파악된다. 반면 우리나라는 삼국시대부터 분재(盆栽)가 행해졌으며 이에 따른 화분의 제작과 사용이 이루어졌을 것으로 생각된다. 이는 통일신라시대 유물에 나타나는 화분의 형상, 삼국시대 왕실을 중심으로 존재했던 화훼 애호취미, 중국 당(唐)과의 교류에 근거하였다.

고려시대 청자화분의 조형적 원류를 파악하기 위해 고려시대 문헌기록을 검토하였다. 그 결과, 화분의 재질과 색깔에 따라 다양한 명칭이 사용되고 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도기(陶器)화분은 개성 고려궁성에서 발견된 사례가 있어 문헌기록에 나타난 '와분(瓦盆)'의 존재를 입증해준다. 그러나 발견된 도기화분은 완형(完形)이 아니기 때문에 청자화분과 조형적인 영향관계를 논하기 어렵다. 다만 청자화분의 제작방식과 장식에서 도기적인 요소가 확인되어 도기화분과 조형적인 연관성이 있었을 것으로 추정하였다.

고려시대 문헌기록을 바탕으로 청자화분이 제작된 배경을 살펴보았다. 첫째, 삼국시대부터 시작된 왕실과 귀족들의 화훼 애호취미가 고려시대에도 계속 이어졌다는 점이다. 둘째, 고려 말 성리학적 소양을 갖춘 문인(文人)들은 군자(君子)의 품성을 지닌 화훼를 화분에 심어 숭상(崇尙)·완상(玩賞)하였다는 점이다. 이후에는 자신의 개인공간을 장식하는 소품 중 하나로 화분을 채택했을 것으로 추정하였다. 셋째, 송대(宋代) 문인들이 간행한 화보(花譜)의 영향이다. 고려에 유입된 화보는 분재문화를 발달시키고 화분의 제작을 촉진시켰을 것으로 생각된다.

유적에서 출토된 청자화분을 분석한 결과, 양질(良質)과 조질(粗質)이 공존했음을 확인하였다. 청자화분의 소비지(消費地)는 파주 혜음원지, 진도 용장성, 익산 미륵사지, 서산 보원사지, 강화 관청리 유적이 있으며, 운송로에서는 태안 마도1호선에서 발견되었다.

발굴 자료와 전세품(傳世品)의 분석을 통해 청자화분의 기형과 문양을 나누었다. 기형은 기벽선의 흐름 또는 형태에 따라 원통형(圓筒形), 항아리형(缸形), 하중형(下重形), 발형(鉢形)으로 분류하였다. 중심문양으로 모란과 국화의 시문비율이 높아 화훼를 심어 가꾸는 기물(器物)인 화분의 특성에 맞게 문양이 선택·적용되었을 것으로 판단하였다. 청자의 장식인 돌대(突帶)는 문양대의 구획과 운반의 용이함을 동시에 지닌 것으로 추정하였다. 또한 이중(二重)방형(方形) 틀은 장식적인 목적을 가진 것으로 추정하였으며, 고려시대 사찰이나 건물의 외벽에 등장하는 액자형 구도의 그림을 본떠 청자화분의 장식으로 사용했을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발굴 자료와 전세품을 바탕으로 현전(現傳)하는 기대(器臺)를 총 6식(式)으로 나누었다. 청자화분의 바닥지름과 기대의 입지름을 비교하여 청자화분을 올려놓았을 것으로 추정되는 기대를 선별하였다. 아울러 화분대에 화분을 배치하는 이유에 대해 장식성을 강조하기 위한 목적 혹은『양화소록(養花小錄)』의 내용을 근거로 꽃나무가 작은 경우 화분대에 올려두었던 것으로 판단하였다.

이상의 내용을 종합하여 청자화분의 제작시기와 선후관계를 제시해 보았다. 1기는 12세기 초에서 12세기 4/4분기로 기존에 도기로 제작되던 화분이 청자로도 제작되기 시작한 시기이다. 2기는 13세기 초에서 13세기 3/4분기로 청자화분의 기형과 문양, 장식이 다양해지는 시기이다. 3기는 13세기 4/4분기에서 14세기 4/4분기로 중국 원대(元代) 자기의 영향으로 청자화분에 새로운 문양 소재가 나타나는 동시에 문양은 간략화·도식화의 경향이 짙어진다. 또한 돌대와 이중 방형틀은 함께 등장하며 정형화된다.

본 논문은 그동안 심도 있는 연구가 진행되지 않았던 청자화분에 대한 총체적인 이해를 넓혔다. 특히 청자화분의 조형적 원류를 동시기 제작된 도기화분으로 추정하고, 제작시기와 선후관계를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