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0
학위논문 1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0)
일반도서 (0)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1)
학위논문 (1)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논문명/저자명
사회복지의 가치·조직·동료 적합성이 사회복지사의 감성노동에 미치는 영향 = (The)effect of individual fits with social welfare value, organization, and peer on social worker's emotional labor / 신중환 인기도
발행사항
서울 :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15.2
청구기호
TD 361 -15-169
형태사항
vii, 109 p. ; 30 cm
자료실
전자자료
제어번호
KDMT1201514299
주기사항
학위논문(박사) --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사회복지학과 사회복지학전공, 2015.2. 지도교수: 김정우
원문
미리보기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목차

논문요약 8

I. 서론 11

1. 연구 배경 및 연구 목적 11

2. 연구 문제 16

3. 연구방법 18

4. 논문 구성 18

II. 이론적 고찰 20

1. 사회복지사의 감성노동 20

1) 감성노동의 정의 20

2) 감성노동 관리행위의 유형과 효과 24

3) 감성노동 관리행위의 선행변수 27

2. 개인과 환경 간의 적합성 이론 32

1) 적합성의 의의 32

2) 적합성의 관점 34

3) 적합성의 유형 37

3. 적합성이 감성노동 관리행위에 미치는 영향 40

1) 사회복지 가치적합성이 감성노동 관리행위에 미치는 영향 40

(1) 사회복지 가치적합성의 정의 40

(2) 사회복지 가치적합성과 감성노동 관리행위 간의 관계 42

2) 개인-조직 간의 적합성이 감성노동 관리행위에 미치는 영향과 조절효과 45

(1) 개인-조직 간의 적합성의 정의 45

(2) 개인-조직 간의 적합성과 감성노동 관리행위 간의 관계 46

3) 개인-동료 간의 적합성이 감성노동 관리행위에 미치는 영향과 조절효과 53

(1) 개인-동료 간의 적합성의 정의 53

(2) 개인-동료 간의 적합성과 감성노동 관리행위 간의 관계 54

III. 연구 방법 57

1. 연구모형 57

2. 자료수집과 표본의 구성 58

1) 자료수집방법 58

2) 표본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58

3. 주요 변수의 측정 60

1) 독립 및 조절변수 - 적합성 60

(1) 사회복지 가치적합성 61

(2) 개인-조직 간의 적합성 62

(3) 개인-동료 간의 적합성 63

2) 종속변수 - 감성노동 66

3) 사회적 바람직성 변수 68

4) 통제 변수 68

4. 자료분석방법 71

IV. 분석 결과 72

1. 변수들의 일반적 특성 및 상관관계 72

1) 변수들의 일반적 특성 72

2) 변수 간의 상관관계분석 77

2. 가설의 검증 80

V. 결론 91

1. 분석결과의 요약 91

2. 연구의 함의 95

3. 연구의 한계 및 미래 연구방향 98

참고문헌 102

연구협조문 109

설문참여 동의서 110

설문지 111

ABSTRACTS 117

〈표 1〉 인구사회학적 특성 59

〈표 2〉 적합성의 신뢰성 검정 결과 64

〈표 3〉 사회복지 가치·조직·동료적합성 문항에 대한 요인분석 결과 65

〈표 4〉 감성노동 관리행위의 신뢰성 검정 결과 67

〈표 5〉 감성 노동 관리행위 문항에 대한 요인분석 결과 67

〈표 6〉 통제변수의 측정방법 70

〈표 7〉 사회복지 가치적합성·조직적합성·동료적 합성의 경향 73

〈표 8〉 사회복지사가 추구하는 개인가치의 경향 74

〈표 9〉 사회복지사가 지각하는 조직가치의 경향 75

〈표 10〉 감성노동 관리행위의 경향 76

〈표 11〉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감성노동 관리행위의 경향 77

〈표 12〉 변수들의 평균, 표준편차 및 변수들 간의 상관관계 79

〈표 13〉 표면행위에 대한 사회복지 가치·조직·동료적합성의 조절회귀분석결과 81

〈표 14〉 내면행위에 대한 사회복지 가치·조직·동료적합성의 조절회귀분석결과 86

〈표 15〉 연구가설의 채택여부 90

[그림 1] 연구 모형 57

[그림 2] 가치적합성과 조직적합성에 대한 인식이 표면행위에 미치는 영향 83

[그림 3] 가치적합성과 동료적합성에 대한 인식이 표면행위에 미치는 영향 84

[그림 4] 가치적합성과 조직적합성에 대한 인식이 내면행위에 미치는 영향 88

[그림 5] 가치적합성과 동료적합성에 대한 인식이 내면행위에 미치는 영향 88

초록보기 더보기

 본 연구는 사회복지사가 클라이언트에게 복지서비스를 전달하는 과정에서 수행하는 감성노동의 효과를 제고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기 위하여 감성노동에 영향을 미치는 선행요인을 탐색하고자 한다. 최근에 사회복지분야에서 이루어진 감성노동 연구는 감성노동을 관리방식에 따라 표면행위와 내면행위로 구분하고 각각의 효과성을 측정하였는데, 그 결과에 의하면 감성노동의 효과는 표면행위에서 내면행위로 발전하면서 개선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사회복지사가 복지서비스를 전달하는 과정에서 그들의 표면행위를 감소·철회시키면서 내면행위를 유발·증가시키도록 영향을 미치는 선행요인을 밝혀보고자 한다.

감성노동이 이루어지는 전반적인 프로세스를 다룬 기존의 연구들은 감성노동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감정부조화나 감정소진을 일으키는 영향요인을 밝히고자 감성노동의 특성을 계량화·수치화시킨 변수를 고려한 바 있다. 그러나 이러한 변수들과 감성노동 관리행위 간의 상관관계는 연구마다 일관성 있게 나타나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사회복지사의 내면적·정서적인 측면에서 영향을 미치는 변수를 고려하며, 특히 사회복지분야에서 보다 중요한 변수를 고려하고자 한다.

사회복지사는 복지서비스를 전달하는 과정에서 사회복지에 관한 전문적 지식을 활용해야 하지만, 사회복지분야는 다양한 윤리적 문제가 발생하기 때문에 자신의 전문성 못지않게 사회복지의 직업적·철학적 가치와 종교적 미션, 윤리의식 등이 필요하다. 사회복지사와 클라이언트 간의 관계가 일반 서비스 제공자와 구매자 간의 관계와 다르게 장기적이고 반복적으로 이루어지며, 심층적인 개입을 통해서 이루어진다는 점에서 클라이언트와의 내면적 신뢰를 쌓기 위해서는 사회복지사 개인의 가치를 사회복지에서 추구하는 가치와 일치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특히 가치는 개인의 심리적·정서적 태도와 행동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클라이언트를 대상으로 올바른 복지서비스를 전달하기 위해서는 자신이 추구하는 가치와 사회복지에서 추구하는 가치를 조화시키도록 노력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사회복지분야에서 중요하다고 판단되는 '가치'를 선행변수로 고려하였으며, 사회복지 가치가 사회복지사의 감성노동 관리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 대하여 개인과 환경 간의 적합성이론을 토대로 가설을 설정하였다. 즉, 사회복지사가 자신의 가치패턴과 사회복지의 가치패턴 간의 적합성을 인식할수록 그들의 표면행위가 낮아지고 내면행위가 높아질 것이라는 가설을 설정하였다. 그리고 사회복지사가 자신의 목표·가치·성격과 자신이 소속된 복지기관의 목표·가치·특성이 적합하다고 인식할수록 그들의 표면행위가 낮아지고 내면행위가 높아질 것이라는 가설을 설정하였으며, 나아가 자신의 목표·철학·가치가 기관 내에서 함께 업무를 수행하는 동료들이 갖고 있는 복지에 대한 목표·철학·가치와 적합하다고 인식할수록 표면행위가 낮아지고 내면행위가 높아질 것이라는 가설을 설정하였다.

나아가 자신의 가치패턴과 사회복지의 가치패턴 간의 적합성을 인식하고 있는 사회복지사가 복지기관에서 추구하는 목표·가치·철학과 적합성을 동시에 인식하거나, 기관 내에서 함께 업무를 수행하는 동료의 목표·가치·철학과 적합성을 동시에 인식하는 경우에는 표면행위를 더욱 낮추고 보다 높은 내면행위를 수행하게 될 것이다. 이러한 논의를 통해서 사회복지 가치적합성이 감성노동 관리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사회복지사가 인식하는 조직적합성과 동료적합성이 사회복지 가치적합성의 효과를 제고(조절)시킬 것이라는 가설을 설정하였다.

실증분석 결과에 의하면 사회복지사가 사회복지 가치적합성을 인식할수록, 자신이 소속된 복지기관에 대하여 조직적합성을 인식할수록, 그리고 함께 근무하는 동료에 대하여 적합성을 인식할수록, 표면행위가 낮아지고 내면행위가 높아졌다. 또한 사회복지 가치적합성이 사회복지사의 감성노동 관리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조직적합성과 동료적합성을 인식할수록 그 영향이 보다 제고되는지를 살펴본 결과에 의하면, 사회복지 가치적합성과 조직적합성을 동시에 인식할수록 표면행위는 더욱 낮고 내면행위는 더욱 높아졌으며, 사회복지 가치적합성과 동료적합성을 동시에 인식할수록 마찬가지로 표면행위는 더욱 낮고 내면행위는 더욱 높아졌다. 그러나 이는 각 적합성 변수의 주효과(main effects)에 의한 것이며, 조절효과(moderating effects)의 측면에서 보면 사회복지 가치적합성이 사회복지사의 내면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조직적합성의 조절효과만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감성노동의 연구에서 감성노동 관리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선행변수를 고려한 연구가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으며, 개인과 환경 간의 적합성연구에서 감성노동을 포함시킨 연구가 없는 시점에서 이루어졌다는 측면에서 학문적으로 함의를 지닌다. 그리고 사회복지분야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져야 할 가치에 대하여 새롭게 환기시키는 연구로서 실천적으로 의미가 있다. 그러나 사회복지분야에서 가치적합성을 측정하는 도구가 마련되어 있지 않았기 때문에 측정의 타당성 문제가 여전히 남아있으며, 양적 연구로 진행되었기 때문에 사회복지 가치적합성, 조직적합성, 동료적합성의 질적인 측면을 면밀히 살펴보는 데에는 한계가 존재하였다. 또한 조직적합성과 동료적합성의 조절효과에 대한 가설이 일부만 채택된 것에 대하여 향후의 연구를 통해서 재검증이 이루어져야 할 부분이 남아있다.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