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목차

I. 서론 11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1

1.2. 연구목적 13

1.3. 연구문제 13

II. 이론적 배경 14

2.1. 초등영어의 말하기 교육 14

2.1.1. 초등영어에서의 말하기의 중요성 14

2.1.2. 말하기 능력의 평가요소 15

2.2. 의미단위와 영어 말하기 교육 17

2.2.1. 의미단위의 유형 18

2.2.2. 의미단위 중 연어의 유형 20

2.2.3. 의미단위 교육의 중요성 21

2.3. 다시 이야기하기(Retelling)활동 23

2.3.1. 다시 이야기하기 활동(Retelling)의 개념 24

2.3.2. 다시 이야기하기 활동의 교육적 효과 26

2.3.3. 다시 이야기하기 활동 수업모형 27

2.4. 선행연구 29

2.4.1. 다시 이야기하기 활동에 대한 연구 29

2.4.2. 의미단위와 관련된 선행연구 30

III. 연구 방법 32

3.1. 연구대상 32

3.2. 연구 절차 33

3.3. 연구 설계 33

3.4. 평가 도구 35

3.4.1. 영어말하기 능력 평가 35

3.4.2. 정의적 영역 평가 37

3.4.2. 사전·사후 정의적 영역 검사지 38

3.4.3. 자료 분석 및 처리 방법 38

3.5. 연구내용 39

3.5.1. 스토리 북 선정 39

3.5.2. 스토리별 지도 연어목록 40

3.5.3. 스토리 별 연어 활동 유형 41

3.6. 다시 이야기하기 활동 수업모형 46

3.6.1. 다시 이야기하기 활동 수업모형 개발 47

3.6.2. 다시 이야기하기 활동 세부 활동 54

3.7. 학습 지도 계획 54

3.7.1. 각 집단 별 학습 지도안 55

IV. 결과분석 및 논의 59

4.1. 기술통계 59

4.2. 말하기 능력의 평가결과 61

4.2.1. 집단 간의 사전 동질성 검증 61

4.2.2. 집단별 사전·사후 차이 검증 62

4.2.3. 집단 간 사후평가 차이 검증 63

4.3. 정의적 영역의 평가결과 64

4.3.1. 정의적 영역의 기술통계 분석 64

4.3.2. 정의적 영역의 사전 동질성 검증 65

4.3.3. 집단별 사전·사후 차이 검증 66

4.3.4. 집단 간 사후평가 차이 검증 68

4.4. 논의 71

V. 결론 74

5.1. 결론 74

5.2. 제언 75

참고문헌 77

부록 10

〈부록1〉 말하기능력 사전·사후 평가지 84

〈부록2〉 정의적 영역 검사지 88

〈부록3〉 다시 이야기하기 카드 90

〈부록4〉 Five finger retelling 94

〈부록5〉 Story stars 95

〈부록6〉 Group retelling game 96

국문초록 97

ABSTRACT 99

표목차

〈표1〉 Benson, Benson, & Ilson(1997)의 어휘적 문법적 연어유형 21

〈표2〉 Reutzel 와 Cooter(1999) 의 이야기 맵 다시 이야기하기 활동 28

〈표3〉 오혜존(2011)의 Retelling 수업모형 29

〈표4〉 연구 대상자의 구성 32

〈표5〉 실험 집단 별 학습 활동 계획 안 34

〈표6〉 말하기 능력 평가 루브릭 36

〈표7〉 차시별 영어 스토리 북 목록 40

〈표8〉 스토리별 지도 연어목록 41

〈표9〉 스토리 별 연어 활동 유형 42

〈표10〉 다시 이야기하기 활동 수업 모형 48

〈표11〉 단계별 활동 내용-실험집단A 48

〈표12〉 단계별 활동 내용-실험집단B 52

〈표13〉 단계별 활동 내용-통제집단 53

〈표14〉 다시 이야기하기 세부 활동 54

〈표15〉 실험집단 A 2차시 교수-학습 지도안의 예 (2차시) 55

〈표16〉 실험집단 B 2차시 교수-학습 지도안의 예 (2차시) 56

〈표17〉 통제집단 3차시 교수-학습 지도안의 예 (3차시) 57

〈표18〉 말하기 능력의 기술통계 결과 60

〈표19〉 말하기 능력의 동질성 검증 61

〈표20〉 말하기 능력의 집단별 사전사후 평가결과 비교분석 63

〈표21〉 말하기 능력의 집단별 사후평가 비교 64

〈표22〉 정의영역의 기술통계 결과 65

〈표23〉 정의적 영역의 동질성 검증 66

〈표24〉 정의영역의 집단별 사전사후 평가결과 비교분석 68

〈표25〉 정의영역의 집단별 사후평가 비교 69

그림목차

〈그림1〉 연어인식 43

〈그림2〉 연어 스파게티 44

〈그림3〉 Spy Code 44

〈그림4〉 메모리 게임 45

〈그림5〉 연어 쌍 찾기 45

초록보기

 본 연구는 의미단위기반 다시 이야기하기 활동이 초등 1학년 학생들의 영어 말하기 능력에 미치는 효과와 정의적 영역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시 송파구 소재의 A어학원의 초등 1학년 학생 45명을 대상으로 동일한 3개의 반을 구성하고 첫 번째 실험집단 A는 의미단위기반의 다시 이야기 수업을 진행 하였고, 실험집단 B는 다시 이야기하기 수업을, 통제집단은 의사소통 수업모형을 따르는 스토리 북 말하기 수업을 진행 하였다.

이상과 같은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의미단위기반 다시 이야기하기 활동이 전체적으로 영어 말하기 수업은 말하기 능력향상에 효과적이었으며, 특히 유창성 향상의 효과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의미단위기반 다시 이야기하기 활동이 다른 지도방법보다 학습자의 말하기 유창성 능력향상에 효과적 지도방법이라는 것을 입증하고 있다.

둘째, 의미단위기반 다시 이야기하기 활동은 영어 학습에 대한 흥미도와 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의미단위기반 다시 이야기하기 수업에서 실시한 의미단위기반 어휘 활동 및 게임 등의 지도방법이 학생들에게 흥미를 자극하여 영어 학습 태도에 긍정적 영향을 가져왔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상과 같은 연구 결과를 종합하면, 의미단위기반 다시 이야기하기 활동은 초등학생들의 영어 말하기 능력향상에 매우 효과적인 교수방법일 뿐만 아니라 학생들의 흥미와 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지도방법이라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다른 활동에서도 의미단위기반의 어휘학습을 적용 할 수 있는 구체적인 수업 모형을 기대해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