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0
학위논문 1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0)
일반도서 (0)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1)
학위논문 (1)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논문명/저자명
한국 기업 대중국 투자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 (A)study on the determinants of investment for Korea enterprises in China / 관차오 인기도
발행사항
용인 : 단국대학교 대학원, 2015.2
청구기호
TM 382 -15-93
형태사항
vi, 45 p. ; 30 cm
자료실
전자자료
제어번호
KDMT1201521813
주기사항
학위논문(석사) -- 단국대학교 대학원, 무역학과 무역경영전공, 2015.2. 지도교수: 김세영
원문
미리보기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국문초록

목차

I. 서론 10

1. 연구의 배경과 목적 10

2. 연구방법과 논문의 구성 11

3. 선행 연구 11

II. 한국 해외직접투자(FDI) 현황 14

1. 최근 한국의 FDI 유출 분석 14

1) 연도별 FDI 동향 14

2) 지역별 한국의 FDI 동향 16

3) 국가별 FDI 동향 18

4) 업종별 FDI 동향 19

5) 기업규모별 FDI 동향 21

2. 한국의 산업별 해외직접투자(FDI) 23

1) 전자산업 23

2) 반도체산업 24

III. 한국기업의 대중국 투자에 관한 현황 고찰 26

1. 한국기업의 대중국 투자의 환경 변화 27

1) 한국기업의 대중국 직접투자 특징 27

2) 중국에 대한 직접투자 확대 배경 27

3) 중국의 외국인직접투자 관련제도의 변천과정 28

4) WTO 가입 이후 중국의 산업정책 30

2. 한국기업이 중국시장에 진출 중요성과 현황 32

1) 한국기업이 대 중국 투자의 중요성 32

2) 한국기업이 대 중국 투자 현황 34

IV. 한국기업 대 중국 직접투자의 결정요인에 대한 실증분석 38

1. 한국기업 대 중국 직접투자의 결정요인에 대한 이론적 검토 38

2. 모형의 설정 39

3. 모형에 대한 실증분석 42

4. 실증분석 결과에 대한 설명 47

V. 결론 및 시사점 49

1. 결론 49

2. 시사점 50

참고문헌 51

Abstract 53

〈표 1〉 연도별 해외직접투자 현황(1968~2012) 15

〈표 2〉 지역별 해외직접투자 현황(2012년말 누적 기준) 16

〈표 3〉 지역별 해외직접투자 추이 17

〈표 4〉 국가별 해외직접투자 현황(2012년말 누적 기준) 18

〈표 5〉 국가별 해외직접투자 추이 19

〈표 6〉 업종별 해외직접투자 현황(2012년말 누적 기준) 20

〈표 7〉 업종별 해외직접투자 추이 21

〈표 8〉 기업규모별 해외직접투자 현황(2012년말 누적 기준) 22

〈표 9〉 기업규모별 해외직접투자 추이 22

〈표 10〉 하이닉스의 현지법인 생산기지 25

〈표 11〉 아세안 신흥국 국가별 최근 5년 투자금액 현황 35

〈표 12〉 중국 업종별 최근 5년 투자 현황 36

〈표 13〉 수준변수에 대한 단위근 검정결과 42

〈표 14〉 1차 차분변수에 대한 단위근 검정결과 43

〈표 15〉 Johansen 검정방법에 의한 공적분 검정결과 43

〈표 16〉 OLS 분석결과 45

〈표 17〉 한국기업 대 중국의 FDI에 관한 실증분석 결과-1 46

〈표 18〉 한국기업 대 중국의 FDI에 관한 실증분석 결과-2 47

〈그림 1〉 연도별 해외직접투자 14

〈그림 2〉 중국 및 아세안 신흥국 최근 5년 투자금액 추이 35

〈그림 3〉 제조업 지역별 투자 비중 추이 36

〈그림 4〉 한국기업 대 중국의 FDI 추세 44

〈그림 5〉 한국기업 대 중국의 FDI 차분 추세(즉 성장률) 45

초록보기 더보기

 1992년 8월 중·한 수교 이래 지금까지 중국은 무역과 투자 그리고 인적 교류 등에서 괄목할만한 발전을 이룩해 왔다. 이는 21세기 글로벌 최대 시장으로 부상할 중국에 한국기업이 쉽게 진출할 수 있는 기반을 조성하는 계기가 되었다. 1994년 1월 양국정상회담을 시작으로 주요 산업 및 기술에 대한 협력이 강화됨으로써 양국관계는 보다 질적인 발전을 추구하는 동반자적 협력관계로 접어들었다고 평가할 수 있다. 현재 중국은 한국이 세계에서 가장 많은 물건을 내다파는 최대 수출 시장이며, 가장 많은 물건을 수입하는 나라이기도 하다.

2001년 11월 중국의 WTO 가입 이후 중국 시장의 개방이 더욱 확대되고 외국인 직접투자(FDI)를 적극 유치하고 있으며, 세계 각국 간의 경제교류도 더욱 활발해지고 있다. 한국 기업들도 이에 대응하여 대중국 투자를 활성화를 시키고 있으며, 중국은 이미 한국의 제1위 투자대상국이자 수출대상국으로 부상하였다.

본 논문은 중국의 경제 상황, 중국의 외국인 직접투자 상황 및 한국 대 중국 직접투자 상황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한국 기업이 대 중국 투자의 2002년부터 2013년까지의 분기 자료를 통해 한국기업이 대중국 직접투자의 결정요인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이에 따라 성공적인 투자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한국기업의 중국의 직접투자 결정요소로는 특히 중국 국내 평균임금 변수가 1%수준에서 유의적이며 한국기업 대 중국 직접투자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평균임금이 상승하게 되면 상대적 더 적은 투자가 이루어질 것으로 볼 수 있었다. 중국 노동인구의 실업률이 한국기업이 대 중국의 직접투자에 대해 유의적인 변수가 되며 부의 관계를 나타났고 실제로 커다란 중국의 노동시장에 실업률이 많이 발생하게 되면 투자가 줄어드는 것으로 볼 수도 있었다. 투자가 감소하게 되면 일자리는 그만큼 없어지고 실업자의 수가 늘어날 수밖에 없었다. 그리고 중국의 GDP는 한국기업이 대 중국의 직접투자 유의적임을 나타내며 정의 관계를 가지고 있었다. 중국의 GDP가 상승하면서 중국 국내 더 많은 부가 축적되었다.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