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0
학위논문 1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0)
일반도서 (0)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1)
학위논문 (1)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논문명/저자명
불확실성과 감성 하에서 의사결정자의 의사결정 프로세스 및 성과에 관한 실증연구 : 뉴로사이언스 방법을 중심으로 = Empirical analysis of decision-maker's decision-making process and performance under uncertainty and emotion : emphasis on neuroscience methods / 최도영 인기도
발행사항
서울 : 성균관대학교 경영전문대학원, 2015.2
청구기호
TD 658.4038 -15-97
형태사항
x, 162 p. ; 30 cm
자료실
전자자료
제어번호
KDMT1201529451
주기사항
학위논문(박사) -- 성균관대학교 경영전문대학원, 경영학과 경영정보전공, 2015.2. 지도교수: 이건창
원문
미리보기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목차

논문요약 12

제1장 서론 14

제1절 연구배경 및 목적 14

제2절 논문의 구성 16

제2장 의사결정 프로세스를 고려한 불확실성의 인지적 변화에 대한 실증 연구 19

제1절 서론 19

제2절 이론적 배경 및 가설 설정 22

1. 불확실성(uncertainty) 22

2. 구매자의 의사결정과정 27

3. 마음상태이론(mind-set theory) 30

4. 가설 설정 33

제3절 실험 연구 및 결과 36

1. 실험자극 개발 36

2. 실험 대상선정 38

3. 실험절차 38

4. 데이터 획득 및 분석 방법 40

5. 분석 결과 41

제4절 논의 및 결론 48

1. 종합 논의 48

2. 연구의 한계와 향후 연구방향 50

제3장 불확실성을 수반한 창의적 의사결정 시 감성효과에 관한 뉴로사이언스 기반의 실증 연구 52

제1절 서론 52

제2절 이론적 배경 및 가설 설정 54

1. 감성이 의사결정 및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54

2. 의사결정 및 창의성, 감성에 대한 뉴로사이언스 접근 56

제3절 연구 방법 59

1. 실험과제 개발 60

2. 실험 대상선정 62

3. 실험절차 63

4. 데이터 획득 및 분석 방법 66

제4절 분석 결과 67

1. 의사결정의 성향 및 퍼지인식도(FCM)의 창의성에 대한 감성효과 분석 결과 68

2. 의사결정과제 수행 시 감성 집단 간 뇌파(EEG) 활성화 분석 결과 70

3. 의사결정과제 수행 시 감성 집단 간 ECG, GSR 차이 분석 결과 86

제6절 논의 및 결론 88

1. 종합 논의 88

2. 연구의 한계와 향후 연구방향 91

제4장 의사결정의 인지처리 과정에 대한 뉴로사이언스 접근방법에 관한 실증연구 93

제1절 서론 93

제2절 기존 문헌 연구 97

1. 인지적 정보로서의 감성적 자극과 이성적 자극의 효과 98

2. 인지적 정보자극으로서의 효과에 대한 뉴로사이언스(Neuroscience) 접근 100

제3절 연구 방법 104

1. 실험자극물 개발 106

2. 실험 패러다임 111

제4절 연구1: 이성, 감성 자극 유형별 효과와 뇌 기능 연구 114

1. 실험대상 선정 114

2. 실험 절차 115

3. 데이터 획득 및 전처리 117

4. 행동데이터 분석 결과 118

5. fMRI 데이터 분석 결과 120

6. 토의 126

제5절 연구2: 재인 시의 자극 유형별 효과와 뇌 기능 연구 129

1. 실험대상 선정 129

2. 실험 절차 129

3. 데이터 획득 및 전처리 131

4. 행동데이터 분석 결과 132

5. fMRI 데이터 분석 결과 134

6. 토의 138

제6절 논의 및 결론 140

1. 종합 논의 140

2. 연구의 한계와 향후 연구방향 144

제5장 결론 146

제1절 연구요약 146

제2절 연구의 한계 및 향후 연구 방향 150

참고문헌 152

ABSTRACT 173

〈표 1-1〉 각 장 별 주요 내용 18

〈표 2-1〉 의사결정 연구에서의 불확실성(uncertainty)의 정의 23

〈표 2-2〉 전자상거래(e-Commerce)상에서의 불확실성(uncertainty) 연구 27

〈표 2-3〉 의사결정과정 분류 29

〈표 2-4〉 불확실성의 측면 및 조작적 정의 42

〈표 2-5〉 불확실성 측정을 위한 설문항목 42

〈표 2-6〉 불확실성의 요인분석 및 신뢰성 검증 44

〈표 2-7〉 불확실성에 대한 의사결정 전, 후 비교 분석 결과 45

〈표 2-8〉 생리신호 분석결과(온라인쇼핑 검색 단계) 46

〈표 2-9〉 생리신호 분석결과(불확실성 측정 단계) 47

〈표 3-1〉 그룹 간의 대안선택에 대한 카이제곱 분석 결과 69

〈표 3-2〉 그룹 간 의사결정 산출물에 대한 창의성 비교 결과 70

〈표 3-3〉 감성이입 단계에서 활성화되는 영역 및 뇌파 요약 72

〈표 3-4〉 감성이입 단계에서의 절대값 알파파 비교 72

〈표 3-5〉 감성이입 단계에서의 절대값 베타파 비교 74

〈표 3-6〉 감성이입 단계에서의 절대값 감마파 비교 75

〈표 3-7〉 과제수행 1단계에서 활성화되는 영역 및 뇌파 요약 77

〈표 3-8〉 과제수행 1단계(개념노드 도출)에서의 절대값 알파파 비교 78

〈표 3-9〉 과제수행 1단계(개념노드 도출)에서의 상대값 알파파 비교 79

〈표 3-10〉 과제수행 2단계에서 활성화되는 영역 및 뇌파 요약 80

〈표 3-11〉 과제수행 2단계(퍼지인식도 작성)에서의 절대값 감마파 비교 82

〈표 3-12〉 과제수행 2단계(퍼지인식도 작성)에서의 상대알파 값 비교 83

〈표 3-13〉 과제수행 2단계(퍼지인식도 작성)에서의 상대값 베타파 비교 84

〈표 3-14〉 과제수행 2단계(퍼지인식도 작성)에서의 상대값 감마파 비교 85

〈표 3-15〉 LF/HF 비율 비교 87

〈표 3-16〉 과제수행 2단계(퍼지인식도 작성)에서의 GSR 값 비교 87

〈표 4-1〉 실험자극 개발 단계별 요약 107

〈표 4-2〉 개발된 실험자극별 t-검정 결과 108

〈표 4-3〉 실험에 사용된 자극(광고 소구 유형별 광고카피) 109

〈표 4-4〉 이성, 감성 자극의 유형별 의사결정 시간 비교 119

〈표 4-5〉 이성, 감성 자극의 유형별 뇌 활성화 영역 비교 121

〈표 4-6〉 재인 시, 자극 유형별 의사결정 시간 비교 134

〈표 4-7〉 재인 시의 자극 유형별 뇌 활성화 영역 비교 135

〈그림 2-1〉 구매 의사결정 이전 그룹에게 제시된 해외 직접구매 웹 화면 37

〈그림 2-2〉 구매 의사결정 이후 그룹에게 제시된 해외 직접구매 웹 화면 37

〈그림 2-3〉 실험 절차 40

〈그림 3-1〉 10-20 전극배치법에 따른 16개 전극 부착 위치 64

〈그림 3-2〉 실험 절차 66

〈그림 3-3〉 실험에 사용한 측정장비(PolyG-A) 및 분석 소프트웨어 Telescan V3.11 67

〈그림 3-4〉 감성이입 단계에서의 절대값 알파파에 대한 활성화 영역 73

〈그림 3-5〉 감성이입 단계에서의 절대값 베타파에 대한 활성화 영역 75

〈그림 3-6〉 감성이입 단계에서의 절대값 감마파에 대한 활성화 영역 76

〈그림 3-7〉 과제수행 1단계에서 상대값 기준의 뇌파 활성화 영역 77

〈그림 3-8〉 과제수행 1단계에서의 절대값 알파파에 대한 활성화 영역 78

〈그림 3-9〉 과제수행 1단계에서의 상대알파 값에 대한 뇌파 활성화 영역 79

〈그림 3-10〉 과제수행 2단계에서 상대값 기준의 뇌파 활성화 영역 비교 81

〈그림 3-11〉 과제수행 2단계에서의 절대값 감마파에 대한 활성화 영역 82

〈그림 3-12〉 과제수행 2단계에서의 상대알파 값에 대한 뇌파 활성화 영역 83

〈그림 3-13〉 과제수행 2단계에서의 상대베타 값에 대한 뇌파 활성화 영역 84

〈그림 3-14〉 과제수행 2단계에서의 상대값 감마파에 대한 활성화 영역 86

〈그림 4-1〉 연구 진행 절차 105

〈그림 4-2〉 E-Prime 2.0으로 구현한 세션 프로시져 및 실험자극 111

〈그림 4-3〉 실험 1: Decision Task(자극에 대한 소구유형 결정) 112

〈그림 4-4〉 실험 2: Recognition Task(자극에 대한 재인여부 결정) 113

〈그림 4-5〉 실험1에 대한 실제 실험 수행 화면(예시) 117

〈그림 4-6〉 자극 유형별 뇌 활성화 영역 비교 (이성 소구 시 더 활성화 되는 영역) 123

〈그림 4-7〉 자극 유형별 뇌 활성화 영역 비교 (감성 소구 시 더 활성화 되는 영역) 125

〈그림 4-8〉 실험2에 대한 실제 실험 수행 화면(예시) 131

〈그림 4-9〉 재인 시의 뇌 활성화 영역 비교(이성 자극에 대한 재인 시, 더 활성화 되는 영역) 137

초록보기 더보기

 본 논문은 뉴로사이언스 방법론을 이용하여 불확실성, 감성, 창의성, 의사결정 프로세스에 대한 통합적 접근 및 인지처리적 관점에서 실험연구를 수행하고 그에 따른 해석을 하였다. 본 논문의 목적은 첫째, 의사결정의 전체 프로세스 상에서 불확실성에 대해 어떠한 인지적 변화를 가지는지에 대해 확인하고자 하였으며, 둘째, 불확실성을 수반하는 의사결정 수행 시 감성의 영향을 밝히고, 그러한 의사결정 결과물의 창의성에 대한 영향관계를 밝히고자 하였다. 셋째, 외부의 정보나 자극의 유형에 따라 의사결정 효과성과 의사결정자의 반응이 달라짐을 고려하여, 정보의 유형에 따라 의사결정 반응과 효과가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fMRI를 통한 뇌기능 연구를 통해 설명하였다. 본 논문의 중요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자상거래를 통한 의사결정 프로세스 전체 관점에서 단계별로 의사결정자의 불확실성을 감소시켜 의사결정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기제를 마련하기 위해 의사결정 이전과 의사결정 이후로 구분하여 인지된 불확실성을 측정하였다. 실험연구를 통한 분석결과, 의사결정 이전 그룹과 의사결정 이후 그룹 간의 인지된 불확실성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의사결정 이전의 인지된 불확실성이 의사결정 이후의 인지된 불확실성 보다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불확실성을 수반한 창의적 의사결정시 감성이 어떠한 효과를 가지고, 어떠한 인지적 프로세스와 연관되는지에 대해 행동실험 및 뉴로사이언스 기법을 통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불확실성에 대처하는 의사결정의 성향, 의사결정 산출물의 창의성 수준에 있어서 부정적 감성 그룹과 긍정적 감성 그룹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뇌파 분석을 통하여 부정감성 그룹과 긍정감성 그룹 간에 불확실성을 수반한 창의적 의사결정 과제 수행 시 활성화되는 뇌파와 활성화 부위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셋째, 자극의 유형에 따른 인지적 처리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의사결정을 위한 반응 시간과 재인를 검증하였고, 자극 유형 별로 뇌 기능 상의 관계를 fMRI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재인의 측면에서는 이성적 자극의 효과가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뇌 기능 분석을 통해 이성적 자극은 인지 처리과정이 더 복잡하게 이루어지며, 이러한 복잡성에 따라 의사결정 반응시간이 감성적 자극이 보다 빨리 이루어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리고, 재인 측면에 이성적 자극이 상대적으로 높게 활성화된 영역은 대부분 경험에 대한 기억, 단기 기억, 그리고 의사결정프로세스와 연계된 기능들이었다.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