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0
학위논문 1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0)
일반도서 (0)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1)
학위논문 (1)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논문명/저자명
문화주도적 젠트리피케이션 현상에 의한 장소성 변화 연구 : 홍대, 이태원, 신사동 지역에 대한 소셜미디어 빅데이터 분석을 중심으로 = (A)study on the change of sense of place due to the culture-led gentrification : focusing on the social media big data analysis about Hongdae, Itaewon, Shinsa area / 황준기 인기도
발행사항
서울 :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2015.2
청구기호
TM 352.16 -15-4
형태사항
vi, 108 p. ; 26 cm
자료실
전자자료
제어번호
KDMT1201530439
주기사항
학위논문(석사) --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도시행정학과, 2015.2. 지도교수: 오동훈
원문
미리보기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국문초록

목차

제1장 서론 13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3

1. 연구의 배경 13

2. 연구의 목적 16

제2절 연구의 범위 및 방법 17

1. 연구의 범위 17

2. 연구의 방법 18

제2장 젠트리피케이션과 장소성에 대한 이론적 고찰 20

제1절 젠트리피케이션의 개념 및 의의 20

1. 젠트리피케이션의 개념 20

2. 젠트리피케이션의 원인과 접근 22

1) 젠트리피케이션의 원인 22

2) 젠트리피케이션의 접근 24

3. 문화소비공간과 젠트리피케이션 27

제2절 장소성의 개념 및 의의 29

1. 장소의 개념 및 정의 29

2. 장소성의 개념과 형성 31

3. 문화소비공간과 장소성 34

제3장 연구방법론 : 빅데이터와 소셜미디어의 활용 36

제1절 빅데이터와 소셜미디어 36

1. 빅데이터(Big Data)의 정의와 개념 36

2. 빅데이터(Big Data) 분석 기법 39

1) 데이터 마이닝 39

2) 텍스트 마이닝 39

3) 평판 분석 40

4) 웹 마이닝 40

5) 소셜 분석 40

6) 클러스터 분석 41

7) 현실 마이닝 41

3. 소셜미디어의 개념 43

제2절 선생연구 검토 및 연구의 분석틀 45

1. 선행연구 검토 45

2. 기존연구와의 차별성 및 연구의 기대효과 49

3. 연구의 분석틀 51

제4장 연구대상지역의 문화적 특성과 상업화 55

제1절 홍대와 연남동의 문화적 특성과 상업화 55

1. 홍대의 문화적 특성과 상업화 55

2. 연남동의 등장과 그 특징 59

제2절 가로수길과 세로수길의 문화적 특성과 상업화 62

1. 가로수길의 문화적 특성과 상업화 62

2. 세로수길의 등장과 그 특징 65

제3절 이태원과 경리단길의 문화적 특성과 상업화 68

1. 이태원의 문화적 특성과 상업화 68

2. 경리단길의 등장과 그 특징 72

제4절 소결 74

제5장 장소성 변화 실증분석 76

제1절 연구 분석의 설계 76

제2절 소셜미디어 빅데이터를 이용한 장소성 실증분석 78

1. 버즈량 변화추이 분석 78

1) 홍대, 연남동 지역 버즈량 변화추이 분석 79

2) 가로수길, 세로수길 지역의 버즈량 변화추이 분석 80

3) 이태원, 경리단길 버즈량 변화추이 81

2. 연관어 분석 82

1) 홍대, 연남동 지역 연관어 분석 83

2) 가로수길, 세로수길 지역 연관어 분석 84

3) 이태원, 경리단길 지역 연관어 분석 85

3. 이용자 행태 분석 89

4. 감성어 분석 91

1) 연구대상지역 감성어 분석 92

2) 긍정어 분석 94

3) 부정어 분석 98

제3절 소결 101

제6장 결론 106

제1절 연구결과 요약과 정책적 시사점 106

1. 연구결과 요약 106

2. 연구의 정책적 시사점 108

제2절 연구의 한계와 후속 연구방향 111

참고문헌 112

ABSTRACT 118

〈표 1〉 젠트리피케이션(Gentrification)에 대한 다양한 정의 21

〈표 2〉 장소의 다양한 정의 30

〈표 3〉 장소의 구성요소 31

〈표 4〉 장소성의 다양한 개념 32

〈표 5〉 장소성 형성 요소 33

〈표 6〉 빅데이터(Bib Data)의 특징 - 3V 37

〈표 7〉 빅데이터(Big Data)의 국내외 활용 38

〈표 8〉 빅데이터의 분석방법 42

〈표 9〉 매스미디어, 웹 커뮤니티, 소셜미디어 비교 43

〈표 10〉 소셜미디어의 유형 44

〈표 11〉 젠트리피케이션/장소성 및 빅데이터 분석 선행연구 46

〈표 12〉 홍대 지역의 문화적 변천사 57

〈표 13〉 가로수길의 문화적 변천사 65

〈표 14〉 이태원의 문화적 변천사 69

〈표 15〉 연구대상지역의 Hardware, Software 특징 비교 75

〈표 16〉 분석 방법과 내용 76

〈표 17〉 연구대상 지역 연관어 순위 및 버즈량 88

〈표 18〉 연구대상지역 긍/부정어 언급량 92

〈표 19〉 연구대상지역 긍/부정어 분석결과 93

〈표 20〉 홍대/연남동 긍정적 감성VOC 분석 95

〈표 21〉 가로수길/세로수길 긍정적 감성VOC 분석 96

〈표 22〉 이태원/경리단길 긍정적 감성VOC 분석 97

〈표 23〉 연구대상지역 부정적 감성 VOC 분석 100

그림 1. 연구의 분석틀 54

그림 2. 홍대/연남동 위치 60

그림 3. 신사동 가로수길/세로수길 위치 66

그림 4. 이태원/경리단길 위치 72

그림 5. 연구대상지역 버즈량 측정 78

그림 6. 홍대 / 연남동 버즈량 변화추이 80

그림 7. 가로수길 / 세로수길 버즈량 변화추이 81

그림 8. 이태원 / 경리단길 버즈량 변화추이 82

그림 9. 홍대/연남동 연관어 워드클라우드 84

그림 10. 가로수길/세로수길 연관어 워드클라우드 85

그림 11. 이태원/경리단길 연관어 워드클라우드 86

그림 12. 연구대상지역 이용자 행태분석 89

그림 13. 연구대상지역 긍정어 워드 버블 94

그림 14. 연구대상지역 부정어 워드버블 98

초록보기 더보기

 2000년대 들어 본격화되기 시작한 문화소비공간에 대한 욕망은 IT 산업의 발달과 함께 세계화·정보화의 흐름과 함께 더욱 두드러졌다. 이와 함께 기존의 대규모 도심 재활성화 방식에 대한 반감과 동시에 문화예술인에 의해 독특한 분위기를 조성하는 방식으로 도심지의 낙후지역이 재활성화되는 ‘문화주도적 젠트리피케이션’ 현상에 대한 관심이 커지게 되었다. 이러한 젠트리피케이션 현상으로 말미암은 문화소비공간의 발생은 새로운 문화소비 장소를 제공하며 다양성을 확보하는 순기능과 더불어 대형 상업자본의 침투로 임대료의 급상승을 유발시켰고, 대기업 프랜차이즈 매장의 유입 등으로 인한 획일화를 초래하는 등의 문제점을 보였다. 이로 인해 초기의 문화기능들이 임대료가 싼 인근 저층주거지역으로 이전하는 현상을 보였다. 이는 자생적으로 형성된 문화상업가로의 정체성과 장소성이 그 지속가능성에 큰 영향주고 있음을 보인다.

본 연구에서는 소셜미디어 빅데이터 분석을 통하여 문화주도적 젠트리피케이션 현상이 발생한 지역의 장소성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문화주도적 젠트리피케이션 현상이 발생한 홍대, 가로수길, 이태원과 이 지역의 과도한 상업화로 인해 새로이 발생하게 된 연남동, 세로수길, 경리단길을 연구대상으로 하여 연구대상지역의 특성과 성격에 대해 문헌연구를 통하여 그 역사적 변천과정에 대해 연구하였으며, 버즈량 측정, 연관어 분석, 키워드를 통한 이용자 행태 분석, 긍/부정어 분석, 감성 VOC 추출을 통하여 실시하였다.

그 결과로 첫째, 문화주도적 젠트리피케이션 현상이 심화됨에 따라 발생한 과도한 상업화는 방문객과 거주민의 지역 인식에 있어 부정적 영향을 일으키게 된다는 점이다. 기존 핫플레이스(홍대, 가로수길, 이태원)는 그 관심의 정도가 조금씩 떨어지고 있으며, 이런 현상에는 상업화가 지속되며 번잡해지고 획일화되는 점이 큰 영향을 주고 있음을 볼 수 있었다. 반면, 새로운 핫플레이스(연남동, 세로수길, 경리단길)의 경우 골목길을 중심으로 기존의 핫플레이스가 가지는 문화적 특징과 장소성이 확장되며 골목이라는 공간적 특징과 결합하여 새로운 핫플레이스를 발생시켰다고 볼 수 있다. 결국 젠트리피케이션 현상에 의한 과도한 상업화의 영향은 기존의 핫플레이스의 매력을 반감시키고 이에 대한 피로감과 더불어 저층주거지의 골목이 주는 정감이 방문객을 새로운 핫플레이스로 향하게 만드는 요인임을 알 수 있다.

둘째로, 문화주도적 젠트리피케이션 현상이 발생한 지역에 대한 부정적 인식은 각 지역이 문화적 특징과 관련하여 다양한 형태를 보이고 있다는 점이다. 홍대의 경우, 사라져간 예술적 분위기에 대한 그리움, 이태원의 경우, 외국인이 몰리고, 음주 향락문화가 심화되며 발생하는 치안의 문제와 같이 방문객이 몰리며 발생하는 문제가 각 지역의 특징에 따라 다르게 발화되는 점을 볼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문화주도적 젠트리피케이션 현상이 심화되며 기존 젠트리파이어가 탈거되며 확산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문화적 특징이 이식되는 현상은 지역별로 차이를 보였다. 연남동은 홍대의 하위문화적 성격을 그대로 받기보다는 홍대로부터 이탈한 예술가들이 만들어낸 문화적 특징을 보인다. 홍대보다 조금 덜 과격하고 차분한 성격을 보이고 있는데, 이는 이태원과 경리단길의 모습과 흡사하다. 반면, 세로수길은 가로수길이 가지고 있는 패션, 트렌드 리더의 위상을 그대로 받아들이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홍대, 가로수길, 이태원의 젠트리피케이션 현상과 연남동, 세로수길, 경리단길의 등장은 결국 새로운 공간의 탄생이라기보다 확산으로 볼 수 있다. 이 확산의 주요 요소로서 홍대, 가로수길, 이태원이 지녔던 문화적 특징과 그 위상, 골목길이라는 특성이다. 골목이란 주거공간과 상업시설이 섞여있으며, 그 조화로움이 주는 여유가 매력이 되었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새롭게 형성된 핫플레이스 모두 저층주거지의 골목길을 중심으로 발전하게 되었음을 확인하였으며, 단순히 저렴한 임대료의 문제가 아니라 골목이 주는 정겨움과 따스함이 젠트리파이어와 방문객 모두에게 매력으로 작용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기존 핫플레이스로부터 서로 다른 형태로 문화적 자산을 이식받았음을 볼 수 있었다. 따라서 저층주거지역에서는 과도한 상업시설의 침투와 대형 건축물의 건축을 규제할 필요가 있으며, 새롭게 형성된 핫플레이스 지역에 대해 각기 다른 형태로 기존 핫플레이스의 단점을 해결하고 현재의 문화적 특성을 더욱 육성함으로써 서로 상호보완적 관계를 형성하는 맞춤형 정책 필요하다. 또한 트렌드에 의존한 시각을 벗어나 일상적인 풍경과 지역의 개성이 만나는 지점을 통해 바라보는 정책적 관점 필요하다.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