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목차
국문요약 10
I. 서론 12
1.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12
2. 연구의 목적 15
3. 연구의 범위와 방법 및 구성 17
1) 연구 범위와 방법 17
2) 통계분석 18
3) 연구의 구성 18
II. 서울·경기지역 단체급식소 제공 메뉴의 나트륨 함량 분석 20
1. 연구목적 및 필요성 20
2. 연구내용 및 방법 23
1) 연구 내용 23
2) 연구 방법 24
3) 통계분석 26
3. 연구결과 및 고찰 27
1) 단체급식소의 식단조사를 위한 음식군의 메뉴 유형별 분류 27
2) 단체급식소 제공 메뉴의 직업 유형에 따른 1인 1회 배식량 비교 28
3) 단체급식소 직업 유형에 따른 분석 방법별 1인 1일 나트륨 함량 비교 30
4) 단체급식소 제공 메뉴의 유형별 나트륨 함량 분석 32
5) 음식 유형 분류에 따른 분석 방법별 나트륨 함량 비교 43
4. 요약 및 결론 45
III. 단체급식소 이용 고객의 나트륨 저감화에 관한 인식도 및 요구도 조사 - 서울·경기지역을 중심으로 48
1. 연구목적 및 필요성 48
2. 연구 방법 51
1) 조사대상 및 기간 51
2) 조사 방법 51
3) 통계 분석 52
3. 결과 및 고찰 53
1) 인구통계학적 특성 53
2) 조사 대상자의 나트륨 인식도 55
3) 단체급식소 이용 고객의 나트륨 관련 영양 지식수준 61
4) 단체급식 이용 고객의 나트륨 저감화에 관한 요구도 64
5) 단체급식소 이용 고객의 저나트륨 섭취를 위한 실천방법 72
4. 요약 및 결론 82
IV. 단체급식소 이용고객의 식생활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저나트륨 인식도 및 식행동에 관한 연구 85
1. 연구목적 및 필요성 85
2. 연구 방법 88
1) 조사대상 및 조사기간 88
2) 조사 방법 88
3) 통계 분석 89
3. 결과 및 고찰 90
1) 인구 통계학적 특성 90
2) 요인분석의 측정도구 타당성 및 신뢰도 92
3) 군집분석의 측정도구 타당성 및 신뢰도 96
4) 저나트륨 식행동 실천방법의 측정도구 타당성 및 신뢰도 101
5) 저나트륨 조리방법 측정도구의 타당성 및 신뢰도 106
4. 요약 및 결론 109
V. 결론 및 제언 111
1. 종합고찰 및 결론 111
2. 연구의 시사점 및 제언 114
참고 문헌 116
부록_설문지 126
I. 나트륨에 관한 인식도 127
II. 나트륨 저감화 요구도 현황 129
III. 나트륨 관련 식습관 및 식생활 라이프스타일 131
IV. 일반적 사항 134
ABSTRACT 137
〈그림 1〉 연구의 구성 19
〈그림 2-1〉 식품 구매 시 영양표시에서 나트륨 표시를 본 경험 55
〈그림 2-2〉 식품 구매 시 영양표시 중 나트륨 함량 확인 56
〈그림 2-3〉 가공식품 영양표시 중 표시관심 57
〈그림 2-4〉 좋아하는 식품에 나트륨 함량의 위해성 인식 여부 58
〈그림 2-5〉 나트륨에 대한 정보 얻는 경로 59
〈그림 2-6〉 단체급식소에서 저나트륨 실천이 어려운 이유 60
〈그림 2-7〉 나트륨 저감화에 관한 교육 경험 여부 64
급격한 산업화 과정을 통한 생활 패턴의 서구화, 핵가족화, 여성의 사회 활동이 증가하여 나트륨 함량이 높은 외식과 단체급식소 이용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특히 단체급식소는 학교, 병원, 기업체, 사회 복지시설, 군부대 등의 조직에서 식사를 제공하는 곳으로 국민의 1/4 이상이 하루 한 끼 이상을 단체급식소를 이용하는 것으로 추정되며, 이에 단체급식의 적절한 영양관리는 국민 건강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어 서울·경기지역 단체 급식소 에서 제공되는 메뉴의 나트륨 함량 평가 방법을 문헌고찰에 의해 설계한 후, 제공된 배식량의 나트륨 함량을 직업 유형·분석 방법별로 현황을 파악 하였다. 또한 단체급식소 이용자들의 설문을 통한 나트륨에 대한 인식도 및 요구도 조사, 영양 지식수준 측정, 식생활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저나트륨 식행동 실천방법, 조리방법, 요구도 차이 등을 연구하였으며, 연구 내용은 세 부분 으로 구성되었다.
연구 1에서는 단체급식소 제공 메뉴의 나트륨 함량을 파악하기 위해 540식 식단의 1인 1식 배식량을 방문 수거 후, 9개 음식군으로 분류하고 직업 유형별(사무실형, 공장형, 학교형)로 분류하였다. 직업 유형별로 살펴본 결과, 1인1일 총 나트륨 함량은 '공장형'이 '사무실형'과 '학교형'에 비해 유의적으로 더 높게 나타났다(p〈0.001). 분석 방법별로는 9개 음식군 모두 '염도계에 의한 나트륨 함량'이 '영양평가 프로그램(Can-Pro 4.0)'에 의한 나트륨 함량보다 더 높게 조사되었으며, 그 중 '전류', '김치 및 절임류', '일품류'를 제외한 나머지 6개 음식군은 '염도계에 의한 나트륨 함량이 '영양평가 프로그램(Can-Pro 4.0)'에 의한 나트륨 함량보다 유의적으로 더 높게 나타났다(p〈0.001). 또한 9개 음식군에 따른 1인 1회 배식량을 기준으로 한 나트륨 함량은 "국 및 찌개류'와 '일품류'가 다른 음식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더 높게 조사되었다(p〈0.001).
연구 2에서는 나트륨 저감화에 대한 인식도 및 요구도 조사에 관한 연구로서 조사대상자의 인식도 조사에서는 식품 구매 시 나트륨 함량을 '본적 있다'는 응답이 가장 높았고, 나트륨 함량 확인 여부는 '거의 확인 하지 않는다'가 가장 높았으며, 표시관심이 가장 높은 것은 '열량'이었다. 위해성 여부는 '줄이려고 노력 할 것이다'가 가장 높았고, 나트륨에 대한 정보 경로는 '나트륨 섭취를 줄이는 방법은 알지만 실천에 대한 의지부족'이 가장 높았으며, 나트륨 저감화에 대한 교육 경험 여부는 '없다'가 81.9%(253명)로 나타나 나트륨에 대한 교육이 거의 이루어지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3에서는 단체급식소 이용 고객들의 식생활 라이프스타일 유형의 집단을 분류하기 위해 군집분석한 결과로는 '건강 지향형', '식생활 무관심형', '간편·외식추구형'으로 명명하였다. 저나트륨 식행동 실천방법에서는 '건강 지향형'이 '식생활 무관심형' 보다 '나트륨 '저감화 섭취실천'과 '저감화 행동실천'의 평균 점수가 유의적으로 더 높게 조사되었다(p〈0.001). 저나트륨 조리방법에서는 '소금 함량이 적은 양념류를 사용한다' 등의 5개 항목 전체에서 '건강 지향형'과 '간편·외식 추구형'이 '식생활 무관심형'보다 유의적으로 더 높은 점수로 조사되어 군집별 차이를 보여 주었다. 나트륨 관련 지식수준은 '건강 지향형', '간편·외식 추구형', '식생활 무관심형' 순으로 조사되었으나,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다 인식도 차이 분석에서는 'Na 함량 확인'(p〈0.01), '위해성 인식'(p〈0.001), '저감 어려움'(p〈0.05)에서 세 집단 간의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