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목차
I. 序論 8
1. はじめに 8
2. 先行硏究 10
2.1. 渡邊洋一(1985) 10
2.2. 이재원(2006) 11
2.3. 김민자(2013) 12
3. 本論文の立場 14
II. 本論 16
1. モダリティ 16
1.1. 斷定形 16
1.1.1. 直接認識 17
1.1.2. 間接認識 21
1.2. 非斷定形 23
1.2.1. 推量 24
1.2.2. 徵候性判斷 28
2. テンス 33
2.1. 非過去形 33
2.2. 過去形 36
3. アスペクト 43
3.1. 完成相 43
3.2. 繼續相 46
3.3. パ一フェクト相 49
3.4. 反復相 52
III. 結論 56
1. まとめ 56
2. 今後の課題 58
日本語文獻 59
韓國語文獻 62
用例出典_ 廣告年鑑 63
用例出典_ 小說 64
한국어초록 65
〈圖1〉 (제목없음) 18
〈圖2〉 (제목없음) 19
〈圖3〉 (제목없음) 19
〈圖4〉 (제목없음) 19
〈圖5〉 (제목없음) 29
〈圖6〉 (제목없음) 29
본 논문은 광고가 경영학, 사회심리학, 언어학에 이르기까지 다각도로 연구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문법적인 관점에서 고찰한 연구는 쉽게 찾아볼 수 없는 점에 착안하여 광고문의 문말표현을모달리티, 텐스, 애스펙트의 관점에서 고찰한 것이다.
본 논문은 서론과 본론과 결론의 3부로 구성되어 있다. 서론에서는 선행연구와 문제제기 대하여 기술하였다. 본론은 크게 3개의 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제 1장에서는 광고문에 있어서의 모달리티에 대하여 기술하였다. 단정형과 비단정형이 광고문에서는 어떻게 나타나는지, 그리고 단정형 안에서도 각각 직접인식과 간접인식, 비단정형 안에서도 추량과징후성판단으로 나누어 일상회화문과 비교 분석해 보았다.
다음으로 제 2장에서는 텐스에 대하여 기술하였다. 그 결과, 광고에는 특성을 나타내는문이 많아 대부분의 경우 텐스 대립이 분화하지 않는다는 것을 검증할 수 있었다. 한편, 과거형으로 쓰인 광고문에는 무드적인 의미를 나타내는 경우가 많은 것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제 3장에서는 애스펙트에 대하여 기술하였으며, 완성상과 계속상, 퍼펙트상, 반복상에 대하여 간략하게나마 살펴보았다. 앞서 광고문에는 텐스 대립이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과 마찬가지로, 같은 이유에서 애스펙트에도 대립이 생기지 않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광고문에서는 퍼펙트상과 반복상을 나타내는 경우가 많지 않은 것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고찰 결과를 통해, 광고문에 있어서의 모달리티, 텐스, 애스펙트는일상회화문에 있어서의 특징과는 다른 언어체계를 갖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하지만 인쇄매체만을 고찰 대상으로 하고 있는 점, 그리고 여러 종류의 모달리티 중에서도 인식 모달리티에 중점을 두고 있는 점에서 앞으로의 연구에서는 보다 폭넓은 관점에 언어체계에 대한 면밀한 검토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