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0
학위논문 1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0)
일반도서 (0)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1)
학위논문 (1)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논문명/저자명
북한 외래관광 연구 : 담당조직과 유치 구조 및 전략을 중심으로 = (A)study on North Korean inbound tourism : organization, structure, strategy / 김한규 인기도
발행사항
서울 : 북한대학원대학교, 2015.2
청구기호
TD 330.0285 -15-4
형태사항
ix, 263 p. ; 26 cm
자료실
[부산관] 서고(열람신청 후 2층 주제자료실)
제어번호
KDMT1201536893
주기사항
학위논문(박사) -- 북한대학원대학교, 경제IT전공, 2015.2. 지도교수: 이우영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목차

국문요약 11

제1장 서론 13

제1절 연구의 목적 및 의의 13

제2절 선행연구분석 18

제3절 연구방법 및 목차구성 22

1. 연구방법 22

2. 분석 틀 24

3. 연구대상과 범위 28

4. 목차구성 32

제2장 북한 외래관광 조직 34

제1절 외래관광조직 설립배경 35

1. 대내 배경 35

2. 대외 배경 45

제2절 상부관광조직: 국가관광총국 50

1. 국가관광총국 형성 50

2. 국가관광총국 구조와 변화 59

제3절 하부관광조직: 여행사 69

1. 여행사 형성 69

2. 여행사 구조와 변화 78

제4절 소결 98

제3장 북한 외래관광 유치 구조 101

제1절 일반관광 102

1. 일반관광 구조와 발전 102

2. 금강산관광 특성 변화 118

제2절 변경관광 126

1. 변경관광 구조와 발전 126

2. 변경관광 규정: 나선특구 관광규정 147

제3절 소결 153

제4장 북한 외래관광 유치 전략 155

제1절 외래관광 유치 기본전략: 다원화 전략 156

1. 다원화 전략 개념 156

2. 다원화 전략 내용 159

제2절 외래관광 유치 세부전략: 관광마케팅전략 176

1. 관광마케팅전략 개념 176

2. 관광마케팅전략 내용 178

제3절 소결 194

제5장 북한 외래관광 평가와 특성 195

제1절 북한 외래관광 평가 196

1. 경제적·조직적 측면 196

2. 사회문화적 측면 215

제2절 북한 외래관광의 보편성과 특수성 225

1. 관광조직 측면 225

2. 유치구조 측면 233

3. 유치전략 측면 239

제3절 소결 245

제6장 결론 248

참고문헌 256

ABSTRACT 274

〈표 1-1〉 북한관광 관련 주요 연구성과 18

〈표 1-2〉 심층면접조사 대상 목록 23

〈표 1-3〉 사회문화적 관점에서의 관광 개념 정의 예 30

〈표 2-1〉 1960년과 1981년, 1992년 사전에서 관광 정의와 관련 용어 변화 38

〈표 2-2〉 국가관광총국 본부 내 주요 부서 53

〈표 2-3〉 역대 국가관광총국장 55

〈표 2-4〉 관광인력 관련 주요 북한 교육기관 67

〈표 2-5〉 북한의 주요 여행사 77

〈표 2-6〉 3대 여행사별 서구의 주요 파트너 여행사 84

〈표 2-7〉 3대 여행사별 동남아 및 일본 지역 주요 파트너 여행사 86

〈표 2-8〉 3대 여행사별 중국 지역 주요 파트너 여행사 88

〈표 2-9〉 북한 국가관광총국 홈페이지상 북한관광상품 취급 해외여행사 90

〈표 3-1〉 북한 일반관광 관련 주요 전개과정 104

〈표 3-2〉 북한의 일본관광객 유치 관련 주요 전개과정 110

〈표 3-3〉 북한의 서구관광객 유치 관련 주요 전개과정 112

〈표 3-4〉 금강산특구 관광규정의 주요내용 122

〈표 3-5〉 금강산특구 지정 전후부터 추진된 외래관광객 유치 움직임 124

〈표 3-6〉 북한 변경관광 주요 흐름 137

〈표 3-7〉 북한 변경관광 주요 중단기간 및 배경 140

〈표 3-8〉 북한 북동부 변경관광의 북중 주요 연결지점과 관광지역 146

〈표 3-9〉 자유경제무역지대 관광규정 주요 내용 149

〈표 3-10〉 1996년 및 2000년 관광규정 주요변화 비교 151

〈표 3-11〉 일반관광과 변경관광 비교 154

〈표 4-1〉 시기별 북한 외래관광의 다원화전략 흐름 160

〈표 4-2〉 UNWTO와 북한간의 관광협력활동 현황 165

〈표 4-3〉 UNWTO 가입 이후 북한의 총회 참가 현황 170

〈표 4-4〉 북한 UNWTO 분담금 미납 및 납부현황(2009-2013년) 172

〈표 4-5〉 90년대 북한의 국제관광박람회 주요 참가 현황 173

〈표 4-6〉 김정은 체제 등장 전후부터 새로 선보인 관광상품 182

〈표 4-7〉 고려투어가 북한관광 관련 운영하는 인터넷 및 소셜미디어 192

〈표 5-1〉 북한 외래관광객수 및 중국관광객수(2002-2013년) 197

〈표 5-2〉 2012년 기준 10-100만 외래관광객수 유치한 주요 국가 198

〈표 5-3〉 2012년도 아시아 주요국 외래관광객수 198

〈표 5-4〉 한국관광공사 추정한 1991년도 방북 외래관광객수 199

〈표 5-5〉 한국관광공사 추정한 1992년도 방북 외래관광객수 200

〈표 5-6〉 2011년 이후 방북 중국관광객 증가율 202

〈표 5-7〉 2012년 4-12월 중국관광객 방일관광 전년동기대비 증감률 204

〈표 5-8〉 3대 여행사의 1984년 외래관광객 접객수 209

〈표 5-9〉 1987년 중국 1급여행사 목록 및 소속기관 210

〈표 5-10〉 1987년-1995년 급수별 중국 여행사 수 210

〈표 5-11〉 1986년-1995년 중국 1급 여행사들의 모객현황 212

〈표 5-12〉 관광자원의 유형과 구성요소 217

〈표 5-13〉 북한 관광자원 분류 218

〈표 5-14〉 '13년도 인바운드 유치 10대 국가 정부관광기관 소셜미디어 시작 시점 221

〈표 5-15〉 북한경제의 이중구조 이해를 위한 도식 226

〈표 5-16〉 북한 외래관광 평가 245

〈표 5-17〉 북한 외래관광부문의 보편성과 특수성 246

〈그림 1-1〉 담당조직·유치구조·유치전략 중심의 북한 외래관광연구 분석틀 28

〈그림 1-2〉 관광의 구분 29

〈그림 2-1〉 국가관광총국 연간계획수립구조 62

〈그림 3-1〉 외래관광객 대상 일반관광의 구조 104

〈그림 3-2〉 외래관광객 대상 변경관광의 흐름 구조 135

〈그림 3-3〉 변경관광의 연간계획 수립의 이중구조 136

〈그림 3-4〉 단둥지역 북한 변경관광객수 143

〈그림 3-5〉 북한 북동부 북중 변경관광 주요 연결지점과 관광코스 146

〈그림 4-1〉 관광마케팅 전략 요소와 진행단계 177

〈그림 4-2〉 북한관광상품 유통경로 186

〈그림 5-1〉 북한 외래관광객수 및 중국관광객수(2002-2013년) 197

〈그림 5-2〉 중국 관광부문의 여행사 구조 중심 변화단계구분 213

초록보기 더보기

 북한 김정은 체제가 등장한 이후 관광에 대한 관심이 매우 높다. 북한 소식에 조금이라도 귀 기울이는 사람이라면 쉽게 느낄 수 있을 정도다. 북한은 '경제강국건설'과 '인민생활향상'을 위해 관광업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려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북한에서의 관광업은 현실적으로 외국인 관광객 유치 분야를 의미한다는 점에서 '북한 외래관광은 어떻게 운영되고 있고 북한의 변화와 어떻게 관련되나'라는 질문을 던지게 된다. 질문에 답하기 위해서 본 연구는 외래관광 담당조직과 유치구조 및 유치전략을, 북한 외래관광이 태동한 이후 현재까지의 기간을 대상으로 분석했다.

1장에서는 본 논문의 문제제기와 연구목적, 분석틀을 설명하고 연구대상과 그 범위를 덧붙였다. 2장에서는 북한 외래관광 담당조직이 어떻게 구축돼 왔는지 분석했다. 세부적으로 국가관광총국과 여행사 조직을 기본 분석대상으로 삼았다. 각 조직의 형성을 기본으로 총국에서는 조직내부 측면에서, 여행사 분야에서는 여행사간 관계 측면에서 변화를 분석하였다. 특히 총국의 이중통제형태와 여행사의 과점·경쟁체제에 초점을 두었다.

3장에서는 북한 외래관광 유치구조를 일반관광과 변경관광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각각의 전개과정과 관광객 유치형태를 분석하고 어떤 차이가 있는지 고찰했다. 유치구조가 분절화 돼 있음에 따라 변경관광에서는 관광계획수립이나 관광수입 귀속 등에서 지방의 권한이 강한 특징을 보였다. 아울러 금강산관광이 남북관광에서 일반관광으로 '환원'됐다는 관점에 따라 외래관광측면에서 금강산특구관광을 설명했다.

4장에서는 북한 외래관광 유치전략을 기본전략인 다원화전략과 세부전략인 관광마케팅전략으로 나누어 분석했다. 관광시장 확대와 국제관광무대와의 접촉면 확대를 의미하는 다원화전략에서는 시기별로 북한이 어떤 관광시장을 확대하려 했고 UNWTO와 어떤 협조관계를 맺어왔는지 주목했다. 관광마케팅전략 부분에서는 STP전략과 4P 개념을 활용, 관광마케팅 세부 흐름을 살펴보았다.

5장에서는 북한 외래관광을 평가하고 경제구조 등 북한체제와의 관계를 고찰해 외래관광의 보편성과 특수성을 분석했다. 외래관광의 변화와 결과, 수준을 살펴보기 위해 경제적·조직적 측면에서는 외래관광객 유치규모와 관광조직 발전단계를, 사회문화적 측면에서는 관광상품구성과 관광홍보방식을 평가수단으로 상정했다. 다음으로는 외래관광부문의 특징적인 운영방식을 살펴보고 이런 방식은 북한체제의 일반적인 운영원리를 반영하고 있음을 드러냈다. 외래관광부문의 보편성과 특수성을 통해 외래관광이 북한 경제구조 등 체제변화를 선반영하는지 아니면 지체되어 반영하는지 여부를 보여주었다.

6장 결론에서는 종합차원에서 논의 내용을 정리하고 당초 제기한 세 가지 질문에 나름의 답을 제시했다. 아울러 김정은 정권 이후 외래관광부문 변화를 본 논문 연구 내용을 중심으로 요약하고 향후 변화 움직임을 전망하며 마무리하고 있다.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