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0
학위논문 1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0)
일반도서 (0)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1)
학위논문 (1)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논문명/저자명
베이비붐 세대의 노후에 대한 인식과 노후준비도에 관한 연구 = Baby boomers' recognition of later life and the level of later life preparation / 박다정 인기도
발행사항
서울 :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15.2
청구기호
TM 640 -15-13
형태사항
vii, 74 p. ; 26 cm
자료실
전자자료
제어번호
KDMT1201538127
주기사항
학위논문(석사) --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가정관리학과 가정관리전공, 2015.2. 지도교수: 계선자
원문
미리보기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목차

국문초록 9

I. 서론 12

1. 문제 제기 12

2. 연구의 목적 15

II. 이론적 배경 16

1. 베이비붐 세대의특성 16

2. 베이비붐 세대의 노후에 대한 인식 20

3. 베이비붐 세대의 노후준비도 23

1) 경제적 영역 24

2) 신체적 영역 25

3) 정서적 영역 26

4. 베이비붐 세대의 노후준비도에 영향을 미치는 제변인 28

1) 인구사회학적 특성 28

2) 가족건강성 28

III. 연구문제 및 연구모형 31

1. 연구문제 31

2. 연구모형 32

3. 용어의 정의 33

1) 베이비붐 세대 33

2) 가족건강성 33

3) 노후에 대한 인식 33

4) 노후준비도 33

IV. 연구방법 및 절차 34

1. 조사 도구 34

1) 사회인구학적 변인 34

2) 가족건강성 34

3) 노후에 대한 인식 35

4) 노후준비도 35

2. 조사대상 및 자료수집 36

3. 자료의 분석방법 37

V. 연구결과 및 해석 38

1.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38

2. 주요 변인의 일반적 경향 40

1) 베이비붐 세대의 노후에 대한 인식 40

2) 베이비붐 세대의 노후준비도 41

3. 베이비붐 세대의 노후에 대한 인식 42

1) 사회인구학적 변인 42

2) 가족건강성 44

4. 베이비붐 세대의 노후준비도 45

1) 사회인구학적 변인 45

2) 가족건강성 47

5. 노후에 대한 인식에 따른 베이비붐 세대의 노후준비도 48

6. 베이비붐 세대의 노후준비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군의 상대적 영향력 49

1) 베이비붐 세대의 노후준비도에 대한 변인군의 상대적 영향력 49

2) 베이비붐 세대의 경제적 노후준비도에 대한 변인군의 상대적 영향력 51

3) 베이비붐 세대의 신체적 노후준비도에 대한 변인군의 상대적 영향력 53

4) 베이비붐 세대의 정서적 노후준비도에 대한 변인군의 상대적 영향력 55

VI. 결론 및 제언 57

1. 요약 57

2. 결론 61

3. 제언 64

참고문헌 65

부록 73

부록 1. 표 73

부록 2. 설문지 74

ABSTRACT 82

표 1. 변인별 신뢰도 분석 36

표 2. 조사대상자의 사회인구학적 특성 39

표 3. 베이비붐 세대의 노후에 대한 인식 40

표 4. 베이비붐 세대의 노후준비도 41

표 5. 베이비붐 세대의 사회인구학적 변인에 따른 노후에 대한 인식 43

표 6. 베이비붐 세대의 가족건강성에 따른 노후에 대한 인식 44

표 7. 베이비붐 세대의 사회인구학적 변인에 따른 노후준비도 46

표 8. 베이비붐 세대의 가족건강성에 따른 노후준비도 47

표 9. 베이비붐 세대의 노후에 대한 인식에 따른 노후준비도 48

표 10. 베이비붐 세대의 노후준비도에 대한 변인군의 상대적 영향력 50

표 11. 베이비붐 세대의 경제적 노후준비도에 대한 변인군의 상대적 영향력 52

표 12. 베이비붐 세대의 신체적 노후준비도에 대한 변인군의 상대적 영향력 54

표 13. 베이비붐 세대의 정서적 노후준비도에 대한 변인군의 상대적 영향력 56

표 14. 연구 모형의 주요 변수 간 상관관계 73

그림 1. 연구모형 32

초록보기 더보기

 본 연구에서는 베이비붐 세대의 노후에 대한 인식과 노후준비도의 실태를 살펴보고, 노후준비도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분석하여 베이비붐 세대가 노인이 되었을 때의 위험요소들을 예방하고 성공적인 노후생활을 영위하도록 돕기 위한 제언을 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울산광역시에 거주하는 만 50세 이상-만 60세 이하의 베이비붐 세대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2014년 2월 10일부터 2월 20일 까지 베이비붐 세대 100명을 대상으로 예비조사를 실시하였고, 2014년 3월 1일부터 5월 10일에 걸쳐 본 조사를 실시하였다. 총 504명의 응답결과를 최종 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SPSS Windows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신뢰계수(Cronbach' α),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t-test, 일원분산(one-way ANOVA), 사후검증법(Duncan's Multiple Range Test), 위계적 회귀분석(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주요변인의 일반적 경향을 살펴보면, 베이비붐 세대의 가족건강성은 2.99점, 노후에 대한 인식은 3.27점, 노후준비도는 3.19점으로 나타났다. 이들의 노후준비도는 정서적, 신체적, 경제적 영역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정서적 노후준비도가 가장 활발하며, 경제적 노후준비도가 가장 미흡한 것으로 보고되었다.

둘째, 베이비붐 세대의 사회인구학적 변인에 따른 노후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면, 여성이고, 소득과 주관적 생활수준이 높을수록 노후에 대한 인식이 더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베이비붐 세대의 사회인구학적 변인에 따른 노후준비도를 살펴보면, 학력, 배우자유무, 소득, 주관적 생활수준이 유의미한 변수로 나타났다. 중졸 이하보다는 고졸이상이, 배우자가 없는 사람보다는 있는 사람이 전체 노후준비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소득과 주관적 생활수준이 높을수록 전체 노후준비도 높게 나타났다. 하위영역별로 살펴보았을 때 베이비붐 세대의 경제적 노후준비도의 경우, 중졸이하보다는 고졸이상이, 배우자가 없는 사람보다는 있는 사람이, 소득이 높을수록, 주관적 생활수준은 하보다는 중 이상이 베이비붐 세대의 경제적 노후준비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베이비붐 세대의 신체적 노후준비도의 경우 중졸 이하보다는 고졸 이상이, 소득은 600만 원 미만보다 600만 원 이상이, 주관적 생활수준이 높을수록 베이비붐 세대의 신체적 노후준비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베이비붐 세대의 정서적 노후준비도의 경우는 중졸이하보다는 고졸이상이, 배우자가 없는 사람보다는 있는 사람이, 소득, 주관적 생활수준이 높을수록 베이비붐 세대의 정서적 노후준비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베이비붐 세대의 가족건강성에 따른 노후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면, 가족건강성이 낮은 사람보다는 보통 이상인 사람이 노후에 대한 인식이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베이비붐 세대의 가족건강성에 따른 노후준비도를 살펴보면, 가족건강성이 낮은 사람보다는 보통 이상인 사람이 전체 노후준비도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경제적 영역, 신체적 영역, 정서적 영역 역시 가족건강성이 낮은 사람보다는 보통 이상인 사람이 베이비붐 세대의 노후준비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베이비붐 세대의 노후에 대한 인식에 따른 노후준비도를 살펴보면, 노후에 대한 인식이 긍정적일수록 전체 노후준비도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경제적 영역, 신체적 영역은 노후에 대한 인식이 부정적인 사람보다는 보통 이상인 사람이 노후준비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정서적 영역은 노후에 대한 인식이 긍정적일수록 정서적 노후준비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일곱째, 베이비붐 세대의 노후준비도에 대한 관련 변인들의 상대적 영향력을 살펴본 결과, 1단계 사회인구학적 변인에서는 여성이고, 수입이 높고, 주관적 생활수준이 높을수록 베이비붐 세대의 노후준비도가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이 변인의 설명력은 21%로 나타났다. 2단계 가족건강성을 추가한 결과 가족건강성이 높을수록 베이비붐 세대의 노후준비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 변인들의 설명력은 28%였다. 마지막 3단계에서 노후에 대한 인식을 추가하여 분석한 결과 노후에 대한 인식이 긍정적일수록 베이비붐 세대의 노후준비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변인들의 설명력은 32%였다.

결론적으로 볼 때, 베이비붐 세대는 보통수준의 가족건강성, 노후에 대한 인식, 노후준비를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본 연구 결과에서 베이비붐 세대의 경제적 노후준비가 타 영역에 비해 미흡한 것으로 나타나 경제적 노후준비에 도움을 줄 수 있는 대안이 필요하다. 즉 국민연금의 장기지속 가능성 확보 및 사각지대 해소, 사적 소득보장제도 확충을 통한 노후 소득보장과 중·고령자 맞춤형 취업서비스, 일자리 창출 및 창업지원 등 경제적인 노후준비의 지원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고 본다. 또한 정책적 차원에서의 대응뿐 아니라 민간차원에서도 복지관, 건강가정지원센터 등 다양한 기관에서 노후의 경제적 준비관련 교육 및 컨설팅프로그램이 활성화되어야 할 것이다. 베이비붐 세대의 노후준비도에 대한 관련 변인들의 상대적 영향력에서는 주관적 생활수준, 가족건강성, 노후에 대한 인식이 높을수록 베이비붐 세대의 노후준비도가 높게 나타났다. 이는 노후준비에 있어서도 양극화현상을 알 수 있으며 이를 위해 계층적으로 맞춤화 된 노후준비 인프라를 구축할 필요가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또한 베이비붐 세대의 건강한 노후생활을 위하여 가족건강성 증진 프로그램 등 보다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지원 제도가 요구되며, 노후를 자연스럽고 긍정적으로 받아들이기 위한 노후준비관련 교육 프로그램이 이루어져야 되어야 할 것이다.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