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목차
ABSTRACT 5
Abbreviation list 6
서론 7
대상과 방법 10
1. 대상 10
2. 방법 10
1) 혈액검사 10
2) 경동맥 초음파 11
결과 12
고찰 14
참고문헌 18
Figures 25
요약(국문초록) 28
목적: 망막혈관질환 환자에서 심혈관계 질환과의 연관성을 알아보고 경동맥초음파의 유용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과 방법: 2010년 1월부터 2013년 6월까지 본원에서 앞허혈시신경 병증(AION), 중심정맥폐쇄(CRVO), 중심동맥폐쇄(CRAO), 안허혈증후군(OIS)을 진단받은 환자를 대상으로 경동맥 초음파와 혈액검사를 시행하여 내중막두께의 변화와 혈관협착(stenosis) 유무를 측정하고, 혈액검사를 시행하여 건강한 대조군과 비교하였다.
결과: 환자군은 129명 129안 이었으며, 대조군은 107명 107안 이었다. 평균 나이는 전체 환자군에서 60.0±14.1세 였으며, 대조군은 56.1±9.1세였다. 동측 경동맥 내중막두께는 대조군과 비교하여 안허혈증후군과 망막중심동맥폐쇄군에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각각 p〈0.01, 〈0.01). 경동맥의 협착은 안허혈증후군에서 17명 (62.9%)으로 가장 높았으며, 망막중심동맥폐쇄 5명 (21.7%), 망막중심정맥폐쇄 2명 (5.9%), 앞허혈시 신경병증 1명 (2.2%) 순으로 나타났다. 대조군에서는 의미 있는 협착은 관찰되지 않았다. 총 콜레스테롤 수치는 환자군과 대조군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저밀도지단백 콜레스테롤 수치는 모든 환자군에서 대조군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각각 p〈0.01, 〈0.01, 〈0.05, 〈0.01).
결론: 망막혈관질환이 있는 환자들은 경동맥 질환 및 이상지질혈증이 선행하였을 가능성이 있어 경동맥 초음파와 혈중 지질검사 등의 전신적인 검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