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목차

ABSTRACT 5

Abbreviation list 6

서론 7

대상과 방법 10

1. 대상 10

2. 방법 10

1) 혈액검사 10

2) 경동맥 초음파 11

결과 12

고찰 14

참고문헌 18

Figures 25

요약(국문초록) 28

초록보기

목적: 망막혈관질환 환자에서 심혈관계 질환과의 연관성을 알아보고 경동맥초음파의 유용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과 방법: 2010년 1월부터 2013년 6월까지 본원에서 앞허혈시신경 병증(AION), 중심정맥폐쇄(CRVO), 중심동맥폐쇄(CRAO), 안허혈증후군(OIS)을 진단받은 환자를 대상으로 경동맥 초음파와 혈액검사를 시행하여 내중막두께의 변화와 혈관협착(stenosis) 유무를 측정하고, 혈액검사를 시행하여 건강한 대조군과 비교하였다.

결과: 환자군은 129명 129안 이었으며, 대조군은 107명 107안 이었다. 평균 나이는 전체 환자군에서 60.0±14.1세 였으며, 대조군은 56.1±9.1세였다. 동측 경동맥 내중막두께는 대조군과 비교하여 안허혈증후군과 망막중심동맥폐쇄군에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각각 p〈0.01, 〈0.01). 경동맥의 협착은 안허혈증후군에서 17명 (62.9%)으로 가장 높았으며, 망막중심동맥폐쇄 5명 (21.7%), 망막중심정맥폐쇄 2명 (5.9%), 앞허혈시 신경병증 1명 (2.2%) 순으로 나타났다. 대조군에서는 의미 있는 협착은 관찰되지 않았다. 총 콜레스테롤 수치는 환자군과 대조군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저밀도지단백 콜레스테롤 수치는 모든 환자군에서 대조군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각각 p〈0.01, 〈0.01, 〈0.05, 〈0.01).

결론: 망막혈관질환이 있는 환자들은 경동맥 질환 및 이상지질혈증이 선행하였을 가능성이 있어 경동맥 초음파와 혈중 지질검사 등의 전신적인 검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