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0
학위논문 1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0)
일반도서 (0)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1)
학위논문 (1)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논문명/저자명
학교 부적응 청소년의 만화 예술치료 프로그램 효과에 관한 연구 / 정기호 인기도
발행사항
용인 : 중앙신학대학원대학교, 2015.2
청구기호
TD 361.06 -15-52
형태사항
vii, 179 p. ; 30 cm
자료실
전자자료
제어번호
KDMT1201543540
주기사항
학위논문(박사) -- 중앙신학대학원대학교, 상담학전공, 2015.2. 지도교수: 김성
원문
미리보기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목차

국문초록 10

제1장 서론 12

제1절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12

제1항 연구의 필요성 12

제2항 연구의 목적 16

제2절 연구의 문제와 범위 17

제3절 용어의 정의 18

제1항 학교 부적응 청소년 18

제2항 만화치료(Cartoon Arts Therapy) 19

제3항 예술치료 20

제2장 이론적 배경 22

제1절 학교 부적응 청소년의 이해 22

제1항 학교 부적응 청소년의 이해 22

제2항 학교 부적응 청소년의 요인과 문제행동 23

제3항 학교 부적응 청소년의 에니어그램 성격적 이해 30

제2절 만화치료(Cartoon Arts Therapy)와 예술치료의 관계 37

제1항 미술치료의 개념 37

제2항 만화와 예술치료의 개념 41

제3항 통합 예술 치료의 효과 43

제3절 선행연구 48

제1항 학교 부적응 청소년에 관한 선행연구 48

제2항 학교 부적응 청소년에 관한 예술치료 선행연구 50

제3장 연구방법 및 과정 53

제1절 연구방법 53

제2절 연구의 진행과정 53

제1항 연구 참여자의 선정과 학교 배경 53

제2항 연구 참여자의 부적응 유형 54

제3항 연구도구 54

제4항 자료의 처리 및 상담 기법 56

제4장 연구결과 59

제1절 도출된 자료에 대한 의미 분석 결과 59

제1목 참여자 1: 학업 중단 63

제2목 참여자 2 : 불안 심리 67

제3목 참여자 3 : 외톨이 69

제4목 참여자 4 : 집단 따돌림 71

제5목 참여자 5 : 과잉 행동 75

제6목 참여자 6 : 약물 남용 78

제7목 참여자 7 : 흡연 80

제8목 참여자 8 : 학교 폭력 83

제9목 참여자 9 : 무기력 87

제10목 참여자 10 : 감정 조절이 안돼서 힘들어요. 89

제11목 참여자 11 : 학교가 싫어요 93

제12목 참여자 12 : 인정받고 싶어요. 96

제13목 참여자 13 : 아버지가 싫어요. 100

제14목 참여자 14 : 거짓말과 자살충동 103

제15목 참여자 15 : 자꾸 엄마 눈치가 보여서 너무 힘들어요. 108

제16목 참여자 16 : 머리가 너무 아파요. 110

제17목 참여자 17 : 친구들이 내 마음을 너무 알아주지 못해요. 113

제18목 참여자 18 : 엄마의 지나친 관심이 부담돼요. 115

제19목 참여자 19 : 모든 것이 다 짜증나요. 117

제20목 참여자 20 : 부정적인 생각 120

제2절 만화치료 상담 전후 행동 변화 결과 123

제1항 참여자 1 123

제2항 참여자 2 123

제3항 참여자 3 124

제4항 참여자 4 127

제5항 참여자 5 127

제6항 참여자 6 127

제7항 참여자 7 128

제8항 참여자 8 129

제9항 참여자 9 129

제10항 참여자 10 130

제11항 참여자 11 130

제12항 참여자 12 131

제13항 참여자 13 131

제14항 참여자 14 131

제15항 참여자 15 132

제16항 참여자 16 132

제17항 참여자 17 133

제18항 참여자 18 133

제19항 참여자 19 134

제20항 참여자 20 135

제5장 논의 138

제6장 결론 및 제언 153

제1절 요약 및 결론 153

제2절 연구의 의의 및 기독교 상담학적 적용 방안 157

제1항 연구의 의의 157

제2항 기독교 상담학적 적용 방안 158

제3절 연구의 한계 및 제언 162

참고문헌 164

부록 173

부록 1. 연구 참여 동의서 173

부록 2. 이야기 그림 검사(DAS) 174

부록 3. 학생 정서행동 특성 검사 AMPQ-II검사지 176

부록 4. 청소년 에니어그램 성격 검사 질문지 178

부록 5. 개방형 질문지 182

부록 6. 연구 참여자들의 만화치료(Cartoon Arts Therapy) 183

표 1. 에니어그램 성격 유형 명칭 및 특성에 대한 정의 32

표 2. 연구 참여자 현황 및 양육 환경 54

표 3. 학교 상담 및 부적응 유형 54

표 4. 판정 기준 55

표 5. 학교 부적응 청소년의 추출된 자료 의미 분석 59

그림 1. 대사와 말풍선 20

그림 2. 만화치료(Cartoon Arts Therapy) 프로그램 58

그림 3. 만화치료(Cartoon Arts Therapy) 63

그림 4. 만화치료(Cartoon Arts Therapy) 63

그림 5. K-HTP 63

그림 6. 만화치료(Cartoon Arts Therapy) 67

그림 7. 네칸만화그리기 67

그림 8. 네칸만화그리기 67

그림 9. 가족물고기 70

그림 10. 만화치료(Cartoon Arts Therapy) 70

그림 11. 네칸만화그리기 70

그림 12. 표정으로 감정 알아차리기 71

그림 13. 네칸만화그리기 72

그림 14. 만화치료(Cartoon Arts Therapy) 72

그림 15. 네칸만화그리기 72

그림 16. 네칸 만화그리기 76

그림 17. 네칸 만화그리기 76

그림 18. 사과나무 열매 따는 사람 77

그림 19. 만화치료(Cartoon Arts Therapy) 80

그림 20. 만화치료(Cartoon Arts Therapy) 81

그림 21. 네칸만화그리기 81

그림 22. 사람 그리기 81

그림 23. 함께 생각해 보기 82

그림 24. 만화치료(Cartoon Arts Therapy) 84

그림 25. 함께 생각해보기 86

그림 26. 네칸만화그리기 87

그림 27. 네칸만화그리기 87

그림 28. 만화치료(Cartoon Arts Therapy) 87

그림 29. 네칸만화그리기 90

그림 30. 만화치료(Cartoon Arts Therapy) 90

그림 31. 만화치료(Cartoon Arts Therapy) 94

그림 32. 만화치료(Cartoon Arts Therapy) 94

그림 33. 만화치료(Cartoon Arts Therapy) 94

그림 34. 네칸 만화그리기 94

그림 35. 만화치료(Cartoon Arts Therapy) 94

그림 36. 네칸 만화그리기 94

그림 37. 만화치료(Cartoon Arts Therapy) 97

그림 38. 만화치료(Cartoon Arts Therapy) 100

그림 39. 네칸 만화그리기 101

그림 40. 네칸 만화그리기 102

그림 41. 만화치료(Cartoon Arts Therapy) 104

그림 42. 네칸 만화그리기 104

그림 43. 만화치료(Cartoon Arts Therapy) 105

그림 44. 네칸 만화그리기 108

그림 45. 사람 그리기 108

그림 46. 만화치료(Cartoon Arts Therapy) 111

그림 47. 만화치료(Cartoon Arts Therapy) 111

그림 48. 네칸만화그리기 111

그림 49. 만화치료(Cartoon Arts Therapy) 113

그림 50. 만화치료(Cartoon Arts Therapy) 115

그림 51. 네칸만화그리기 115

그림 52. 네칸만화그리기 118

그림 53. 만화치료(Cartoon Arts Therapy) 118

그림 54. 네칸만화그리기 118

그림 55. 네칸만화그리기 120

그림 56. 네칸만화그리기 120

그림 57. 네칸만화그리기 122

그림 58. 함께 생각해보기 125

그림 59. 네칸만화그리기 126

초록보기 더보기

 본 연구의 목적은 우울증 선별을 위해 Silver가 개발한 이야기 그림검사(Draw A Story: DAS)를 활용하고 적용한 만화예술치료(Cartoon Arts Therapy)프로그램을 인문계고등학교 학교부적응 참여자들에게 상담 회기동안 적용 하여 연구 참여자들의 무의식 속에 있는 감정과 생각들을 그들의 관점에서 이해하고자 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현상학적 질적 사례 연구 방법인 마일스(Miles)와 허버만(Huberman)이 제안한 개념적으로 군집화된 메트릭스(conceptually or dered matrix)를 통해 질적 사례 분석한 의미들을 연구하여 행동 변화의 효과를 검증 하였다. 또한 학교부적응 학생들이 학교 재적응과 행동변화를 일으키기까지의 과정을 연구 하였다. 연구문제에 따른 결과에서 추출한 의미들을 중심으로 학교 적응과정에 대해 논의하였고, 학교부적응의 원인과 행동 변화의 관찰 과정에 관하여 담임교사 의견과 필자의 의견을 함께 제시 검증하였다. 학교 부적응 학생의 범위는 생활인권부와 담임교사에게 의뢰된 학업 중도 탈락, 학교폭력, 근태불량, 지시불응 및 기타 학생들을 대상으로 선정하여 상담 과정을 통하여 얻어진 학교 부적응의 요인들을 분석 연구 하였다.

연구 참여자들의 선정은 학교 부적응 갈등을 겪고 있는 160명의 개인 상담 참여자들 중에 선도 사안(무단결석, 조퇴, 학교폭력, 교사 지시 불응, 학업중단, 따돌림, 심리불안)이 있는 48명의 연구 참여자들을 선정하였고 중복 부적응 사안 참여자를 제외한 20명의 참여자들의 학교 부적응 현상을 만화치료(Cartoon Arts Therapy)를 통하여 그려진 그림 속 말풍선 대사들의 의미를 분석하고 추출하여 학교 부적응의 요인들을 알아냈다. 본 연구는 인문계 고등학생들의 학교 부적응을 질적 사례 분석함으로써 현상 속에 내재된 심리를 구조화할 수 있었다는 점이다. 청소년기에 해당하는 고등학생의 발달적 특징으로 내면에 깊이 들어가 자기를 들여다보고 타인에게 언어로 표현하기가 쉽지 않은 현실 속에 만화치료(Cartoon Arts Therapy)를 통하여 그려진 그림 속 말풍선 대사들과 이야기 내용들은 숨겨진 내제된 심리를 알 수 있는 결과물들 이다.

본 연구는 인문계 고등학생의 부적응적 인지, 감정, 행동을 중심으로 진행되어온 연구가 지닌 문제 중심적 차원에서 벗어나 삶의 긍정적 의미를 발견하는 차원의 기회가 되었다. 본 연구의 특징은 양적 연구가 지니고 있는 객관적 서술 중심의 연구 결과를 넘어 연구 참여자의 주관적 진술을 깊이 있는 실제 사례 분석을 통해 일반화를 위한 타당도를 높이는 연구방법으로 이루어진 청소년 만화예술심리치료 프로그램 이다.

연구의 결과로는 만화치료(Cartoon Arts Therapy)를 이용한 상담 과정의 핵심은 적극적 상상을 통해 형상화된 무의식적 이미지들을 언어적인 매개를 통해 한 번 더 미해결 감정을 발산하고, 인지적 재구조화를 일으킬 수 있다는 것이다. 그리고 만화치료 프로그램은 참여자가 스스로 완성한 작품들 속에서 참여자 자신을 이해하고 인식 하게 되어 참여자 스스로 자신 안에 있는 가능성을 발견하고, 치유하고 행동변화를 가져올 수 있도록 도와줄 수 있었다. 만화치료(Cartoon Arts Therapy)는 이러한 의사소통 과정을 통해서 감정을 표현 하거나 정서를 순화하는데 더욱 효과가 있었다. 본 연구는 학교 부적응을 경험한 인문계 고등학교 학생을 연구 참여자로 선택하여 진행하였고 학교 내에서 발생하는 부적응 문제에 관련된 상담 참여자만을 참여자로 선정했으며 일반 개인 의뢰 상담 학생들은 많이 배제되었다. 또한 대도시의 인문계 학교에서 학업 하는 학생으로서 고등학생만 선정되었다. 따라서 인문계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참여자들에게서 들을 수 없는 실업계 고등학생들과 중학생들의 학교 내에서의 갈등을 볼 수 없었다는 것이 자장 큰 아쉬움으로 남는다. 본 연구의 결과를 기반으로 위와 같이 후속 연구제언을 하고자 한다.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