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0
학위논문 1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0)
일반도서 (0)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1)
학위논문 (1)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논문명/저자명
독거노인의 우울증에 미치는 영향요인의 관한 연구 : 사회적 지지를 중심으로 / 여익구 인기도
발행사항
용인 : 중앙신학대학원대학교, 2015.2
청구기호
TD 361 -15-327
형태사항
viii, 160 p. ; 28 cm
자료실
전자자료
제어번호
KDMT1201543562
주기사항
학위논문(박사) -- 중앙신학대학원대학교, 사회복지학과 사회복지학전공, 2015.2. 지도교수: 구금섭
원문
미리보기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목차

국문초록 11

제1장 서론 13

제1절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13

1. 연구의 필요성 13

2. 연구의 목적 18

제2절 연구의 범위와 방법 19

1. 연구의 범위 20

2. 연구의 방법 20

제3절 용어의 정의 21

1. 노인 21

2. 독거노인 21

3. 일상생활 수행능력 22

4. 우울증 22

5. 사회적지지 23

제2장 이론적 배경 24

제1절 독거노인 24

1. 독거노인의 개념 24

2. 독거노인의 현황 26

3. 독거노인의 특성 33

제2절 일상생활 수행능력 42

1. 일상생활 수행능력의 개념 43

2. 일상생활 수행능력의 실태 47

3. 일상생활 수행능력의 영향요인 50

제3절 우울증 55

1. 우울증의 개념 55

2. 우울증의 발생원인 59

3. 우울증의 증상과 유형 64

제4절 사회적 지지 70

1. 사회적지지의 개념 70

2. 사회적지지의 기능과 유형 75

3. 사회적 지지의 효과 83

제5절 선행연구 고찰 87

1. 인구사회학적특성과 신체적 기능 87

2. 신체적 기능요인과 우울증 89

3. 우울증과 사회적지지 96

제3장 연구 방법 100

제1절 연구모형 및 연구가설 100

1. 연구의 모형 100

2. 연구가설 101

3. 변수의 조작적 정의 및 측정도구 102

제2절 연구대상 및 자료수집 112

1. 연구대상 112

2. 자료수집 112

3. 자료통계 분석방법 112

제4장 연구결과 114

제1절 조사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114

1.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114

제2절 주요변수에 대한 기술분석 119

1. 일상생활수행능력(ADL, IADL) 119

2. 우울증 119

3. 사회적지지 120

제3절 주요변수와 인구사회학적 변수와의 관계 120

1. 성별에 따른 t-검정 120

2. 종교생활 유무의 t-검정 122

3. 연령에 따른 차이검증 124

4. 독거기간에 따른 분산분석 126

5. 건강상태에 따른 분산분석 128

6. 경제 상태에 따른 분산분석 130

제4절 주요변인들 간의 상관분석 133

제5절 연구가설 검증 134

1.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우울증 수준의 관계분석 134

2. 독거노인의 신체적 기능과 우울증의 관계분석 138

3. 독거노인의 우울증에 대한 사회적지지의 조절효과 분석 140

제5장 결론 및 제언 144

제1절 주요 연구결과 및 논의 144

제2절 연구의 제한점 및 제언 148

참고문헌 151

Abstract 164

부록: 조사표 167

〈표2-1〉 독거노인 인구 수 26

〈표2-2〉 독거노인 가구 추이 27

〈표2-3〉 성별 고령 인구 28

〈표2-4〉 노년부양비 및 노령화 지수 29

〈표2-5〉 기대여명(65세 이상, 2011년) 29

〈표2-6〉 주관적 만족감 30

〈표2-7〉 사회적 관계망(2011년) 31

〈표2-8〉 이혼·재혼 건수 32

〈표2-9〉 생활비 마련방법 (2011년) 32

〈표2-10〉 지역별, 가구형태별 일상생활 수행능력 51

〈표3-1〉 사회적 지지의 개념적 접근 74

〈표3-2〉 사회적 지지의 하위영역 78

〈표3-3〉 신체적 기능 척도 103

〈표3-4〉 우울증 척도 105

〈표3-5〉 KMO와 Bartlett의 검정 105

〈표3-6〉 우울증 요인분석 결과 106

〈표3-7〉 사회적지지 척도 108

〈표3-8〉 KMO와 Bartlett의 검정 108

〈표3-9〉 사회적지지 요인분석 109

〈표3-10〉 각 변수의 측정도구 111

〈표4-1〉 조사대상자의 인구 사회적 현황 114

〈표4-2〉 경제적 현황 116

〈표4-3〉 주 수입원 116

〈표4-4〉 건강상태 117

〈표4-5〉 질병 군 118

〈표4-6〉 종교생활유무 119

〈표4-7〉 조사대상자의 신체적 기능에 대한 기술분석 119

〈표4-8〉 조사대상자의 우울수준 120

〈표4-9〉 사회적지지의 하위변인 기술통계 120

〈표4-10〉 성별에 따른 독수변수의 차이검증 121

〈표4-11〉 성별에 따른 사회적지지의 차이검증 121

〈표4-12〉 종교생활 유무에 따른 신체적 기능의 차이 검정 122

〈표4-13〉 종교생활 유무에 따른 사회적지지의 차이 검정 123

〈표4-14〉 연령에 따른 신체적 기능 124

〈표4-15〉 연령에 따른 사회적지지 차이 검증 125

〈표4-16〉 독거기간에 따른 신체적 기능 분산분석 126

〈표4-17〉 독거기간에 따른 사회적지지 분산분석 127

〈표4-18〉 건강상태에 따른 신체적 기능 분산분석 128

〈표4-19〉 건강상태에 따른 사회적지지 분산분석 129

〈표4-20〉 경제 상태에 따른 신체적 기능 분산분석 131

〈표4-21〉 경제 상태에 따른 사회적지지 분산분석 131

〈표4-22〉 주요변인들 간의 상관관계 134

〈표4-23〉 성별에 따른 우울증 t-검증 135

〈표4-24〉 연령에 따른 우울증 차이 검증 135

〈표4-25〉 독거기간에 따른 우울증 차이 검증 136

〈표4-26〉 건강상태에 따른 우울증 차이 검증 136

〈표4-27〉 경제 상태에 따른 우울증 차이 검증 137

〈표4-28〉 종교유무에 따른 우울증 t-검증 138

〈표4-29〉 결혼 상태에 따른 우울증 t-검증 138

〈표4-30〉 독거노인의 신체적기능이 우울증에 미치는 영향 139

〈표4-31〉 독거노인의 우울증에 대한 사회적지지의 조절효과 141

〈그림2-1〉 사회관계망의 수준과 사회적지지의 요청 방향 76

〈그림3-1〉 연구모형 100

초록보기 더보기

 본 연구에서는 고령사회에서 가장 빠른 증가를 보이는 노인세대 중 특히 독거노인의 지속적인 증가로 인한 사회적 문제도 증가하여 사회정책의 대응이 요구되고 있다. 독거노인은 정신적 건강 면에서 취약하고, 노인수발의 증가, 경제문제에 파생되는 빈곤율, 독거노인 종합지원대책의 미흡의 문제점 등으로 빈번한 우울증이 발생하고 있다는 선행연구를 기반으로, 이를 해결하기 위해 개인적인 방안으로 사회적 지지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사회적지지가 우울증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이때 사회적 지지가 우울증에 조절변수로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를 측정하여 가족이나 사회의 지지가 특히 약한 독거노인들에게 우울증 증감 요인을 조사하여 독거노인의 사회적지지 강화가 독거노인의 우울증을 극복할 수 있는 중요한 요인임을 검증하여 독거노인의 사회적지지 향상 방안을 제시함으로 독거노인 스스로 자존감을 가지고 주도적으로 살아갈 수 있도록 다양한 프로그램 개발과 노인복지정책 및 실천적 합의를 모색하는 데 목적을 두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조사대상자는 자녀와 동거하고 있지 않는 65세 이상의 사회적지지가 취약한 독거노인들을 대상으로 서울노원, 은평지구와 경기지역 광명지구 노인돌봄센터, 노인복지관, 사회복지관을 중심으로 비확률 표집방법인 편의표집방법(Convenience Sampling)을 통해서 선정된 504명을 대상으로 조사 분석 하였다.

분석방법은 빈도분석과 기술 통계분석, T-검증과 분산분석, 다중회귀분석 등이 실시되었고, 이상의 자료는 SPSS 18.0 통계패키지를 이용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 분석을 바탕으로 나타난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대상 독거노인의 정신건강 수준은 우울증 8.66점으로 대부분의 우울증 상태가 경증우울 범위에 속했다.

둘째,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사회적 지지의 차이는 여성이 남성보다, 종교활동을 함으로, 주관적 건강 상태가 좋을수록, 경제상태가 좋을수록, 사회적 지지가 높은 것을 알 수 있었고, 연령과 독거기간은 미미한 차이를 보이나 통계적으로 유의미 하지 않았다.

또한 우울증은 여성 집단이 남성 집단보다 약간 우울증이 높았으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고, 연령 또한 높을수록 우울증이 심해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연령대에 따른 우울증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 하지 않았다. 독거기간은 기간이 오래될수록 우울증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독거기간에 따른 우울증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 하지 않았으나, 건강상태에 따른 우울증의 차이는 건강상태가 좋을수록 우울증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경제상태 또한 나쁠수록 우울증이 증가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신체적 기능요인인 ADL 과 IADL 이 우울증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다중회귀분석결과 일상생활 수행능력 (ADL)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고 도구적 일상생활 활동능력인 IADL 이 우울증에 유의한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도구적 일상생활 활동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위해 신체적 기능을 잘 유지하면서 살아갈 수 있도록 돕고, 독거노인 자신이 의존적이고 가치 없는 존재로 인식하기보다는 독립적이고 가치 있는 존재로서 살아가야 함을 인식하게 되었다.

넷째, 사회적지지가 우울증에 미치는 영향은 사회적지지의 하위요인 중 정서적지지가 제일 큰 영향력을 미치고, 다음으로 정보적지지, 평가적지지, 물질적지지순으로 통계적으로 유의미 하게 나타나 사회적 지지가 우울증의 영향요인에 부적 영향을 완화하는 조절효과로 나타났다.

끝으로 독거노인의 우울증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사회적지지가 투입 된 후 영향력이 없어진 것으로 볼 때, 건강상태가 우울증에 가장 강한 영향력을 보이고 있으며, 건강상태가 좋을수록 우울증이 감소한다고 나타나, 무엇보다도 독거노인의 신체적 기능이 건강하게 잘 유지 될 수 있도록 정신보건 서비스 및 복지서비스를 체계적으로 잘 구축하여 접근하기 쉬운 의료 전달체계가 구축 되어야 하겠다.

이에 독거노인에게는 다른 어떤 것보다도 신체적 건강에 따른 심리적 안녕이 중요시 되고, 우울증 완화를 위하여 정서적, 정보적, 평가적, 물질적지지를 위해 사회복지사는 사회 환경체계에 관심을 가지고, 사회활동을 지속적으로 지원하여 독거노인의 사회적 고립감을 느끼지 않도록 도우며, 독거노인을 향하는 사회적 인식을 긍정적으로 바라보는 노력들과 사회적 지지를 지속적으로 제공함으로서 독거노인의 우울증 완화를 위해 노력해야 할 것이다.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