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0
학위논문 1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0)
일반도서 (0)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1)
학위논문 (1)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논문명/저자명
제주도 초감제 굿춤 연구 = (A)study on the shaman dance of Jejudo Chogamje / 박영애 인기도
발행사항
서울 :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5.8
청구기호
TD 792.8 -15-134
형태사항
v, 145 p. ; 26 cm
자료실
전자자료
제어번호
KDMT1201551891
주기사항
학위논문(박사) -- 한양대학교 대학원, 무용학과, 2015.8. 지도교수: 김운미
원문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목차

국문요지 7

I. 서론 9

1.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 9

2. 선행연구 검토 13

3. 연구방법 및 제한점 16

4. 용어정리 20

II. 이론적 배경 22

1. 제주도의 생활배경 22

1) 전통문화와 지역성 22

2) 제주도민의 무속신앙 23

2. 제주도 굿에 대한 이해 25

1) 제주도 굿의 종류 25

2) 제주도 굿과 신화 27

3) 무구와 악기 45

III. 초감제 굿춤의 전개양상 47

1. 초감제 제차 48

2. 베포도업춤 분석 50

3. 군문열림춤 구조분석 64

1) 군문 돌아봄 65

2) 군문에 인정 78

3) 군문열림 81

4) 군문열림 가믓(경계) 알아봄(천문 산받음)(이미지참조) 107

5) 주잔넘김 108

6) 분부사뤰 109

4. 새다림춤(이미지참조) 110

1) 물감상춤 110

2) 새풀이 114

5. 신청궤춤 116

IV. 초감제 굿춤의 구조적 특징 120

1. 춤의 구조와 원리 120

2. 신화적 시간과 공간 127

3. 우주적 세계관과 신화적 상징 130

V. 결론 133

참고문헌 및 자료 136

Abstract 142

부록 147

〈표1〉 신화와 굿춤 분석을 위한 연구 모형 18

〈표2〉 제주도의 무당굿 31

〈표3〉 성과 속의 경계에 있는 무조신 34

〈표4〉 춤 분석을 위한 기호 47

〈표5〉 제주도 굿춤 기본형1.2.3동작의 쓰임새와 춤의 상징 63

〈표6〉 제주도 굿춤의 형태에 따른 종류와 특징 126

〈표7〉 맞이형 굿춤동작 127

〈그림1〉 연물울림 51

〈그림2〉 4당클 128

〈그림3〉 안연물과 밧연물 129

〈사진1〉 삼멩두 45

〈사진2〉 천문 45

〈사진3〉 칠머리당영등굿 풍어제 50

〈사진4〉 주잔넘김 109

〈사진5〉 기본형 2번 127

〈사진6〉 감상기 뒷걸음질춤 127

〈사진7〉 감상기춤 127

〈사진8〉 제청안 신길 128

〈사진9〉 제청밖 신길 128

초록보기 더보기

 제주도는 신화의 땅으로 현전하는 무속신화가 매우 다양하고 각 본풀이 구연에 앞서 초감제를 반드시 올린다. 이는 여러 신들이 굿이 열리는 장소에 좌정하기까지 하늘이 열리는 아득한 태초의 시간부터 오늘의 굿판이 열리는 현재까지 신의 내력과 인간의 기원을 담은 초월적 현상을 경험하게 한다.

본고는 제주도의 굿춤이 제의 속에서 신화적 상징체계를 담고 있음을 전제로 초감제의 굿춤을 분석하였다.

분석범위는 초감제의 베포도업춤과 군문열림춤, 새다림춤, 신청궤춤이다.

초감제 굿춤의 사상적 배경을 제공하는 베포도업침과 천지왕본풀이는 천지개벽과 인간세상의 질서를 만든 근본내력을 밝히는 한국의 창세신화다.

그 내용을 살펴본 바, 무극(無極)에서 하나의 태극(太極)으로 태극에서 음양(陰陽)과 오행(五行)이 생겨나고, 오행은 천지만물의 생명이 운화하는 자연과 인간 삶의 질서를 마련하였다는 것이다. 하늘과 땅, 인간의 조화로운 질서가 어떻게 생겨났는지 동양의 천문 우주론을 바탕으로 서사가 전개되었다.

본고는 천문 우주론에 대한 해석 자체가 목적이 아니라 제주도라는 지역의 환경적 요인은 제주인의 삶이 고대로부터 천문, 역법에 근거한 자연의 질서를 동경하며 자연신을 숭배하고 하늘의 질서를 강조했던 우주적 관념이 제주민의 의식 속에 자리하였음이 제주도굿 초감제의 본풀이(신화)에 나타나며, 초감제 본풀이는 의례 속 굿춤과 상관성을 지니며 사상적 기틀을 제공한다고 보았다.

신화는 심방의 언어적, 행동적 요소로 재현되는데 이때 굿춤은 제의의 구술상관물인 신화를 상징적으로 표현하는 수단이 되는 것이다.

이는 본고가 제의학파 신화론을 근거로 제의와 신화, 굿춤의 상관성을 논의하였음을 말한다.

초감제 굿춤은 신화와의 제의의 상관성을 잇는 매개로 그 원리를 첫째, 초공본풀이에 근거한 무조신의 성장배경이다. 무조신 젯부기삼형제가 삼천천제석궁에 갇힌 어머니를 구하기 위해 아버지를 찾아가고 심방이 되는 과정은 제주도의 굿을 집행하는 심방의 길과 무구와 악기의 내력을 담은 신화이다.

둘째, 시간과 공간의 분할에 있다고 보았다. 시간의 분할은 초감제 굿춤이 베포도업부터 천지왕과 신들이 생겨난 시간적 순서에 따라, 신이 오는 굿청에 좌정하기까지 시간적 순서에 따라 굿을 진행한다. 공간의 분할은 안과 밖, 이승과 저승, 안연물과 밧연물, 선 굿춤과 앉은 굿춤, 동서남북 사방에 좌정한 신들을 위한 의례로 굿춤의 시간성과 공간성은 굿을 연행하는 형식과 구조에 영향을 미친다.

셋째, 동양우주론을 바탕으로 한 제주민의 생사관과 세계관이다.

동양의 우주론은 무극에서 태극으로 음양이 생겨나고 음양은 순환하여 오행이 생겨나며 음양오행은 하늘과 자연의 질서를 만들어 인간세상의 삶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다.

한마디로 초감제의 굿춤은 초공본풀이에 근거한 굿법으로 베포도업침과 천지왕본풀이의 신화적 상징제의를 시간과 공간을 분할하여 신을 맞이하는 춤이라고 하겠다.

제주도 굿춤의 신화적 상징은 삼멩두(무구)와 연물(악기)을 통해서 제의를 양식화 하였다. 심방의 삼멩두와와 연물은 굿춤을 구성하는 중요요소인데 초공본풀이의 무조신의 내력에 따른 무구를 활용한 춤사위가 굿춤의 주를 이룬다. 제주도굿의 연물은 심방의 동선에 따라 연주가 달라지는데 이는 안연물과 밧(밖)연물로 구분된 제주도굿의 음악적 특징이다.

심방의 동선은 제청의 안(이승, 俗의 세계)과 밖(저승, 聖의 세계)을 구분하여 움직이는데 이런 공간적 분할에 따른 악기의 연주가 달라지는 것이다.

제주도의 굿춤에는 동작의 형태면에서 기본형 1,2,3 동작과 뒷걸음 춤, 앉은 손놀림 춤, 도랑춤이 기본적인 동작소가 되어 굿춤을 구성하였다. 이 기본동작들은 무구의 사용과 함께 굿춤의 신화적 표현에 주술적 기능을 더하였는데 요령은 신의 세계로 들어가는 기능을, 신칼과 천문은 신의(神意)를 점치는 점사(占辭)도구이자 무구(舞具)로서 기능을 하였다.

기본형 1,2,3동작은 춤을 구성하는 기본 동작소이며, 공간의 이동과 춤의 시작과 마무리에 쓰인다. 뒷걸음 춤은 두 가지 형태로 보여 지는데 신을 맞이하기 위한 맞이형과 신을 즐겁게 하기 위한 놀림형으로 구분된다. 이들 기본동작소는 제주도의 굿춤을 구성하는 기본 형식이 된다.

제주도 초감제 굿춤은 굿의 구조에 있어서 연행성, 원리에 있어서 규범성, 춤의 내용면에서 예술성을 지니며, 신화의 철학적, 사상적 배경을 근거로 제의의 신성성을 표현하는 행동적 제의 양식이다.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