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0
학위논문 1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0)
일반도서 (0)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1)
학위논문 (1)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논문명/저자명
아동·청소년의 정치적 참여와 선거권연령 / 김효연 인기도
발행사항
서울 :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5.8
청구기호
TD 340 -15-314
형태사항
ix, 269 p. ; 26 cm
자료실
전자자료
제어번호
KDMT1201555086
주기사항
학위논문(박사) -- 고려대학교 대학원, 법학과, 2015.8. 지도교수: 김선택
원문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목차

제1장 서론 13

제1절 문제제기 및 연구의 필요성 13

제2절 연구의 목적 및 순서 22

제2장 권리주체로서의 아동·청소년 25

제1절 아동·청소년의 정의의 가변성 25

I. 아동·청소년 개념의 역사적 변천 25

II. 아동·청소년의 특성과 지위의 관계 30

III. 시대에 따른 아동·청소년 인권의 변화 34

제2절 아동·청소년의 인권보장을 위한 국제사회의 노력 39

I. 20세기 초 39

II. 20세기 중반 42

III. 20세기 후반 44

IV. 우리 나라의 유엔아동권리협약 가입의 의의 51

제3장 시민으로서의 아동·청소년의 지위 69

제1절 국민이자 시민인 아동·청소년의 헌법상 지위 69

I. 누가 시민인가? 69

II. 시민과 국민과의 관계 74

III. 헌법규정으로 본 아동·청소년의 시민권 76

제2절 아동·청소년의 기본권규정의 신설을 통한 개선방법 89

I. 아동·청소년 권리의 헌법규정화 요청 89

II. 헌법규정의 신설에 의한 아동·청소년의 지위정립 90

III. 외국 헌법상 아동·청소년 관련 규정 104

IV. 아동·청소년의 권리의 헌법적 수용방안 108

제4장 아동·청소년의 정치적 참여보장의 필요성 114

제1절 정치적 참여의 의의 114

I. 아동·청소년의 참여에 대한 시대적 요청 114

II. 민주주의 실현의 전제로서 정치적 참여 127

III. 아동·청소년의 정치적 참여의 유형 132

제2절 아동·청소년의 정치적 참여권의 법적 근거 134

I. 헌법규정에 의한 아동·청소년의 정치적 참여보장 134

II. 아동·청소년의 정치적 참여의 국제법적 근거 142

제3절 아동·청소년의 정치적 참여영역 및 현황 149

I. 아동·청소년의 정치적 참여에 대한 요청 149

II. 아동·청소년의 정치적 참여와 법률의 연령에 의한 제한 154

제5장 아동·청소년의 선거참여와 선거권연령하향 171

제1절 아동·청소년의 정치적 참여와 선거참여 171

I. 아동·청소년의 정치적 참여 방법으로 선거 171

II. 아동·청소년의 선거참여의 의의 178

III. 외국의 'Demeny voting' 도입을 위한 시도와 시사점 182

제2절 우리나라 선거권연령에 관한 연혁 187

I. 제헌국회 선거법 제정과정 및 선거권연령 187

II. 21세에서 20세로 선거권연령하향 192

III. 헌법 제8차·제9차 개정 193

제3절 선거권연령에 의한 아동·청소년의 선거권제한 197

I. 선거권연령에 관한 헌법재판소 결정례 197

II. 선거권의 위헌심사에서의 입법형성(재량)권의 의미 205

IV. 정치적 판단능력(성숙성)과 선거권연령과의 관계 228

V. 교육적 부작용과 선거권연령과의 관계 234

VI. 선거권연령에 관한 헌법재판소 결정에 제시된 논거의 한계 237

제4절 아동·청소년의 선거권연령하향 방안 240

I. 외국 선거권연령하향의 과정 240

II. 제안: 단계적 선거권연령하향 248

제6장 결론 251

참고문헌 255

Abstract 279

초록보기 더보기

 The theme of this paper, "the political participation and the voting age of children and the youth" is motivated by the following questions. Why can't children and the youth in Korea autonomously make a decision on issues related to their own interests? According to the principles of democracy, political participation is very important for the members of the community to exercise their own rights and to look after their own interests. However, why are their political participation extensively limited due to the voting age which is particularly too high to meet the present global trend? What is the rationale behind the current high the voting age which limits their political involvement? Is the rationale possible to secure its legitimacy constitutionally?

In this study, it has been found that children and the youth in Korea are growing up without their political participation that can be used to reflect their autonomous decisions on issues related to their own interests. It is urgent to recognize the seriousness of this problem and to find its solution. For this reasons, this paper aims at emphasizing that it is necessary to change the current anachronistic perception of children and the youth newly and to promote the improvement of their political participation being excluded.

Even though children and the youth correspond to approximately 21 percent of the people, they have been recognized as 'Minority' regarding the realization of their human rights. It is the strongly supporting fact that there is no way for them to participate in the political decision-making process to represent their interests in the institutional aspects. This is because they are not equally considered as Korean citizens and main agents of their rights in our society. Therefore, the solidified perception of their status of the rights Object has had a negative effect on their equality as community members. Their political participation has been limited by the high the voting age embodied in article 15, clause 1 of act on the election of public officials. The problem of limiting the political participation of children and youth by the voting age is limitation of sovereignty of children and youth of being citizen and becoming citizen as democratic citizenship.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it is necessary to discuss the problematic limitation of their political participation due to the current the voting age and the possible improvements to it. In this paper, there is a study on the importance of their participation in elections and the problematic limitations of their rights to vote due to the voting age set in terms of democracy. In particular, this paper focuses on political judgement (maturity) which has been used as the main criteria of the voting age to limit their current political involvement. It is inappropriate to justify the restriction of voting rights of children and the youth under the age of 19 due to the adverse effects of their political judgement(maturity) and educational aspects which the Constitutional Court present as the main reasons for the unconstitutionality of the current the voting age.

Therefore, in order to propose improvements to this problem, The pros and cons of lowering the voting age in foreign countries have been discussed. As a result. it suggests that there is a need for lowing the voting age to ensure their political participation in Korea. Since the legal the voting age needs to be lowered gradually from a long-term perspective, article 15, clause 1 of act on the election of public officials is in urgent need of its amendment to legalize the voting age of 18. Furthermore, the voting age of 16 is being actively discussed in the world. Now it also is necessary to make a continuous effort in order to form a social consensus on the introduction of the voting age 16 in Korea.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