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목차
국문초록 8
1. 서론 10
가. 연구배경 10
나. 연구목적 11
다. 연구범위 및 내용 11
1) 선행연구 및 이론고찰 11
2) 연구관점 설정 11
3) 연구 및 분석 12
라. 연구방법 12
마. 연구흐름도 13
2. 이론고찰 14
가. 공개공지 관련 선례연구 14
1) 공공성 측면 연구 16
2) 이용실태 및 활성화 방안 17
3) 설치기준 및 지침 17
4) 지표설정 17
5) 선행연구와의 차별성 18
나. 공개공지의 정의 19
다. 국내·외 공개공지 제도 비교 22
1) 한국 22
2) 미국 22
3) 일본 22
4) 소결 23
라. 공개공지, 공공공간 관련 이론 정리 25
1) 마뉴엘 드 솔라 모랄레스(Manuel de Sola-Morales) 25
2) 제인 제이콥스(Jane Jacobs) 25
3) 얀겔(Jan Gehl) 26
4) 윌리엄 화이트(William Whyte) 27
5) 리차드 헤드먼(Richard Hedman) 28
6) 르웰린 데이비스(Llewelyn Davies) 28
7) 크리스토퍼 알렉산더(Christopher Alexander) 29
8) 알란 제이콥스(Allan Jacobs) 31
9) 케빈린치(Kevin Lynch) 32
10) 공공공간을 위한 프로젝트(PPS_Project for Public space) 33
마. 공개공지 유형 분류와 기준 37
3. 공공성에 관한 연구 40
가. 공공성의 사전적 정의 40
나. 공공성의 특성 40
1) 형평성 41
2) 공익성 41
3) 일상성 41
다. 시대에 따른 공공성의 변화 42
4. 사례조사 및 분석 43
가. 연구방법 43
1) 연구대지선정 44
2) 현장조사 45
3) 설문조사 45
나. 공개공지 현장조사 46
1) 체크리스트 작성하기 46
2) 기타체크리스트 49
3) 장소별 특징 및 인터뷰 내용 52
다. 설문조사 65
1) 설문내용 65
2) 설문결과 67
3) 설문결과 분석 68
라. 유형분류 70
1) 분류 기준 선정 70
2) 유형별 분류 71
3) 소결 74
5. 결론 75
6. 참고문헌 77
Abstract 79
부록 81
가. 설문지 양식 81
나. 설문결과 그래프 83
다. 장소별 체크리스트 95
그림 1. 연구흐름도 13
그림 2. 공개공지 관련용어 정리 21
그림 3. 좋은공간을 만들기 위한 조건 34
그림 4. 유형분류 선정기준과 세부사항 70
그림 5. 앉는공간 장소별 유형분류 71
그림 6. 필지 내 차량공간과의 관계 장소별 유형분류 72
그림 7. 공개공지, 공공공지 분리여부 장소별 유형분류 73
과거의 도시는 건축물 내부공간 활용 방안에만 초점이 맞춰졌지만 현대사회로 이전하면서 이용자의 라이프 스타일이 변화하고 삶이 윤택해지면서 점차 건축물 외부공간의 중요성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기 시작하였다. 건축물의 외부공간은 도시의 질을 평가하는 중요한 요소로 이곳에서 다양한 활동이 발생되기 위해 외부 공간 디자인 계획관련 연구가 지속적으로 진행되고 있다.
한편, 급격한 도심고밀화로 인하여 부족한 공공공간을 충당하기 위하여 제정된 '공개공지' 제도는 질적인 효율보다는 양적인 팽창에 치중되어 있어 공개공지 공간이 공공성 증진에 효과적으로 기여하고 있지 못하고 있다는 평가가 제기되고 있다.
본 연구는 현장조사를 통하여 공개공지의 이용률에 영향을 미치는 물리적 요인에 관한 연구를 통해 공공성을 회복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각 대지 상황에 적합한 공개공지의 바람직한 설계방향에 대하여 연구해보고, 국내·외 공개공지 관련 법규와 사례비교를 통한 국내의 공개공지의 향후 운영방안에 대하여 탐구해본다. 현재 광주 내에 조성되어 있는 공개공지를 방문하여 이용 상태를 점검하고 이용률을 증가시키는 요인과 저하시키고 있는 요인을 평가하였다. 또한 대상 공개공지를 이용하는 일반인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공개공지 이용현황 및 공간에 대한 인식 등에 관한 조사가 이루어졌다.
이상의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결과들이 도출되었다. 보행자의 행태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앉는공간, 대중교통 정류장, 횡단보도, 주변건물의 프로그램이 있었다. 차도공간(특히 주차공간보다는 통행로)이 공개공지와 가까울수록 이용률이 저하되는 경향을 보였고 가로공간과 공개공지간에 구분을 최소화시키는 방안도 공개공지 이용률을 높이는데 중요한 사항으로 나타났다.
건축주만을 위한 공간이 아닌 공공을 위하여 기부한 공간, 사유지와 공유지의 경계를 없앤 도시공간이야 말로 바람직한 공개공지라고 생각한다. 그 중 공개공지는 사적으로 계획되는 사유지이기 때문에 올바르게 개선되고 유지된다면 공공공지와 함께 도시의 효율적인 공공공간으로 자연스럽게 스며들 수 있는 여지가 충분히 있다고 생각한다.
공공공간의 중요성이 더욱더 중요해지고 있는 시점에서 우리는 건물 주변에 적용된 법규에 맞춘 실외공간으로서 공개공지가 아니라, 도심 속의 한 공간으로, 함께 공존할 수 있는 환경으로 발전시키기 위해 더욱더 장기간으로 바라보고 큰 그림을 그릴 필요가 있다.*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