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0
학위논문 1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0)
일반도서 (0)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1)
학위논문 (1)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논문명/저자명
한국성인의 식사패턴 및 식습관에 따른 건강지표 분석 : 제 5기 1,2차년도 국민건강영양조사를 활용하여 / 김미경 인기도
발행사항
대구 : 계명대학교 대학원, 2015.8
청구기호
TD 306.0951 -15-22
형태사항
vii, 125 p. ; 26 cm
자료실
전자자료
제어번호
KDMT1201557721
주기사항
학위논문(박사) -- 계명대학교 대학원, 한국문화학과, 2015.8. 지도교수: 최미자
원문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목차

I. 서론 10

II. 이론적 배경 13

1. 한국성인의 식품 섭취 특성 13

2. 한국성인의 영양소 섭취량 13

3. 식사패턴과 질병지표 14

4. 식습관 관련요인 17

III. 연구 대상 및 방법 19

1. 연구 모형 19

2. 연구 가설 20

3. 연구 대상 20

4. 자료 처리 및 분석 21

1) 분석 내용 21

2) 자료 분석 21

IV. 연구 결과 27

1. 조사 대상자의 특성 27

1) 조사 대상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27

2) 조사 대상자의 건강지표-신체 계측치 및 혈액지표 28

3) 조사 대상자의 영양소 섭취량 및 권장섭취량 34

2. 식습관에 따른 건강지표 40

1) 아침 식사 여부와 건강지표 40

2) 외식 여부와 건강지표 53

3. 식사패턴 분위수에 따른 연령별, 성별 건강지표 분석 65

V. 고찰 102

1. 조사 대상자의 특성 102

2. 식습관에 따른 건강지표 104

1) 아침 식사 여부와 건강지표 104

2) 외식 여부와 건강지표 105

3. 식사패턴 분위수에 따른 연령별, 성별 건강지표 분석 106

1) 식사패턴 106

2) 식사패턴 분위수에 따른 연령별, 성별 건강지표 분석 107

VI. 요약 및 제언 112

1. 결과 및 요약 112

2. 제한점 및 제언 114

참고문헌 116

Abstract 127

초록 132

Table 1. Appropriate analysis methods for simple random sample... 23

Table 2. Food group 25

Table 3. Factor analysis 26

Table 4. Socio-economic indicators 27

Table 5. Anthropometric index 31

Table 6. Biochemical data in men 32

Table 7. Biochemical data in women 33

Table 8. Intake of nutrients and food intake 36

Table 9. The nutrient intake and percentage of DRI in the subjects 38

Table 10. Comparison of socio-economic data of breakfast habit 40

Table 11. Anthropometric data of breakfast skipping and not-skipping in men 42

Table 12. Biochemical data of breakfast skipping and not-skipping in men 43

Table 13. Anthropometric data of breakfast skipping and not-skipping in women 45

Table 14. Biochemical data of breakfast skipping and not-skipping in women 46

Table 15. Nutrients intake of breakfast skipping and not-skipping in men 49

Table 16. Nutrients intake of breakfast skipping and not-skipping in women 51

Table 17. Eating out frequency 53

Table 18. Socio-economic data of eating out 54

Table 19. Anthropometric data of eating and not eating out in men 56

Table 20. Biochemical data of eating and not eating out in men 57

Table 21. Anthropometric data of eating and not eating out in women 58

Table 22. Biochemical data of eating and not eating out in women 59

Table 23. Nutrients intake of eating and not eating out in men 61

Table 24. Nutrients intake of eating and not eating out in women 63

Table 25. Anthropometric data by three dietary patterns in men 19~29 66

Table 26. Biochemical data by three dietary patterns in men 19~29 68

Table 27. Anthropometric data by three dietary patterns in men 30~49 70

Table 28. Biochemical data by three dietary patterns in men 30~49 72

Table 29. Anthropometric data by three dietary patterns in men 50~64 75

Table 30. Biochemical data by three dietary patterns in men 50~64 77

Table 31. Anthropometric data by three dietary patterns in men upper 65 79

Table 32. Biochemical data by three dietary patterns in men upper 65 81

Table 33. Anthropometric data by three dietary patterns in women 19~29 86

Table 34. Biochemical data by three dietary patterns in women 19~29 88

Table 35. Anthropometric data by three dietary patterns in women 30~49 90

Table 36. Biochemical data by three dietary patterns in women 30~49 92

Table 37. Anthropometric data by three dietary patterns in women 50~64 94

Table 38. Biochemical data by three dietary patterns in women 50~64 96

Table 39. Anthropometric data by three dietary patterns in women upper 65 98

Table 40. Biochemical data by three dietary patterns in women upper 65 100

Figure 1. Research model 19

Figure 2. Anthropometric data by three dietary patterns in men 19~29 (Chart of Table 25) 67

Figure 3. Biochemical data by three dietary patterns in men 19~29 (Chart of Table 26) 69

Figure 4. Anthropometric data by three dietary patterns in men 30~49 (Chart of Table 27) 71

Figure 5. Biochemical data by three dietary patterns in men 30~49 (Chart of Table 28) 73

Figure 6. Anthropometric data by three dietary patterns in men 50~64 (Chart of Table 29) 76

Figure 7. Biochemical data by three dietary patterns in men 50~64 (Chart of Table 30) 78

Figure 8. Anthropometric data by three dietary patterns in men upper 65 (Chart of Table 31) 80

Figure 9. Biochemical data by three dietary patterns in men upper 65 (Chart of Table 32) 82

Figure 10. Anthropometric data by three dietary patterns in women 19~29 (Chart of Table 33) 87

Figure 11. Biochemical data by three dietary patterns in women 19~29 (Chart of Table 34) 89

Figure 12. Anthropometric data by three dietary patterns in women 30~49 (Chart of Table 35) 91

Figure 13. Biochemical data by three dietary patterns in women 30~49 (Chart of Table 36) 93

Figure 14. Anthropometric data by three dietary patterns in women 50~64 (Chart of Table 37) 95

Figure 15. Biochemical data by three dietary patterns in women 50~64 (Chart of Table 38) 97

Figure 16. Anthropometric data by three dietary patterns in women upper 65 (Chart of Table 39) 99

Figure 17. Biochemical data by three dietary patterns in women upper 65 (Chart of Table 40) 101

초록보기 더보기

 본 연구는 2010년, 2011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19세 이상 한국성인 전체의 인구통계학적 특성과 식사패턴을 분석하였고, 각 식사패턴의 분위수에 따라 건강지표를 비교하였다. 성별과 연령대(19~29세, 30~49세, 50~64세, 65세 이상)에 따라 신체 계측치, 혈액지표, 영양소 섭취량을 비교한 결과 체질량지수는 남자는 19~29세, 30~49세가 여자보다 높았고 여자는 50~64세, 65세 이상에서는 남자보다 높게 나타났다. 혈액지표는 여자는 50~64세에서 총콜레스테롤과 LDL-콜레스테롤이 유의적으로 가장 높았으며 남자는 30~49세에서 총콜레스테롤과 LDL-콜레스테롤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나 만성질환의 위험이 성별과 연령대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영양소 섭취량에서 에너지 섭취량은 섭취권장량 대비 남자의 경우 30~49세에서 109.8%로 가장 높았고 여자는 50~64세에서 94.4%로 가장 높았으며, 칼슘은 여자 65세 이상에서 60.7%로 가장 낮게 섭취하였다.

아침식사 섭취 여부에 따라 성별 연령별로 비교한 결과 남자의 경우 30~49세에서 아침 섭취군의 공복혈당이 97.8 ㎎/㎗로 아침 결식군의 95.4 ㎎/㎗보다 유의적으로 높았으나 평균 공복혈당은 정상범위에 있었고, 여자는 65세 이상의 경우 체질량지수, 체중, 허리둘레가 아침 섭취군에 비해 아침 결식군이 유의하게 높았다. 외식 빈도에 따라 구분하여 비교한 결과 남자의 경우 19~29세에서 외식군의 공복혈당이 높았으며 여자의 경우 외식군이 30~64세에서 HDL-콜레스테롤이 유의하게 높았고 65세 이상에서는 LDL-콜레스테롤이 유의하게 높았다. 식사패턴은 육류·가공식품패턴, 채소·생선·어패류패턴, 곡류·두류패턴의 3가지로 분류되었다. 각 식사패턴의 분위수에 따라 건강지표를 비교한 결과 육류·가공식품패턴에서 50~64세 남자는 총콜레스테롤과 LDL-콜레스테롤이 하위군보다 상위군이 높았고 50~64세 여자는 총콜레스테롤과 HDL-콜레스테롤이 하위군보다 상위군이 높았다. 채소·생선·어패류패턴에서 분위수에 따라 비교한 결과 남자의 경우 50~64세에서 상위군의 체중, 체질량지수가 높았고 65세 이상에서는 중성지방이 중간군에서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여자의 경우 19~49세에서 신체 계측치나 혈액지표가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곡류·두류패턴에서는 여자의 경우 50~64세에서 상위군에서 총콜레스테롤이 낮았으며 65세 이상에서는 상위군에서 중성지방이 유의적으로 낮았다. 그러나 남자의 경우 19~29세에서 HDL-콜레스테롤이 상위군에서 높았고 65세 이상에서는 총콜레스테롤이 상위군에서 유의하게 낮았다.

결론적으로 식사패턴에 따라 식품섭취량이 건강지표에 미치는 영향이 성별과 연령대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고 아침결식은 30~49세 남자와 65세 이상 여자에게, 외식은 19~29세 남자와 30세 이상 여자에게 유의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연령별, 성별에 따라 식습관과 식사패턴이 미치는 영향이 다르므로 이에 알맞은 영양교육의 개발이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