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국문초록
목차
서론 19
1. 연구 목적 19
2. 연구 방법과 연구 범위 21
I. 성정(性情) 발현에 의한 락(樂)의 경계 25
1. 이열성정(怡悅性情)의 회화적 지향 29
1) 성(性)의 개념 33
(1) 유가의 허정지성(虛靜之性) 37
(2) 도가의 자연지성(自然之性) 49
2) 정(情)의 개념 56
(1) 유가의 중화지정(中和之情) 58
(2) 도가의 초월지정(超越之情) 63
2. 유가·도가의 락(樂) 68
1) 유가의 진락(眞樂) 71
(1) 안빈낙도(安貧樂道)에 의한 초월(超越) 76
2) 도가(道家)의 천락(天樂) 80
(1) 순응에 의한 지락(至樂) 87
II. 회화(繪畵)에 나타난 락(樂)의 풍격 93
1. 동양의 사유적 락(樂) 93
1) 풍속인물화(風俗人物畵) 97
(1) 해학(諧謔)적 락(樂) 109
(2) 풍자(諷刺)적 락(樂) 118
2) 인물산수화(人物山水畵) 127
(1) 아회도(雅會圖) 137
(2) 청음도(廳音圖) 144
(3) 어부도(漁父圖) 151
2. 서양의 본능적 락(樂) 158
1) 무의식적 충동 160
2) 정감(情感)적 쾌락(快樂) 167
III. 본인 작품 분석 171
1. 성정(性情)의 교감과 희로애락 표현 172
1) 제1기-습작기, 2000년~2003년: 내안의 나 180
2) 제2기-탐색기, 2004년~2007년: 나는 미인이 좋다 186
3) 제3기-창작 연구기, 2011년~2014년: 樂樂男女, 즐거워, 美樂·美麗·美味)-인물의 표정에서 본 개인의 성정 199
2. 해학(諧謔)적 락(樂)의 표현과 현대성 226
1) 낭만에 대한 해학 231
(1) 순수한 열정 238
(2) 역동적 희열 243
2) 사랑 예찬에 대한 해학 251
(1) 본능적 자유 253
(2) 환상적 호기심 260
3) 현실 순응에 대한 현대적 해학 264
(1) 시대성 265
(2) 일상 268
결론 275
참고문헌 279
Abstract 287
작품집 291
圖 1) 이인상(李麟祥), 〈검선도(劍仙圖)〉 31
圖 2) 제백석(齊白石), 〈부도옹(不倒翁)〉 31
圖 3) 고개지(顧愷之),전(傳)〈낙신부도(洛神賦圖)〉 37
圖 4) 〈낙신부도(洛신賦圖)〉-분석 도판 38
圖 5) 보티첼리(Sandro Botticelli), 〈베누스의 탄생〉 41
圖 6) 고굉중(顧閎中), 〈한희재야연도〉 41
圖 7) 〈한희재야연도(韓熙載夜宴圖)〉-분석 도판 42
圖 8) 〈한희재야연도(韓熙載夜宴圖)〉-분석 도판 42
圖 9) 소한신(蘇漢臣), 〈추정영희도(秋庭嬰戱圖)〉 45
圖 10) 전(傳)이경윤(李慶胤), 〈탁족도(濯足圖)〉 47
圖 11) 김홍도(金弘道), 〈추성부도(秋聲賦圖)〉 47
圖 12) 사사표(査士標), 〈집장탐유도(執杖探幽圖〉) 52
圖 13) 제백석(齊白石), 〈거지(乞匃圖)〉 55
圖 14) 주문구(周文矩), 〈중병회기도(重屛會棋圖)〉 61
圖 15) 휘종(徽宗), 〈청금도(聽琴圖〉) 62
圖 16) 〈청금도(聽琴圖〉- 분석 도판 62
圖 17) 작가미상, 〈잠자는 사람〉, 명(明) 65
圖 18) 김홍도(金弘道), 〈포의풍류도(布衣風流圖)〉 76
圖 19) 주첨기(朱瞻基), 〈무후고와도(武候高臥圖)〉 78
圖 20) 양해(梁楷), 〈이백행음도(李白行吟圖〉) 85
圖 21) 이인상(李麟祥), 〈남간추일도(南澗秋日圖)〉 86
圖 22) 작가 미상, 〈조사기려도(祖師騎驢圖〉) 86
圖 23) 마원(馬遠), 〈산경춘행도(山徑春行圖)〉 89
圖 24) 김홍도(金弘道), 〈타작도(打作圖)〉(단원풍속화첩) 90
圖 25) 장택단(張擇端), 〈청명상하도(淸明上河圖)〉부분 99
圖 26) 장택단(張擇端)의 〈청명상하도(淸明上河圖)〉부분-분석 도판 99
圖 27) 구영(仇英), 〈청명상하도(淸明上河圖)-부분〉 100
圖 28) 구영(仇英)의 〈청명상하도(淸明上河圖)-부분〉-분석 도판 100
圖 29) 김홍도(金弘道), 〈점심〉(단원풍속화첩) 103
圖 30) 〈점심〉-분석 도판 103
圖 31) 조영석(趙榮석), 〈새참〉(사제첩 중) 104
圖 32) 오노레 도미에(Honoré Daumier) , 〈삼등열차(Le Wagon de Troisième Classe)〉 105
圖 33) 장 오도네 프레고나르(Jean-Honore Fragonard), 〈그네 뛰는 여인의 행복한 우연 (Swing)〉 106
圖 34) 신윤복(申潤福), 〈기녀를 데리고 단풍을 밟다〉(혜원풍속도첩) 106
圖 35) 이소다 코류사이(磯田湖龍齊), 〈처음 그린 실물모형 문양, 오토와 지〉 107
圖 36) 김득신(金得臣). 〈파적도((破寂圖)〉 111
圖 37) 김제(金禔), 〈동자견려도(童子牽驢圖)〉 111
圖 38) 김홍도(金弘道), 〈기와이기〉(단원풍속화첩) 114
圖 39) 신윤복(申潤福), 〈두 여인〉(여속도첩) 115
圖 40) 김후신(金厚臣), 〈대쾌도(大快圖)〉 115
圖 41) 김홍도(金弘道), 〈서당〉(단원풍속화첩) 117
圖 42) 문가(文嘉), 〈적벽부도(赤壁賦圖)〉 119
圖 43) 전(傳) 안견(安堅), 〈적벽도(赤壁圖)〉 120
圖 44) 귀스타브 도레(Gustave Doré), 〈돈키호테 삽화〉 121
圖 45) 신윤복(申潤福), 〈연소답청(年少踏靑)〉(혜원풍속도첩) 123
圖 46) 신윤복(申潤福), 〈기방난투〉(혜원풍속도첩) 124
圖 47) 〈기방난투〉-분석 도판 124
圖 48) 신윤복(申潤福), 〈단오풍정(端午風情)〉(혜원풍속도첩) 125
圖 49) 오윤(吳潤), 〈춘무인 추무의(春無仁 秋無義)〉 126
圖 50) 강희안(姜希顔),〈고사관수도(高士觀水圖)〉 132
圖 51) 이상범(李象範), 〈사계〉4폭 연작 133
圖 52) 이인상(李麟祥), 〈송하한담도(松下閑談圖)〉 134
圖 53) 카스파 다비드프리드리히(CasparDavid Friedrich), 〈안개 바다 위의 방랑자(Wanderer above the Sea of Fog)〉 136
圖 54) 문징명(文徵明), 〈난정수계도(蘭亭修禊圖)〉 141
圖 55) 마원(馬遠), 〈서원아집도(西園雅集圖)〉 142
圖 56) 〈서원아집도(西園雅集圖)〉-분석 도판 142
圖 57) 김홍도(金弘道), 〈송석원시야연도(松石園詩夜宴圖)〉 143
圖 58) 〈송석원시야연도(松石園詩夜宴圖)〉-분석 도판 144
圖 59) 구영(仇英), 〈정금청완도(停琴聽阮圖)〉 146
圖 60) 고덕겸(顧德謙), 〈롱소도(弄簫圖)〉부분 147
圖 61) 이경윤(李慶胤), 〈월하탄금도(月下彈琴圖)〉 149
圖 62) 김홍도, 〈마상청앵도(馬上聽鶯圖)〉 150
圖 63) 신윤복(申潤福), 〈연당의 여인〉 (여속도첩 중) 151
圖 64) 김홍도, 〈동강조어(東江釣魚)〉 152
圖 65) 안견(安堅), 〈몽유도원도(夢遊桃源圖)〉 153
圖 66) 마원(馬遠), 〈추강어은도(秋江漁隱圖)〉 154
圖 67) 오진(吳鎭), 원(元), 〈어부도(漁父圖)〉 155
圖 68) 이명욱(李明郁), 〈어초문답도(漁樵問答圖)〉 156
圖 69) 심주(沈周), 〈산수첩(山水帖)〉 156
圖 70) 〈발렌도르프 비너스〉 161
圖 71) 구스타프 클림트(Gustav Klimt), 〈유디트(Judith)〉 162
圖 72) 미켈란젤로 메리시 다 카라바조(Michelandelo Merisi da Caravaggio), 〈유디트와 홀로페르네스(Judith Beheading Holofernes)〉 163
圖 73) 프리다 칼로(Frida Kahlo), 〈나의 탄생〉 165
圖 74) 에곤쉴레(Egon Schiele), 〈포옹(Embrace)〉 166
圖 75) 조르조네 디 카스텔 프랑코(Giorgio da Castelfranco), 〈잠자는 비너스(Sleeping Venus)〉 168
圖 76) 티치아노 베셀리오(Titian Vecelli), 〈우르비노의 비너스(The Venus of Urbino)〉 169
圖 77) 프란시스코 호세 데 고야 이 루시엔데스(Francisco José de Goya y Lucientes), 〈벌거벗은 마야(The Maja-Nude)〉 169
圖 78) 에두아르 마네(Manet, Edouard),〈풀밭위의 식사(Le Déjeuner sur I'herbe)〉 170
圖 79) 정유정, 〈Street〉 173
圖 80) 정유정, 〈박장대소〉 174
圖 81) 로트렉(Henri de Toulouse-Lautrec) ,〈자르뎅 드파리의 잔 아브릴〉 175
圖 82) 윤두서(尹斗緖), 〈짚신 삼기〉 176
圖 83) 정유정, 〈미락(美樂)〉 177
圖 84) 정유정, 〈미락(美樂)〉 178
圖 85) 정유정, 〈나I〉 180
圖 86) 정유정, 〈마로니에 공원〉 181
圖 87) 고호(Vincent van Gogh), 〈자화상〉 182
圖 88) 고호(Vincent van Gogh), 〈밤의 카페〉 182
圖 89) 화암(華巖), 〈자화상〉, 청(淸) 183
圖 90) 정유정, 〈나IV〉 184
圖 91) 정유정, 〈나II〉 185
圖 92) 정유정, 〈미인(美人)〉 188
圖 93) 신윤복(申潤福), 〈미인도〉 188
圖 94) 윤용(尹용), 〈나물 캐는 여인〉부분 190
圖 95) 신윤복(申潤福), 〈아기 업은 여인〉 191
圖 96) 채용신(蔡龍臣), 〈최연홍(崔蓮紅) 초상〉 191
圖 97) 정유정, 〈화장〉 195
圖 98) 정유정, 〈樂 (Joyfullness)〉 196
圖 99) 주방(周昉), 〈머리에 조화를 꽂은 여인들(簪花仕女圖卷)〉 197
圖 100) 정유정, 〈미미(美味)〉 200
圖 101) 윤두서(尹斗緖), 〈자화상〉 201
圖 102) 정유정, 〈미락(美樂)〉부분 202
圖 103) 이당(李唐), 〈채미도(採薇圖)〉 204
圖 104) 정유정, 〈봄바람〉 206
圖 105) 로댕(François-Auguste-René Rodin), 〈연인의 손〉 207
圖 106) 구로다 세이키(黑田淸輝), 〈기도(祈禱)〉 207
圖 107) 이쾌대(李快大), 〈군상IV〉 207
圖 108) 정유정, 〈고백〉 210
圖 109) 정유정, 〈질투〉 211
圖 110) 정유정, 〈질투〉 211
圖 111) 렘브란트, 〈벨사살 왕의 잔치 (Belshazzar's Feast)〉 부분 211
圖 112) 정유정, 〈락·락〉 213
圖 113) 정유정, 〈락·락〉 215
圖 114) 정유정, 〈락·락〉 216
圖 115) 정유정, 〈락·락〉 217
圖 116) 정유정, 〈마로니에 공원〉 219
圖 117) 정유정, 〈나I〉 부분 219
圖 118) 정유정, 〈Go〉 부분 219
圖 119) 정유정, 〈화장〉 부분 220
圖 120) 정유정, 〈樂(Joyfullness)〉 부분 220
圖 121) 정유정, 〈미인〉 부분 220
圖 122) 정유정, 〈락·락〉 부분 221
圖 123) 정유정, 〈축배〉 부분 221
圖 124) 정유정, 〈미락(美樂)〉 부분 221
圖 125) 정유정, 〈락·락〉 222
圖 126) 정유정, 〈미미(美味)〉 223
圖 127) 정유정, 〈축제〉 226
圖 128) 정유정, 〈미미(美味)〉 227
圖 129) 정유정, 〈휴(休)〉 227
圖 130) 정유정, 〈바람 부는 날〉 229
圖 131) 정유정, 〈즐거워〉 229
圖 132) 정유정, 〈락(樂)〉 230
圖 133) 정유정, 〈미락(美樂)〉 232
圖 134) 작가미상, 사계풍속도(四季風俗圖) 중 〈화류유희(花柳遊戱)〉 234
圖 135) 이경윤(李慶胤), 〈수하취면도(樹下醉眠圖)〉 235
圖 136) 정유정, 〈빈잔〉 236
圖 137) 정유정, 〈미락(美樂)〉 237
圖 138) 정유정, 〈축배〉 238
圖 139) 정유정, 〈미미(美味)〉 239
圖 140) 정유정, 〈미려(美麗)〉 240
圖 141) 고갱(Paul Gauguin), 〈언제 결혼하니?(When Will You Marry?)〉 241
圖 142) 정유정, 〈미락美樂)〉 242
圖 143) 정유정, 〈미락美樂)〉 243
圖 144) 김홍도(金弘道), 〈무동(舞童)〉(단원풍속화첩) 244
圖 145) 정유정, 〈즐거워〉 245
圖 146) 고구려 고분벽화-무용총 245
圖 147) 정유정, 〈즐거워〉 247
圖 148) 정유정, 〈미락美樂)〉 249
圖 149) 정유정, 〈미락(美樂)〉 250
圖 150) 신윤복, 〈월하정인(月下情人)〉(혜원풍속도첩) 254
圖 151) 샤갈(Marc Chagall), 〈산책(The walk)〉 255
圖 152) 정유정, 〈포옹〉 256
圖 153) 정유정, 〈락(樂)〉 256
圖 154) 정유정, 〈나르시시즘〉 256
圖 155) 정유정, 〈미려(美麗)〉 257
圖 156) 〈미려(美麗)〉-분석 도판 257
圖 157) 정유정, 〈미려(美麗)〉 258
圖 158) 〈미려(美麗)〉-분석 도판 259
圖 159) 〈축배〉-분석 도판 260
圖 160) 앙투안 와토(Watteau, Jean-Antoine), 〈시테르 섬의 순례(The Pilgrimage to Cythera)〉 261
圖 161) 정유정, 〈몽(夢)〉 262
圖 162) 정유정, 〈미락(美樂)〉 263
圖 163) 정유정, 〈미락(美樂)〉 263
圖 164) 정유정, 〈Street〉 266
圖 165) 정유정, 〈관심〉 267
圖 166) 정유정, 〈관심〉-분석 도판 267
圖 167) 정유정, 〈무료함〉 270
圖 168) 정유정, 〈단장〉 271
圖 169) 정유정, 〈단장〉 271
圖 170) 정유정, 〈GO〉 272
圖 171) 정유정, 〈미미(美味)〉 273
1. 〈박장대소〉 301
2. 〈휴(休)〉 302
3. 〈미인(美人)〉 303
4. 〈화장〉 304
5. 〈樂 (Joyfullness)〉 305
6. 〈바람 부는 날〉 306
7. 〈락(樂)〉 307
8. 〈Street〉 308
9. 〈단장〉 309
10. 〈단장〉 309
11. 〈봄바람〉 310
12. 〈락·락〉 311
13. 〈락·락〉 312
14. 〈질투〉 313
15. 〈축제〉 314
16. 〈즐거워〉 315
17. 〈즐거워〉 316
18. 〈축배〉 317
19. 〈미락(美樂)〉 318
20. 〈락(樂)〉 319
21. 〈빈잔〉 320
22. 〈미려(美麗)〉 321
23. 〈몽(夢)〉 322
24. 〈미락(美樂)〉 323
25. 〈미미(美味)〉 324
26. 〈미려(美麗)〉 325
27. 〈미락(美樂)〉 326
28. 〈미려(美麗)〉 327
29. 〈미미(美味)〉 328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